[[분류:유희왕/러시 듀얼/일반 마법]][[분류:유희왕/러시 듀얼/레전드 카드]] [목차] == 개요 == [[유희왕 러시 듀얼]]의 일반 마법 카드. == 설명 == [[파일:戦士の生還(EXT1).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레전드=, 한글판명칭=전사의 생환, 일어판명칭=戦士(せんし)生還(せいかん), 영어판명칭=The Warrior Returning Alive (미발매), 조건=없음,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몬스터(전사족)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전사의 생환]]의 [[유희왕 러시 듀얼]] 버전. 전사족 덱에서는 만능 샐비지 요원이 되어주지만, 하필이면 [[레전드 카드]]라는 점이 큰 걸림돌. 이 카드로 레벨 5 이상의 몬스터를 샐비지해봤자 어드밴스 소환이 필요한 것에 비해, 같은 레전드 카드인 [[죽은 자의 환생(유희왕 러시 듀얼)|죽은 자의 환생]]과 비교하자면 패 코스트가 따로 없다는 점에서 일장일단은 있겠지만, [[죽은 자의 소생(유희왕 러시 듀얼)|죽은 자의 소생]]의 경우에는 그냥 종족 제한도 없이 원하는 몬스터를 소생시킬 수 있다. 거기다 상대 몬스터까지 뺏을 수 있으니 해당 카드에 비해 카드의 성능이나 범용성 모두 크게 뒤쳐진다. 심지어 2023년 룰 개정 이전에는 레전드 카드 투입 제한으로 인해 전사족임에도 같은 레전드 카드인 [[버스터 블레이더(유희왕 러시 듀얼)|버스터 블레이더]]를 채용하면 써볼 수조차 없었다. 굳이 우선할 만한 요소를 찾지만 소생이 아니라 샐비지하는 데에 의미가 있는 전사족 몬스터를 채용할 경우가 되겠다. 맥시멈 소환은 패에서 갖춰져야 성사되니 [[하이퍼엔진 바스트 발칸]]을 사용하는 덱이라면 우선해볼 수도 있다. 특수 소환시에는 효과를 쓸 수 없는 [[마장 야메룰러]]도 유력한 후보라 할 수 있다. 다만 최상급 전사족 샐비지 수단이라면 [[귀장 메자메]]를 쓰는 편이 나은 경우가 많은데다, 한 템포 느리긴 해도 [[조주전술]] 등 재활용 방법도 다양한 편이다. 아무리 전사 계열 덱을 쓴다고 해도 [[레전드 카드]] 중에서도 성능이 뒤떨어지는 이 카드를 굳이 레전드 마법 자리에 끼워줘야 될지조차 고민해야 될 정도. 제약이 붙긴 했어도 레전드 카드 한정으로 샐비지가 가능한 [[레전드 세이버]]가 있으니 주요 샐비지 대상인 전사족으로 채용하냐 마냐가 기준이 될 것이다. 전용 서포트 카드인 [[고블린의 함정대장]]의 약체화 효과 수치에 기여해줄 수는 있지만, 이 효과 쓰자고 덱에 넣을 것이라면 차라리 [[함정 속으로(유희왕 러시 듀얼)|함정 속으로]]만 투입하는 것으로 만족하는 편이 낫다. [[유희왕 SEVENS]] 56화에서는 [[고하 유카]]가 사용. [[키리시마 로민]]과의 듀얼에서는 [[등번호39 구아황 홈]]을, [[키리시마 로아]]와의 듀얼에서는 [[도도도 세컨드]]를 회수했다. 현실 카드가 발표되기 전에 애니메이션에서도 계속 '레전드한 마법 카드'임을 강조했는데, 실제로도 레전드 카드로 발매되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21-09-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EXT1-JP048 | '''[[엑스트라 초월강화 팩|エクストラ超越強化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2-01-2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EXT1-KR048 | '''[[엑스트라 초월강화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관련 카드 == === [[고블린의 함정대장]] === === [[죽은 자의 환생(유희왕 러시 듀얼)|죽은 자의 환생]]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전사의 생환, version=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