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보건복지부장관)] ----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 [include(틀:한국사회당(1960년) 대표)]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특별시}}}]] [[종로구|{{{#cfa547 종로구 갑 }}}]])'''}}} || || 제3-4대[br][[윤보선]] || → || '''제5대'''[br][[윤보선]][*사퇴 대통령 선거 출마로 인한 사퇴] | '''전진한'''[*보궐 윤보선의 대통령 선거 출마 이후 실시된 재보궐 선거에서 당선] || → || 제6대[br]전진한[* 종로구 을과 합구]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6대-7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특별시}}}]] [[종로구|{{{#cfa547 종로구}}}]])'''}}} || || 제5대[br][[윤보선]] - 전진한[*종로갑][br][[한근조]][*종로을] ||<|2> {{{+1 →}}} ||<|2> 제6대 [br] ''' 전진한 ''' ||<|2> {{{+1 →}}} ||<|2> 제7대 [[유진오]] || ---- }}} || ---- ||<-2> '''[[보건복지부장관|{{{#ffffff 대한민국 초대 사회부 장관}}}]][br]{{{#ffffff {{{+1 전진한}}}[br]錢鎭漢 | Jeon Jin-ha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0709_153907.jpg|width=100%]]}}} || ||<|2> '''출생''' ||[[1901년]] [[11월 5일]]|| ||[[경상북도]] [[상주시|함창군]] 현내면 오사리[* [[http://www.mk.co.kr/sitemap/onews_view/1972/241919/|관련기사]]][br](現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사리 214번지)[* [[제5대 국회의원 선거]] [[http://elecinfo.nec.go.kr/neweps/ezpdfwebviewe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2F6570646174612F455030372F45434D323030372F30312F45434D303132303037303432332F45434D303132303037303432335F30303335532E706466|당시 선거공보물]]]|| ||<|2> '''사망''' ||[[1972년]] [[4월 22일]] (향년 70세)||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장충동2가]] 자택|| || '''묘소'''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 || '''본관''' ||[[전(성씨)#s-4|문경 전씨]][* 21세 한(漢) 항렬. [[전국]]에 3,018명밖에 안되는 희성이다. [[배우]] [[전인화]]가 전진한의 종씨이다.]|| || '''호''' ||우촌(牛村)|| ||<|2> '''재임기간''' ||초대 [[보건복지부장관|사회부 장관]]|| ||[[1948년]] [[8월 3일]] ~ [[1948년]] [[12월 23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전석기, [[어머니]] 박성악 || || '''배우자''' ||최광숙[* 崔光淑. 1909. 2. 29 ~ 1968. 10. 13. [[전주 최씨]]이다.] || || '''형제''' ||형 [[전준한]] || || '''자녀''' ||장녀 전금주[* 錢金周. 1930. 3. 22 ~ 2001. [[정재철]] 전 정무제1장관의 부인이다.], 장남 전창원[* 錢昌源. 1932. 5. 7 ~ 2021. 10. 27. [[동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동국대학교 대학원|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장 등을 역임했다.], 차녀 전인주[* 錢仁周. 1935. 10. 17 ~ .][br]3녀 전영희[* 錢永禧. 1937. 11. 18 ~ .], 4녀 전방자[* 錢芳子. 1944. 10. 10 ~ . [[이규태]] 전 [[조선일보]] 주필의 부인이다.] || || '''친인척''' ||사위 [[정재철]], 사위 [[이규태]][br]외손자 [[정문헌]] || || '''학력''' ||[[와세다대학]] 정경학부 {{{-2 ([[경제학]] / [[학사]])}}} || || '''종교''' ||[[불교]] || || '''의원 선수''' ||'''5''' || || '''의원 대수''' ||[[제헌 국회의원|'''1''']], [[제2대 국회의원|'''2''']], [[제3대 국회의원|'''3''']], [[제5대 국회의원|'''5(민)''']], [[제6대 국회의원|'''6''']] || || '''약력''' ||초대 사회부 장관[br]제헌 국회의원 (경북 상주군 을)[br]제2대 국회의원 (경남 부산시 무)[br]제3대 국회의원 (경남 부산시 을)[br]제5대 민의원의원 (서울 종로구 갑)[br]제6대 국회의원 (서울 종로구)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노동운동가, 정치인. 