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전준우)] [목차] == 개요 == [[롯데 자이언츠]] 소속 외야수 [[전준우]]에 대한 각종 여담을 서술한 문서. == 별명 == * '''[[전준우/선수 경력/2013년#s-3.2|월드스타]]''', 전레발[* 전준우 + 설레발] [[롯데 자이언츠/2013년/5월#s-6.2|2013년 5월 15일 롯데 자이언츠 대 NC 다이노스 경기]]에서 4대 6으로 지고 있는 9회말 1사 1루에서 홈런성 타구를 날리자마자 동점 홈런인 줄 알고 [[롯데 자이언츠]] 덕아웃을 향해 설레발 세레머니를 했다가 담장 앞에서 잡히는 바람에 뻘쭘한 상황이 연출되었다. [[https://youtu.be/8WfV8NbmyDI|영상]][* 팬들은 이걸 보고 0점 홈런이라고 했다.] 워낙 엽기적인 순간이다 보니 MLB 공식 홈페이지를 비롯해 CBS 스포츠 등 야구를 다루는 해외 유명 웹사이트에 이 설레발 영상이 올라왔으며, 순식간에 전준우의 이름 석 자가 전세계에 알려져 월드스타 전준우라는 명예로운 별명을 얻게 되었다. 원래 의미는 설레발 세레모니를 한 전준우를 조롱하는 의미였으나, 2017년 이후 정말로 월드스타급 활약을 하자 긍정적인 의미의 별명이 되었다. 실제 직관한 관중들에 따르면 외야석 중간 위치까지 날아갈 궤적이었으나 펜스 앞에서 귀신같이 수직으로 떨어졌다고 한다. 이후 [[신본기]]의 헤딩 뇌야수비 장면에서도 해맑게 튕긴 공을 잡으며 등장해 2번째 수출이 이뤄지기도 했다. * '''전트란''' 2000년대 중반 호타준족의 중견수로 활약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카를로스 벨트란]]에 빗대어 생긴 별명이다. 전준우가 홈런이나 맹활약을 하는 날이면, '''전트란 입국했다'''라는 표현이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를 도배하지만, 병살이나 삼진을 당하면 가차없이 '''전트란 강제출국''', 심하면 강제추방도 시켜버린다.[* 이제는 [[2019 MLB 사인 훔치기 스캔들]]이 터지고 사실상의 주범으로 찍힌 [[카를로스 벨트란|벨트란]] 이름을 붙이는 것 자체가 전준우한테 실례가 되는 일이 되었다.]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 이후 경기 후반 활약이 터지면 [[자가격리]] 해제 드립이 나오기도 한다. * '''[[씨발|전발]], 전발놈'''[* 2014 시즌, 부진이 계속되자 최전방 현역입대나 하라는 뜻의 '''전방놈'''으로 변형 사용하기도 하였다.] 못할 때 불리는 별명으로, [[정보명|전보명]]이라고도 불리며 까인다. 전발놈은 이제는 그냥 애칭으로 굳어진 상태다. 본인도 이 별명으로 불리는 걸 알고 있다. 한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롯갤]]러가 전준우를 보고 사인을 받으려 했는데 말버릇처럼 [[http://m.dcinside.com/board/giants_new2/986830|“전발형 사인해주세요.”]]라고 했고, 순간 실수를 깨닫고 깜짝 놀라며 도망갔다고 한다. 그리고 [[롯데 자이언츠]] 팬은 물론, 다른 구단 팬들도 대부분 알겠지만, 이 별명은 '''본인이 가장 싫어하는 별명이다.''' 2021 시즌 주장을 맡은 뒤로 C발놈이라는 변형도 생겼다. 잘 하면 '''킹발놈, 킹발롬, 대(大)발놈'''이라던지 전발'''형'''같은 파생형도 쓰인다. * [[고구마]] 타석에 들어섰을 때 발로 그라운드의 흙을 마구 밟아 파는데, 타격 자세를 단단히 잡기 위한 자신만의 [[루틴]]이라고 한다. 