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전주시의 시내버스]][[분류:2016년 개업한 버스 노선]] [include(틀:다른 뜻1, from=전주 버스 1000, other1=2022년 2월 신설된 평화동과 삼례읍을 잇는 간선노선, rd1=전주 버스 1001\, 1002)] [include(틀:전주시 시내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주999AJS.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전주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전주시 명품시내버스 999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전주 999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전주동물원) ||<-2> 종점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2가(국립전주박물관) || ||<|2> 종점[br]행 || 첫차 || 06:35 ||<|2> 기점[br]행 || 첫차 || 06:35 || || 막차 || 22:20 || 막차 || 22:20 || ||<-2> 배차간격 ||<-4> 55분 (1일 18회) || ||<-2> 운수사명 || [[제일여객(전주)|제일여객]], [[성진여객]], [[시민여객(전주)|시민여객]], [[호남고속]] ||<-2> 인가대수 || 4대 || ||<-2> 노선 ||<-4> 전주동물원 - 호성동신아파트 - [[전주역]]첫마중길 - [[전북대병원]]입구 - [[전주덕진소방서]] - 백제교 - [[전주고속버스터미널]] -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 - (→ 금암광장 →) - 중앙시장 - [[전동성당]].[[전주 한옥마을|한옥마을]] - 남부시장 - 평화주공1.2단지 - 삼천신일아파트 - 삼천삼익아파트.막걸리골목 - 삼천세경아파트 - 안행교 - [[전라북도교육청]].동암고 - [[국립전주박물관]] || == 개요 == 제일여객, 성진여객, 시민여객, 호남고속에서 공동배차하는 '''명품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37km다. [[https://m.map.naver.com/bus/lane.nhn?busID=2190029|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전주 버스 165|165번]]의 혼잡 완화와 관광객 수요를 위해 2016년 5월 4일에 신설되었다. [[http://www.jeonjuits.go.kr/main/board/notice_view.jsp?st=0&sk=&page=1&inp_seq=612|전주시 공지사항]] 차량은 [[전주 버스 79|79번]]에 있던 명품버스를 가져왔다. * 2016년 추석 연휴인 9월 13~15일, 3일 동안에는 무료로 운행했다. [[http://www.jeonju.go.kr/planweb/board/view.9is?dataUid=9be517a756b6bf9a01571d3c0541260b&page=1&boardUid=9be517a74f8dee91014f90e8502d0602&contentUid=9be517a74f8dee91014f9194f6070bf8&layoutUid=&searchType=dataTitle&keyword=%EB%B2%84%EC%8A%A4&categoryUid1=&categoryUid2=&cateogryUid3=|전주시 공지사항]] 버스 측면에 플랜카드가 붙어있기도 하고, 버스단말기를 종이로 가려두어 실수로 카드를 대는 일이 없도록 하였다. * 2018년 12월 1일에 치명자산종점에서 대성동종점으로 연장되어 국립무형유산원, 좁은목, 치명자산을 경유하지 않고 거산황궁아파트, 남고사입구 등을 경유하게 되었다. [[http://www.jeonjuits.go.kr/board/view.jeonju?boardId=BBS_0000001&menuCd=DOM_000000105002000000&startPage=1&dataSid=119|전주시 공지사항]] * [[2022년 2월 전주 시내버스 개편]]으로 2022년 2월 19일부로 1000번이던 노선번호가 999번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남부시장 - 서학예술촌 - 전주교육대학교 - 남고사입구 - 약수터주유소 - 대성동종점' 구간이 '남부시장 - 평화주공1.2단지 - 삼천세창짜임아파트 - 효자광장 - 안행교 - 우전초교 - 전라북도교육청.동암고 - [[국립전주박물관]]'으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운행횟수가 6회 감회되어 35~50분이던 배차간격이 55분으로 늘어났다. == 특징 == * 전주시 최초의 명품노선이다. 명품노선답게 [[전주 버스 79|79번]]에서 명품버스 4대를 전부 가져왔다. 참고로 버스가격은 1억 1천만 원, 개조비용이 추가로 1억 2,500만 원이 들었다. 결과적으로 대당 2억 2,500만 원씩 든 셈. 비용으로만 따지면 [[자일대우버스 BX212]]와 비슷한 수준이다. 