초대 [[보건복지부장관|사회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정치인 [[정재철]]과 언론인 [[이규태]]의 [[장인어른|장인]]이고, 정치인 [[정문헌]]의 [[외할아버지|외조부]]이며, 대한민국 최초 민간협동조합 창시자 [[전준한]]의 동생이다. == 생애 == 1901년 11월 5일 경상북도 함창군 현내면 오사리(현 상주시 함창읍 오사리)의 빈농가에서 아버지 전석기(錢晳起, 1879. 1. 28 ~ 1955. 7. 22)[* 초명 전경준(錢京俊).]와 어머니 [[박(성씨)|상주 박씨]](尙州 朴氏) 박성악(朴城岳, 1880. 11. 21 ~ ?) 사이에서 4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조부 전약우(錢若雨, 1827. 8. 21 ~ 1891. 7. 17)[* 아명은 전중종(錢仲宗).]는 1888년 4월 29일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종2품)에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25_04A_29A_00270_2003_128_XML|임명되었던]] 무관이었다. 소년기에는 여관 심부름꾼으로 일하다가 1917년 [[경기도]] [[경성부]]로 올라와 고학하였고, 이후 [[안동시|안동군]] [[일직면]] 망호리로 이주해 잠시 살다가 1920년 4월 기미육영회(己未育英會) 장학생으로 [[http://db.history.go.kr/id/su_005_1920_04_26_1480|선발되어]] [[일본]]으로 건너가게 되었다. 이후 와세다제1고등학원[* 와세다대학의 [[대학예과#s-2.1.4|예과]]]을 거쳐 1922년 [[일본]] [[와세다대학]] 정경학부 [[경제학과|경제과]]에 입학했다. 1926년 도쿄에서 형 [[전준한]]과 함께 협동조합운동사를 조직해 협동조합운동, 대중운동을 전개하였다. 1928년 와세다대학을 졸업한 후 귀국해 협동조합운동을 비롯해 [[한국독립운동|항일독립운동]], [[노동운동]]을 전개하다 신의주형무소에 투옥되어 2년간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1933년부터 독실한 불자(佛子)로서 [[강원도]] [[금강산]], [[오대산]] 등지에 10여 년간 은거하며 참선을 하다가 광복을 맞이했다. 광복 이후 정치가로 활동했지만 죽을 때까지 참선을 멈추지는 않았다. 후일 “[[정치]]는 부업이고, [[참선]]이 본업이었다”라 말하기도 하였다. 1945년 [[8.15 광복]] 이후 처음에는 [[조선건국준비위원회]]에 간여하다가 [[한국민주당]] 발기운동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후 [[이승만]]의 단독정부 수립론을 지지하면서도 노동운동을 하였다. 1948년 5월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노동총연맹]][* 이 [[조직]]은 훗날 [[한국노총]]이 된다.] 후보로 경상북도 상주군 을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제헌 국회|제헌국회]]에서 활동하면서 제헌헌법에 [[노동삼권|노동3권]]과 노동자의 이익균점권 등 노동 관련 조항들을 명시하는데 기여했다. 당시 회의록에는 보통 다른 의원들은 5분 정도 발언하는데, 전진한 의원은 이익균점권 [[조항(법률 용어)|조항]] 명시를 주장하는데 약 20분 동안 발언해 [[신익희]] 부의장이 짜증을 내는 모습이 기록되어 있다. 그의 [[노동]] 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관심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1948년 8월 [[이승만]] [[대통령]]에 의해 초대 [[보건복지부장관|사회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1949년 [[국제 노동조합 연맹|국제자유노동조합연맹]](ICFTU)[* International Confederation of Free Trade Unions]의 창립과 이후의 국제노동운동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노동총연맹 후보로 [[경상남도]] [[부산광역시|부산시]] 갑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1952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재보궐선거]]에서 대한노동총연맹 후보로 경상남도 부산시 무 지역구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남도 부산시 을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5년 이후 이승만 대통령의 [[독재]]에 [[반대]]하는 운동을 하였다. 1955년 [[노농당]][* [[노동당(한국)|노동당]]이 아니다.]