그런데 그 모습이 마치 밭에서 고구마를 캐는 것 같다고 하여 불렸던 별명이다. 또 [[건국대학교 야구부|건국대학교]] 시절에도 은사께서 전준우의 얼굴이 길고 까무잡잡해서 [[고구마]]라는 별명으로 부르셨다고 한다. 여담으로 전 동료인 [[오윤석]][* 현 [[kt wiz]] 소속.]이 전준우를 닮았다하여 오구마라고 불린다.[* 최근 들어 고구마는 답답한 상황을 가리키는 의미로 쓰이지만, 전준우는 답답한 모습을 전혀 보인 적이 없기에 이러한 의미로는 쓰이지 않는다.] * 프롬준우 [[소녀시대 팬레터 사건]] 당시 증거사진에 찍혀 있던 팬레터 중 '''from준우'''라고 쓰여 있는 팬레터 때문에 붙여진 별명이다. 물론 전준우 선수 본인과는 일절 무관하다.[* 여담이지만 2021년 10월 15일 유튜브 [[GIANTS TV]]에 출연했을 때 어릴적 좋아했던 최애 아이돌이 [[소녀시대]]임이 밝혀졌다. 서울 커피숍에서 아내랑 있다가 [[소녀시대]]를 보고 아내와 같이 뛰어나갔다고 한다. 아내는 그의 마음을 이해해줬다고...] * 장군님, 전장군 * 전뚝떨 나이가 들며 전성기에 비해 수비 범위가 매우 줄어들어 본인 앞에 뚝 떨어지는 타구가 많이 나와 전뚝떨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이럴 때마다 팬들은 정뚝떨한다고. * 전득악 전준우 득점권 악마라는 뜻으로, 2021년 9월 30일 기준 득점권 타율 0.434로 리그 유일 4할대 득점권 타율을 기록하며 전득병에서 신분 상승한 별명이다. * The Giants' Bat Flip King [[무키 베츠]]의 2020년 KBO 리그 [[https://www.youtube.com/watch?v=-qrbpuvPcrk|소개 영상]]에서 각 구단별 스타 플레이어들을 소개하는 장면에서 나온 전준우의 닉네임이다. 호쾌한 배트플립을 자랑하는 전준우를 정의하는 별명. * 전캡틴 아래에 서술되어 있듯이 뛰어난 리더쉽과 경험으로 팀을 한데 모아 이끌어 실력뿐만이 아니라 그 존재감만으로도 팀을 지탱하는 기둥으로 평가받는 전준우의 별명. 안치홍으로 주장이 바뀌고서도 가끔씩 들리는 별명이었고 그 빈도는 줄 것으로 보였지만....안치홍이 한화 이글스로 이적함에 따라 2024시즌부터 다시 주장직을 맡게 되면서 불리는 빈도가 늘어날것으로 보인다. * 센텀 최수종 == 야구 관련 == * 등번호 8번은 신인 시절 [[조성환(1976)|조성환]]이 추천해준 등번호라고 한다. 본인도 바꾸고 나서 레귤러 멤버로 안착하면서 뜻 깊은 번호로 생각하고 있다고. * 리더십이 뛰어나 소위 '''주장감'''으로 불리는 선수 중 한 명이었다. [[경찰 야구단]] 복무 당시에도 그런 모습이 두드러졌는지 [[경찰 야구단]]에서만 10년 넘게 있었던 [[유승안]] 감독으로부터 [[http://mosen.mt.co.kr/article/G1111184043#_enliple|겪었던 선수들 중 '정말 특별한 리더십을 가지고 있던 선수'라는 평을 받았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이후 2021시즌 들어서 주장을 맡게 되었고]]''', 2023년은 건너뛰고 3년째 주장을 역임하게 되었다. * 2012년 [[양승호]] 감독이 자신의 젊은 시절과 똑같다고 말하자 "제가 감독님 닮았다는 건 나중에 [[롯데 자이언츠|롯데]] 감독 한다는 뜻이잖아요."라는 대답을 했다. 