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우크라이나 최고 라다의 원내 구성)] ||<-2> [[파일:바티키우시나 로고.png|width=200]] || ||<-2> {{{#fff '''Всеукраїнське об'єднання "Батьківщина"'''}}} || || {{{#fff '''약칭'''}}} ||Батьківщина || || {{{#fff '''한글명칭'''}}} ||전우크라이나 연합 "조국"|| || {{{#fff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DC143C; border: #;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크림슨}}}}}} || || {{{#fff '''대표'''}}} ||[[율리야 티모셴코]]|| || {{{#fff '''창당일'''}}} ||[[1999년]] [[7월 9일]] || || {{{#fff '''이념'''}}} ||[[기독교 민주주의]][br][[대중주의]][br]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br][[친유럽주의]][br][[농본주의]]|| || {{{#fff '''정치적 스펙트럼'''}}} ||[[중도우파]]|| || {{{#fff '''당사'''}}} ||Турівська, 13, 1-й поверх [[키이우]]|| || {{{#fff '''유럽 정당'''}}} ||[[유럽 인민당]]^^(옵서버)^^|| || {{{#fff '''청년 조직'''}}} ||청년 조국|| || {{{#fff '''국제 조직'''}}} ||[include(틀:국제민주연합)]|| || {{{#fff '''최고 라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C143C calc(24*100%/424), #aaa 0%)" {{{#fff '''24석 / 424석'''}}}}}} || || {{{#fff '''지방 의회'''}}}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C143C calc(4470*100%/43122), #aaa 0%)" {{{#fff '''4,470석 / 43,122석'''}}}}}} || || {{{#fff '''웹사이트'''}}} ||[[http://ba.org.ua/|[[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Batkivshchyn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px]]]]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atkivshchyna, 크기=24px)] [[https://www.instagram.com/batkivshchyna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batkivshchyn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telegram.me/batkivshchyna| [[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우크라이나]]의 대중주의 정당이다. 우크라이나 총리를 지내고 대선까지 도전했던 [[율리야 티모셴코]]가 이끌고 있다. 약칭은 '조국(Батьківщина)'이며, 이 때문에 그냥 '조국당'이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 상세 == 원래는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국립 대학교의 총장 볼로디미르 프리스냐코우(Володимир Прісняков)가 시민연합으로 조직했다가 흐로마다 정당의 전 의원들이 합류하면서 정당으로 발전했다. 2002년 총선에서 율리야 티모셴코 블록이라는 정당 연합으로 선거에 참여했다. 2004년에 발생한 [[오렌지 혁명]]을 계기로 [[빅토르 유셴코]] 대통령이 당선되고 율리야 티모셴코의 인지도가 크게 오르면서 총리에 오르게 되었다. 티모셴코는 9달 만에 총리직에서 물러났으나, 2007년 총선에서 다시 크게 승리함에 따라 다시 총리직에 오른다. 이를 바탕으로 [[2010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에도 도전하였으나, 친러 성향의 [[빅토르 야누코비치]]에게 패배하게 된다. 빅토르 야누코비치 정권 하에서 티모셴코가 부패 혐의로 기소되어 있는 동안 당 대표 없이 2012년 총선을 치렀다가 크게 패배하고 만다. [[유로마이단]]을 거치면서 티모셴코가 사실상 복권됐고, [[201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에도 나섰지만 다시 패배한다. 같이 치러진 총선에서도 82석을 잃으며 군소 정당 수준까지 떨어진다. [[2019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에서 티모셴코가 3위로 패배했고, 총선에서는 그나마 [[인민의 종(정당)|인민의 종]]이 [[유럽연대]]를 탈탈 털고 과반수를 차지하는 한편 의석이 소폭 늘어나면서 제3당이 되었다. == 성향 == 외교적으로는 [[반러]], [[친서방]] 성향이 짙은 편으로, [[유럽연합]](EU) 회원국 가입을 전략적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또, 장기적으로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하는 것도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http://en.ria.ru/politics/20140929/193431246/Tymoshenko-Says-Would-Support-Pro-European-Forces-of-Ukraines.html|@]] 경제적으로는 민영화를 반대하고, 관세 인하를 옹호한다. 농업 정책 중 농지 판매 금지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낸다. == 선거 결과 == ===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 ||
'''연도''' || '''선거명''' || '''후보자''' || '''1차 득표수[br](득표율)''' || '''2차 득표수[br](득표율)''' || '''결과''' || || 2010 || [[2010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3> [[율리야 티모셴코]] || 6,159,810[br](25.05%) || 11,593,357[br](45.47%) ||<|3> 낙선 || || 2014 || [[201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 2,310,050[br](12.81%) || '''결선투표 미실시'''|| || 2019 || [[2019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 2,532,452[br](13.40%) || '''3위로 1차 탈락'''|| [[분류:우크라이나의 정당]][[분류:기독교 민주주의 정당]][[분류:대중주의 정당]][[분류:농본주의 정당]][[분류:내셔널리즘 정당]][[분류:1999년 정당]][[분류:국제민주연합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