을 결성한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노농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갑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1955년)|민주당]] [[윤명운(정치인)|윤명운]]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 [[한국사회당(1960년)|한국사회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성동구]] 갑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유성권]]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http://elecinfo.nec.go.kr/neweps/ezpdfwebviewe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2F6570646174612F455030372F45434D323030372F30312F45434D303132303037303432332F45434D303132303037303432335F30303335532E706466#|선거공보물]]] 같은 해 [[윤보선]]의 대통령 출마로 치러진 서울특별시 [[종로구 갑]] 지역구 [[1960년 재보궐선거|재보궐선거]]에서는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3년 [[민정당]] 창당에 참여하고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5년 [[한일기본조약]] 체결에 반대하였다. 1967년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 [[한국독립당(1963년)|한국독립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5위로 낙선하였다.[* [[http://elecinfo.nec.go.kr/neweps/ezpdfwebviewe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2F6570646174612F455030362F45434D323030362F30312F45434D303132303036303734312F45434D303132303036303734315F30303033532E706466|선거벽보]]] 같은 해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 한국독립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당(1967년)|신민당]] [[유진오]]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2년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장충동2가]] 186-35번지 자택에서 [[숙환]]인 뇌경화증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204200020920101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2-04-20&officeId=00020&pageNo=1&printNo=15551&publishType=00020|별세했다]]. == 업적 == === 이익균점권 === [[제헌 국회의원]]이었던 그는 [[헌법]]에 노동자 경영참여권과 이익균점권 조항을 추가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 중 이익균점권은 헌법에 명시되지만 노동자 경영참여권은 치열한 [[토론]] 끝에 명시되지 못했다. 이익균점권은 [[제헌헌법]] 제18조 제2항에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기업(私企業)에 있어서는 [[근로자]]는 [[법률]]의 정하는 바에 의하여 [[이익]]의 분배에 균점할 [[기본권|권리]]가 있다”라는 조항으로 명시되었으나 [[5.16 군사정변]] 이후 [[삭제]]된다. 이는 지금 시대에도 매우 [[급진]]적인 조항으로, 쉽게 말하면 “[[자본가]]가 [[기업]]에 [[자본]]을 출자해 기업의 이익을 일부 분배받는 것처럼, [[노동자]]도 기업에 노동력을 출자하므로 그만큼 기업의 이익을 분배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약 70년 전인 1948년에 [[우파]] 정치인이 주장한 내용이다. === [[근로기준법]] === 1953년 최초의 [[근로기준법]] 제정에 기여하였다. 