덤으로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에서는 '''전야망'''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을 앞두고 대표팀 훈련에서 "[[류현진]]의 체인지업도 치는데[* 정작 본인은 [[류현진]]에게 2012 시즌 1안타 밖에 뽑지 못했다. 물론 그 1안타가 타점으로 연결된 건 함정.] [[R.A. 디키|디키]]의 너클볼쯤 못 치겠나."라는 발언을 했는데 정작 대표팀은 [[타이중 쇼크|1라운드도 못 뚫고 광탈]]해서 많은 비웃음을 샀다. * [[경찰 야구단]]에서 군 복무하던 당시 전준우가 8번을 달아서 타 팀에서 8번을 달던 입대 동기 [[안치홍]]이 13번을 달았다. 5년 뒤, [[안치홍]]은 [[롯데 자이언츠]]로 와서 똑같은 이유로 13번을 달게 되었다.[* 안치홍은 이후 전준우의 뒤를 이은 롯데의 주장을 맡게 된다.] * 상기한 ‘The Giants' Bat Flip King‘이라는 별명에 걸맞게 아주 호쾌한 배트플립을 자랑하는 선수이다.[* 그 덕에 너무나도 유명한 흑역사 또한 생성되었다.] * [[강민호]]와 함께 선수 등장 곡 응원이 특이하기로 유명하다. 구절이 끝날 때마다 일종의 여흥을 돋구기 위한 응원으로써, 커뮤니티에서는 '유후~'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실제 발음으로는 '워↗호우↘~'에 가깝다.[* 실제 등장곡에서 나오는 추임새를 들어보면 "유후"나 "워호우"도 아닌 [[휘파람]] 소리에 가깝다.] 더 중요한 사실은 팀이 찬스 내지 승리가 가까울 때에 구호 길이는 더욱 더 길어지는데, 투수가 1구를 던질 때까지도 응원이 계속되는 경우도 있다. [[강민호]]보다 타 구단에서 바라보는 [[롯데 자이언츠]] 선수 인지도가 약간 떨어지는 특성상 네이버 지식인이나 야구 커뮤니티 게시판에서 간혹 전준우 등장 곡 응원에 대한 질문이 언급되기도 한다. 참고로 이 응원을 제대로 들을 수 있는 곳은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야구장]]이 대표적이다. [[사직 야구장]]은 반복 응원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 응원가가 좋은 [[롯데 자이언츠]] 내에서도 [[정훈]]과 타 팀으로 이적한 [[강민호]], [[손아섭]]과 함께 탑급 응원가로 꼽힌다.[* 원래 [[김주찬]]의 응원가였으나 전준우가 물려받았다. [[김주찬]] 시절 가사는 '''찬찬찬찬 쎄리라 쎄리라 롯데 김주찬~~~(X4)'''][* 응원가와 등장곡 둘 다 호평이다.] * 대기타석에서 다른 선수들이 어질러놓은 스프레이와 배트링을 줄줄이 세워놓는 루틴이 있다. * FA 계약을 당시 FA 시장이 얼어붙어 '''4년에 34억'''이라는 헐값에 계약하고 그 이상의 활약을 보일 때 다시 FA 인플레가 진행되자 각종 짤방이 돌기 시작했다. [[https://m.dcinside.com/board/giants_new2/8473481?recommend=1|이렇게나]][[https://m.dcinside.com/board/skwyverns_new1/320776?recommend=1|이런 식으로]] 삼성의 [[박한이]]가 떠오른다는 팬들의 우스갯소리는 덤. 롯데 팬들 사이에선 34억=1준우라는 화폐단위로 통용된다. 