트롤리버스가 고장, 사고, 점검 등으로 인해 운행할 수 없게 되면, 일반 차량이 대신 운행한다. * [[전일여객]]을 제외한 모든 회사에서 운행한다. 운행 차량은 [[제일여객(전주)|제일여객]]의 1579호, [[호남고속]]의 1785호, [[시민여객(전주)|시민여객]]의 1999호, [[성진여객]]의 2099호다. [* 참고로 2099호는 기존 신성여객 1199호가 성진여객으로 넘어오면서 바뀐 면허다.] 호남고속과 제일여객 소속차량은 아래는 빨강 위는 흰색 도색이고, 시민여객과 성진여객 차량은 모든 색이 빨강인 도색을 사용한다. * [[어린이날]]에는 우아중에서 타절하며, 어린이날에 이 노선을 이용하여 동물원을 가고자 한다면 우아중에서 하차 후 어린이날 한정 운행노선인 [[전주 버스 5-5|5-5번]]으로 환승해야 한다. * 차량 안에 TV가 있으며, 전주시 홍보동영상을 틀어준다. 일부는 꺼져 있을 때도 있다. * 왕복 6회 운행 중 3회차 종료 후 종점(호남고속, 시민여객 동물원 / 제일여객, 성진여객 박물관)에서 각 본사로 공차회송하여 기사 교대 후 복귀한다. * 4대 모두 고정배차인데다 주말 감차도 없기 때문에 차량 점검이나 고장 등의 사유가 발생하면 다른 차량을 끌어와서 대신 운행한다. === 문제점 === [[전주 버스 165|165번]]의 혼잡 완화와 관광객 수요를 위해 개설되었지만, 과연 두 목적을 모두 달성했는지는 의문이다. * 기존에 유일하게 [[전주동물원|동물원]]까지 갔던 [[전주 버스 165|165번]]을 보조해주는 역할을 맡고 있다. 그러나 165번의 실제 수요는 소풍 시즌이나 [[어린이날]][* 심지어 어린이날 당일에는 165, 999번이 각각 전북대종점과 우아중에서 타절하고 [[전주 버스 5-5|대체 셔틀버스]]가 동물원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어린이날 수요를 논하는건 크게 의미가 없다.]이 아닌 이상 동물원 근처가 아니라 '''혁신도시~효자동, 삼천동, 평화동~시내'''에서 많고, [[전북대]] 이후로는 사람이 아예 없다. 더군다나 165번은 시내에서 거의 직통으로 동물원으로 향하는 반면, 999번은 터미널과 전주역을 경유하느라 시간이 더 걸릴뿐더러 전북대 환승 수요를 전혀 잡지 못한다.[* 그렇다면 999번이 165번의 실제 평시 혼잡 구간을 대체하고 있느냐면 그렇지도 않은게, 효자~삼천~평화 구간은 [[전주시/음식#막걸리|삼천동 막걸리골목]]을 경유하느라 굴곡이 너무 많고, 평화동~시내 구간은 [[전주 버스 1001, 1002|1000번대]], [[전주 버스 970|970번]] 등 대체 노선이 매우 많다.] 따라서 실질적인 승객분산 효과는 미미한 편. 2020년 이후로 165번의 수요가 줄어가고 있으나, 이는 [[전주 버스 74, 75|74, 75번]]과 [[전주 버스 104|104번]]의 영향이 크다. * [[전주역]]에서 [[전주한옥마을|한옥마을]] 가는 관광객들 태우려고 만든 노선으로 보이지만[* 전주시에서도 전주역~한옥마을 구간을 999번으로 홍보한다.], 실제로 전주역과 한옥마을을 가장 빠르게 잇는 버스는 '''999번이 아닌 [[전주 버스 119|119번]]이며''' --사실 119번이 진정한 관광 노선이다--, 아니면 [[전주 버스 535|535번]] 및 같은 계열의 500번대 노선을 타고 [[완산경찰서]]에서 하차 후 전라감영을 먼저 둘러보고 걸어서 한옥마을로 가는것도 추천한다. 999번은 배차간격이 터무니없이 긴건 둘째치고 터미널을 경유하느라 꽤나 느리다. * 만약 [[전주고속버스터미널|고속버스터미널]]에서 한옥마을로 간다면 제일 빠른 버스가 맞지만, 상술했듯이 배차간격이 너무나도 길기 때문에 [[버스정보시스템|BIS]]에 뜨지 않는다면 굳이 기다리지 말고 대체 루트를 타는걸 추천한다. 터미널 바로 앞 정류장에서 [[전주 버스 79|79번]]을 타거나[* 다만 79번도 결코 배차간격이 짧은 노선은 아니다.], 건너편에서 [[전주 버스 5001, 5002|5001번]]을 타고 전라감영에서 하차하거나, 만약 짐이 많지 않다면 아예 [[기린대로]]까지 걸어나와 한옥마을로 향하는 수많은 버스들 중 아무거나[* 단 [[전주 버스 3-1, 3-2|3-1번]]은 아중리를 경유하므로 제외] 타는게 훨씬 낫다. === 시간표 === 2022. 06. 04. 부 || [[국립전주박물관|{{{#white 국립전주박물관}}}]] 방면 || [[전주동물원|{{{#white 전주동물원}}}]] 방면 || || 06:35 07:30 08:25 09:20 10:15 11:10 12:05 {{{#ff0000 13:00}}} 14:05 15:00 [br] 15:55 16:50 17:45 18:40 19:35 20:30 21:25 22:20 || 06:35 07:30 08:25 09:20 10:15 11:10 12:05 {{{#ff0000 12:50}}} 14:05 15:00 [br] 15:55 16:50 17:45 18:40 19:35 20:30 21:25 22:20 || == 연계 철도역 == * 일반 철도역: [[전주역]](KTX, SRT,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분류:전주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