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전윤수'''}}} [br] '''영화 감독'''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전윤수 감독.jpg|width=100%]]}}} || || '''이름''' ||<(> 전윤수 || || 출생 ||1971년 3월 5일 [[서울특별시]]|| || 데뷔 ||2001년 영화 '베사메무쵸'|| || 학력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 석사|| || 경력 ||2013.03 천안국제웰빙식품엑스포 홍보대사[br][[아주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연출부 시절 == [[강제규]] 감독의 영화 [[은행나무 침대]]에서 연출부를, 동 감독의 영화 [[쉬리(영화)|쉬리]]에서는 조감독을 했다. == 감독 커리어 == 굿바이 서울 신파(1993), [[베사메무쵸]](2001), 파랑주의보(2005), [[식객(영화)|식객]](2007), [[미인도(영화)|미인도]](2008), [[미안해 사랑해 고마워]](2015), 내 심장을 쏴라(2015, 각색) [[호불호]]가 극명히 갈리는 [[상업영화]] 감독. 그렇지만 흥행 성적은 최고 기록 300만대(식객)다. 호불호가 갈리는 이유로는 공감을 사지 못하는 극단적인 사건 설정 버릇 때문으로 보인다. 가정을 위한 육체적 외도([[베사메무쵸]]), 요리 대회 우승을 위해 [[반려동물]]을 [[도축]]하는 주인공([[식객(영화)|식객]]), 존경받는 위인들의 있지도 않은 부도덕적 모습, 스승 [[김홍도]]와 제자 [[신윤복]]의 부적절한 정사([[미인도(영화)|미인도]]) 등등. 불편한 ~~어찌보면 괴랄한~~ 사건을 만드는 재주가 있다. 하지만 좋아하는 사람들은 보통 저런 부분을 좋아한다. 예술적이라거나 아름답다는 평들이며, 복잡 미묘하면서도 충만한 감정을 느꼈다면서 좋아한다. 화면을 예쁘게 구성하는 능력이 좋다. 논란이 많았던 작품 [[미인도(영화)|미인도]] 이후 영화 감독으로서의 커리어가 한동안 뚝 끊겼다. 그 동안 [[아주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의 교수로서 후진 양성에 힘썼다. 이후 7년만에 스크린으로 돌아왔다. [[미안해 사랑해 고마워]]라는 영화로 [[김성균]], [[성유리]], [[지진희]]가 나오는 [[옴니버스]]식 사랑 영화다. 꽤나 많은 스크린수로 시작했으나 전국 관객 5만대로 흥행에는 대참패했다. 극단적인 사건 설정 버릇 때문인지 [[작위적]]인 장면이 30개쯤 나온다는 혹평을 들었다. 현재는 교수로서 후진 양성과 영상 언어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분류:한국 영화 감독]][[분류:1971년 출생]][[분류:아주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