이후 2차 FA는 4년 47억에 잔류하면서 도합 8년 81억, 연 10억이라는 혜자로운 금액에 종신 롯데맨이 되었다. * 장타력이 있으면서 오랜 기간 팀의 1번 타자 자리를 맡아온 데다가 초구를 좋아하는 성향까지 더해져 경기 시작과 동시에 1회초 선두타자 초구 홈런을 3번이나 기록했다. 2020년까지 리그에 39번 밖에 없는 진기록이다. [[https://youtu.be/Mmt9Yv8KmhM|영상]] [[https://youtu.be/I5dzVlV5sJg|영상2]] * '''로이스터 시절 전준우가 8번타자, 황재균이 9번타자였던 추억의 라인업 속 선수 중 유일하게 현재 롯데 라인업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홍대갈이라고 불리는 클린업을 포함한 [[KBO 준플레이오프/2010년|2010 준플레이오프]] 당시 라인업이다.][* 당시 황재균의 반대급부로 트레이드된 [[김민성]]이 2024년에 트레이드로 다시 돌아오긴 했다.][* '''좌익수 손아섭(이적), 우익수 가르시아(은퇴), 3루수 이대호(은퇴), 유격수 황재균(이적), 2루수 조성환(은퇴), 1루수 김주찬(이적 후 은퇴), 포수 강민호(이적), 지명타자 홍성흔(이적 후 은퇴)...''' 이렇게 사진 속 선수들은 전준우 빼고 모두 팀을 떠나거나 은퇴했다. 당시 타 팀에 있던 선수들까지 다 끌어와도 타자는 [[김민성]]과 해외에 있던 [[이학주]], 투수진에서는 2023년에 들어온 [[김상수(투수)|김상수]], 2024년에 들어온 [[진해수]]가 유이하게 있다..][br][[파일:0D66EC70-6AD4-453A-B08F-0EA15E6035AD.jpg]] * 2022년 11월 24일 2022 시즌 공로상을 수상했다.[[http://osen.mt.co.kr/article/G1111995515|#]] == 야구 외 == * 대구에서 태어나 경주에서 학창시절을 보내며 부산에 오랫동안 살고 있지만 경상도 사람이 맞나 싶을 정도로 [[동남 방언]]을 잘 사용하지 않는다.[* 경상도를 떠나서 산 기간은 건국대에 다니던 4년과 경찰청에서 군 복무를 한 2년이 전부.] 억양이 가끔 나오는 경우가 있지만 대개 서울말을 주로 쓰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튜브 매체가 발달한 후 밝혀졌지만 인터뷰나 공식석상에서는 표준어를 사용하고 사적인 자리에서는 [[동남 방언]]을 쓰는 듯하다. [[GIANTS TV]]를 보고 '전준우도 사투리를 쓰는구나'하고 놀란 팬들이 많다. * 어깨길이가 자그마치 '''60cm'''이다. 평균 남자 어깨길이가 키보드 길이('''45cm''')라고 하는데 [[https://www.youtube.com/watch?v=8VVTepYdk80|전준우는 키보드를 대고도 남는다]]. 본인 말로는 딱히 운동을 하거나 해서 그런 건 아니고 타고난 거라고 한다.[* 카페알바를 하다 전준우를 손님으로 본 적이 있는데 눈앞 시야가 전준우 어깨로 다 가려지는 수준이었다.] [br][[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goucoHOZ91sqk8veo4_r1_1280.jpg|width=400]] * 전준우의 장인어른은 前 [[SK 와이번스]], 現 롯데 원정 분석기록원인 前 [[MBC 청룡]], [[청보 핀토스]] 출신 [[김바위]] 씨다. 또한 [[김바위]]의 아들인 [[kt wiz]]의 [[김진곤]]과는 [[처남]]-[[매부]] 관계가 된다. * 2012년 9월에 득녀했다. 이후, 2017년 12월 20일에 득남까지 하며 두 아이의 아빠가 되었다. 장녀인 하윤이는 아빠를 빼닮은 수준이다.[* 전준우 뿐 아니라 상당수의 전현직 롯데 선수와 첫째 자녀가 닮았다. [[이대호]]와 딸, [[신본기]]와 아들, [[정훈]]과 아들, [[브룩스 레일리]]와 딸, [[강민호]]와 딸, [[민병헌]]과 딸 등등. 오히려 엄마를 닮은 [[진명호]]의 아들이 특이 케이스다.] * [[경찰 야구단]] 시절, 야구단을 관리하던 경찰관이 전준우는 아무리 술을 먹어도 안 취하는 사람처럼 생겼다고 했다는 말이 있다. 