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전설의 고향)] [목차] == 개요 == 드라마 [[전설의 고향]]을 리메이크한 작품들을 정리한 문서. 주요 작품들은 아래와 같다. == 1996년 여름 특집 == [include(틀:1990년대 이후 한국 TV 드라마 시청률 TOP 100)] 1989년 이후 한동안 중단되었다가 1996년 여름 특집으로 다시 부활하게 되었다. 1996년판은 대부분 1980년대판의 리메이크인데 호랑이 관련 이야기를 제외하고는 별 재미가 없었다고 한다. 에피소드 타이틀은 1977년판 제목을 그대로 쓰지만 일부 변경한 경우도 있었다. 그래도 발달한 CG와 촬영 기술을 바탕으로 1999년까지 4년간 매년 여름에 방영되었는데, 1996년판은 수목, 1997년판은 9시 주말극, 1998~1999년판은 월화드라마였으며 이 시기에 인터넷 VOD 서비스를 처음 실시했다. 종영 후 2000년대 중반부터 케이블 채널 KBS SKY드라마와 E채널, CNTV 등지에서 재편성됐다. 하지만 "초기 <전설의 고향>에 비해 영상은 세련되었어도 그 당시의 기분은 나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었고 방송 심의가 예전보다 외려 엄격해지면서 무서운 장면은 팍팍 줄어들었다. 무서운 얘기인지 조선시대 연애 드라마인지 알 수 없게 되어 [[구미호]]의 경우는 "무슨 [[천녀유혼]]이냐"는 비아냥도 들었다. 어쨌든 초기 <전설의 고향> 못지않은 인기를 누리며 4년간 꾸준히 이어지다가 [[일본 영화|일본]] [[공포영화]] "링"이 흥행하고 이후 [[헐리우드]]의 공포영화들이 밀려들면서 결국 그런 추세들을 이기지 못하고 다시 오랜 잠을 자게 된다. [youtube(zP6BywpiTEI)] [youtube(92sbfda1I1U)] 이 시기에 방영된 가장 유명한 에피소드 '''덕대골'''편이 있다. 내용은 중병에 걸린 남편을 치료하는데 필요한 약이 죽은 지 얼마 안 된 시체의 다리를 끓인 물이라는 말을 들은 아내가 이를 실행하는 것. 바로 그 유명한 '''"내 다리 내놔라~!"'''란 귀신의 대사로 대박이 난 작품이다. 여담으로 다리 잘린 귀신과 사투를 벌인 아내 역으로 배우 [[윤유선]]이 출연하였고 중병에 걸린 남편 역으로 배우 [[백윤식]]이 출연하였다. 비가 철철 쏟아지는 밤에 야산에서 버려진 남자의 시체를 발견한 아내가 한쪽 다리를 자른 것까지는 좋았는데 '''시체가 벌떡 일어나서''' 한쪽 발로 콩콩 뒤며 소리지르며 뒤를 쫓아온다. 혼비백산해서 도망가던 아내가 한 번은 잡힐락 말락한 걸 낫을 휘둘러 떨쳐버리고, 어찌어찌해서 집까지 도착해 부엌에 있던 솥에 다리를 넣자 코앞까지 들이닥친 시체가 사라지고, 기절한 아내가 아침에 일어나보니 솥에 있던 건 바로 [[산삼]]이었다더라. 명대사는 역시 [[이광기]]가 열연한 다리 잘린 시체가 외치던 "'''[[내 다리 내놔]]!'''" [[1983년]] [[7월 16일]]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3071600209205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3-07-16&officeId=00020&pageNo=5&printNo=19010&publishType=00020|<동자삼>이라는 에피소드로 이미 방송]]한 걸 리메이크한거다. 그때도 "내 다리 내놔"는 수많은 국딩들을 이불 속에서 떨게 만들었다. 게다가 이게 밤에 방송되는지라 잠자리에 드는 것도 큰 문제였다. 저학년이면 그나마 부모랑 같이 자겠다고 떼를 쓸 수 있지만, 5~6학년때라면 이것도 힘들어서 온 밤을 뜬눈으로 지새는게 다반사다. 1996년에는 김규철, 김인태, 김진태, 김학철, 김흥기, 박주아, 선동혁, 안대용, 최주봉, 이미지, 이상인, 이한위, 임채원, 태민영이 주로 출연하였다. 연출은 김종선, 안영동 외 여러 명이 담당했고, 극본은 [[임충(작가)|임충]] 외 여러 명이 썼다. == 1997~1999년 == 1997년은 <저승화>가 <사신의 미소>로 재방영된 것 외에는 이 당시에 제작되었고, 1998년과 1999년은 [[1997년 IMF 사태|IMF]] 시대이다 보니 제작편수는 줄었다. [[조선]]시대 말고도 현대를 배경으로 하기 시작했다. 1999년에는 [[TV 문학관]] 성격이 짙은 에피소드들이 제작되었다. 1990년대 리메이크된 시리즈에서 자주 얼굴을 비쳤던 배우들은 [[이세창]], [[박진성(배우)|박진성]], [[노현희]], [[안연홍]], [[이민우(배우)|이민우]], 이외에도 오늘날 사극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중견배우들이 대거 출연했다. 