꽤나 [[주당]]이라는 썰이 있었으나 [[GIANTS TV]]에 올라온 [[https://youtu.be/pHchVhFRTVk|<오프더롯코드> 영상]]에 의하면 자신은 2,3잔만 마셔도 얼굴이 붉어질 정도로 술에 약하다고 언급했다. 주당이라는 소문은 사실이 아닌 듯하다. 주량에 관해서는 예전에도 언급한 적이 있다. [[https://m.dcinside.com/board/giants_new2/11044762?recommend=1&page=6|#]] * SNS를 잘 하지 않는 편이다. 대신 아내가 SNS로 활발히 소식을 전해주고 있다. * 잘 부각되지는 않지만 상당히 잘생겼다. 젊었을 때 사진, 특히 짤방으로 유명한 기아전 강우콜드 짤에서 전준우는 KBO 최고 미남으로 꼽히는 [[이정후]]나 [[이대형]] 저리가라 수준. 물론 나이가 든 지금도 남성적인 미남이다. 다만 사진빨은 잘 안 받아 실물이 더 잘생긴 편. 의외로 [[모창민]][* 배트플립 설레발 사건 때 1루에서 전준우와 만난 선수는 모창민이었다.]과도 닮은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 [[손아섭]]이 [[https://youtu.be/rzQ6mEdsMfE?si=AOvK8QTHIJogSAXu|컴투스 프로야구 인터뷰]]에서 ‘생긴 거나 얼굴 크기나 내가 낫다’, ‘준우형이 늙어간다 옛날엔 참 잘생긴 형이었는데 이제는 아저씨 티가 난다’라는 주옥같은 발언을 하자 손아섭이 얼굴로 누구 평가할 수준은 아니라고 받아쳤다. 솔직히 못생겼다고 물론 팬들의 여론도 전준우 편. * [[MBC]] [[나 혼자 산다]]의 [[황재균]] 출연분에서 [[손아섭]]과 함께 영상통화를 하는 모습이 나왔다. 황재균, 손아섭과 밥을 먹는 장면도 나왔으며, 서로 연봉이 많으면 형이라고 본의 아니게 막내 취급을 받았다.[* 전준우는 두 번의 FA금액을 다 합쳐도 81억을 받는데, 손아섭과 황재균은 1차 FA금액만 각각 98억, 88억을 받았다.] * 인생 드라마로는 [[슬기로운 의사생활]], [[사랑의 불시착]], [[미스터 션샤인]]을 선택했다. 추가로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도 선택했다.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도깨비]] 장면 중 [[김고은]]이 "기억해야 돼!" 하며 적는 장면에서 꺽꺽 울었다고 한다. 그 때는 전지훈련 갔을 때였고 룸메이트는 [[신본기]]였다고 한다. * 2021년 2월 1일 [[GIANTS TV]]에 업로드된 [[https://youtu.be/pHchVhFRTVk|<오프더롯코드> 영상]]에서 해당 나무위키 문서를 읽었고 직접 전득병, 전발놈 등 본인의 별명을 모두 읽으며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꼴갤]]이 무엇이냐고 묻기도 하였고 수정할 부분도 지적하였다. 또한 최근 들어 갱년기라서 눈물이 많아졌다고 밝혔다. * [[홍창기]], [[이의리]]와 함께 넷마블 프로야구 2022의 공식 모델이 되었다. [[http://naver.me/FTO9UyBf|'15년 차 베테랑'도 처음인 야구게임 표지모델…전준우 "콘택트 만점 주실 거죠?" [SPOCHOO 인터뷰] ]] [각주][[분류:전준우]][[분류:야구선수/기타 사항]][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전준우, version=1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