노현희는 [[구미호]]부터 이무기까지 온갖 [[귀신]]으로 분했고, 이민우는 열에 여덟 확률로 양반집 도련님 내지는 [[지나가던 선비]] 역할로 나와 수많은 귀신을 극락왕생시켰다. == 2008 전설의 고향 == ||<-2> '''KBS 수목 드라마[br]{{{+1 2008 전설의 고향}}}''' (2008)[br]''2008 傳說의 故鄕''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08 전설의 고향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호러물|공포]], [[한국 사극|사극]] || || '''방송 시간''' ||수 · 목 / 오후 10:00 ~ || || '''방송 기간''' ||2008. 8. 6. ~ 2008. 9. 3. || || '''방송 횟수''' ||8부작 || || '''제작''' ||[[한국방송공사|[[파일:KBS 로고.svg|width=50]]]] 자체제작 || || '''채널'''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50]]]] || || '''연출''' ||곽정환, 이민홍, [[김정민(PD)|김정민]], 김용수 외 || || '''극본''' ||하미선, 김재은, 박영숙, 문은정 외 || || '''출연''' ||[[박민영(배우)|박민영]], [[김하은]], [[최진혁]] 등 || || '''국내 스트리밍''' ||[[한국방송공사]] [[https://program.kbs.co.kr/2tv/drama/gohayng/|▶]] || || '''[[영상물 등급 제도|{{{#E7655B,#DDDDDD 시청 등급}}}]]''' ||[[15세 이용가|[[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clearfix] 1999년으로부터 9년 후인 2008년 8부작으로 <전설의 고향>은 다시 부활하게 되었다. 호러가 아닌 다양한 시도들이 돋보였지만 스토리를 비롯해 전체적인 완성도가 떨어졌고 공포가 덜하다는 비판을 피하지는 못했다. 특히 [[구미호]] 편은 "구미호가 무섭지 않고 너무 예쁘다"는 비판과 찬사가 섞인 평가를 받았다. 이건 앞에서 말했듯이 '전설의 고향=공포물'이라는 잘못된 편견 때문이다. 원래 <전설의 고향>의 주된 내용은 [[권선징악]], [[사필귀정]], [[인과응보]] 등의 교훈들이 담겨진 말 그대로 '착하고 어질게 살자'란 것을 강조하는데 여기에 귀신과 같은 초자연적인 요소가 등장하고 이게 주된 포인트가 되다 보니 이런 오해가 생긴 것이다. == 2009 전설의 고향 == ||<-2> '''KBS 월화 드라마[br]{{{+1 2009 전설의 고향}}}''' (2008)[br]''2009 傳說의 故鄕''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09 전설의 고향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호러물|공포]], [[한국 사극|사극]] || || '''방송 시간''' ||월 · 화 / 오후 10:00 ~ || || '''방송 기간''' ||2009. 8. 10. ~ 2009. 9. 8. || || '''방송 횟수''' ||10부작 || || '''제작''' ||[[한국방송공사|[[파일:KBS 로고.svg|width=50]]]] 자체제작 || || '''채널'''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50]]]] || || '''연출''' ||이민홍 || || '''극본''' ||김랑, 김정숙 || || '''출연''' ||[[김지석(배우)|김지석]], [[이영은(1982)|이영은]], [[김홍표]] 등 || || '''국내 스트리밍''' ||[[한국방송공사]] [[http://program.kbs.co.kr/2tv/drama/gohyang2009/pc/|▶]] || || '''[[영상물 등급 제도|{{{#47151A,#DDDDDD 시청 등급}}}]]''' ||[[15세 이용가|[[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clearfix] 2009년 8월 10일부터 2009년 9월 8일까지 월화드라마로 방영되었으나 역시 평가는 중박에 턱걸이하는 수준으로 마무리되었다. 방영 중 잔인성과 선정성만 도마에 오른 정도. 이는 제작비 절감 차원에서 CG 예산이 깎인 게 큰 이유이기도 했다. MBC [[무한도전]] 방영 초기 납량특집 2탄에서 이 작품을 재현했으며, 2022년 8월 23일 오전 10시부터 납량특집으로 <[[구미호 여우누이뎐]]>과 함께 유튜브 KBS Drama Classic 채널에서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시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전설의 고향, version=572, paragraph=4)] [[분류:전설의 고향 시리즈]][[분류:리메이크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