지금 기준으로도 노동자의 권익을 최대한으로 보장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당시 노동자들은 [[법]]에 대해 [[무지]]했던 탓에 이 법의 [[존재]]조차 몰랐고, [[박정희 정부]]의 [[수출]]중시 정책 탓에 이 법을 지키는 기업이 거의 없었다. == 사상 == === 자유협동주의 === 전진한은 우파 정치인으로서 자칫 자유를 억압하고 독재의 도구로 악용될 수 있는 [[공산주의]]를 [[반대]]했지만, 자본가에 의한 일당적 사회 지배 또한 우려하였다. 그 결과 1955년 이승만과 결별하고 노농당을 창당, 『자유협동주의』라는 책을 펴내 다음과 같은 사상을 제창했다. [[자유협동조합주의|자유협동주의]]는 개인의 자유를 바탕으로 각자가 창의적으로 제 소질과 재능을 발휘하는 사회, 노동과 자본이 조화를 이루는 사회, 사람들 간의 상호 연대와 자립, 자치, 협동이 이루어지는 사회를 추구하는 사상이다. 전진한의 말에 따르면 “음악에 있어서 악사가 각자 법열 속에서 자유로이 자신의 악기의 성능과 자기의 개성을 발휘하여 전체와 협동함으로써 하나의 심포니를 형성하는 것”으로 비유할 수 있다. 그는 협동조합운동을 전개하며 독자적인 자유협동주의 사상 체계를 발전시켜나갔고, “협동이 없는 자유는 방종과 탐욕으로 흐르며, 자유가 없는 협동은 [[전체주의]]와 [[파시즘]]으로 귀결된다”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 성향 === 전반적인 사상이 사회적 시장경제를 주장하는 [[질서자유주의]]적인 사상과 닮아있다. [[노농당]] 강령으로써 [[경제민주화]]의 본래 의미인 경제적 민주주의도 주장했는데, 자유협동주의도 그렇고 연결시켜보면 한국에서도 독일처럼 “자본가와 노동자가 협력하면서 발전한다”는 주장을 한 [[반공주의]]적 우익 정치인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실 전진한의 사상은 고전적인 [[생디칼리즘]]에 기반하고 있다. 그러나 [[무정부주의]]나 좌파 사상과는 거리가 있는, [[코포라티즘]]에 가까웠다고 볼 수 있다. == 매체 == [[제1공화국(드라마)]], [[제3공화국(드라마)]]에서는 배우 [[김상순(배우)|김상순]]이 연기하였다. === [[야인시대]] === [include(틀:야인시대 - 제1공화국 정치인)] [[야인시대]]에서는 성우 [[이종구(배우)|이종구]]가 연기했다. 전진한이 [[경상북도|경북]] 출신임을 감안했는지 [[동남 방언]]을 구사한다. 그리고 조병옥, 장택상, 조봉암과 함께 비중있는 정부의 인사 중 하나이다. 첫 등장은 정부 수립 후 사회부 장관으로서 대통령이 장관들과 대면한 자리에서였는데, 이승만이 그의 남루한 복장을 문제삼았고 [[임영신]]도 거들었다. 그러나 오히려 기죽기는커녕, “옷보다 사람이 중요하다” “많은 국민들이 끼니도 때우지 못하고 고생하는 와중에, 민생을 책임져야 할 장관인 자신이 쓸데없이 겉만 번지르르한 양복이나 빼입고 다닐 수는 없다”고 반박하는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에 대해 이승만은 화를 내며 “[[꼰대|어른이 하는 말에 토를 단다]]”고 버럭했다.] [[6.25 전쟁]] 시기 부산에서 활동하는 김두한을 만나 노동운동에 대한 조언을 해주었으며, 김두한이 학도병을 이끌고 전선으로 가기 전에 유진산과 함께 그를 방문하기도 하였다. 이후 [[3.15 부정선거]] 때(121화) 자유당의 전횡이 거세지자 “이럴 줄 알았다”고 말하고 나서부터 등장하지 않았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 경북 상주군 을[* 제28선거구] || [include(틀:대한노동총연맹)] || '''31,518 (75.44%)''' || '''당선 (1위)''' || '''초선'''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부산시 갑[* 제1선거구] ||<|3> [include(틀:노농청년연맹)] || 9,062 (20.91%) || 낙선 (3위) || || ||<|2> 1952 || [[제2대 대통령 선거|제3대 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302,471 (4.24%) || 낙선 (6위) || || || 1952년 재보궐선거 || 경남 부산시 무[* 제5선거구] || - ||<|2> '''당선 (1위)''' || '''재선'''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부산시 을[* 제2선거구] || [include(틀:무소속)] || '''31,278 (38.00%)''' || '''3선'''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영등포구 갑]][* 제15선거구] || [include(틀:노농당)] || 6,379 (15.52%) || 낙선 (3위) || || ||<|2>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성동구 갑]][* 제7선거구] || [include(틀:한국사회당(1960년))] || 13,774 (25.50%) || 낙선 (2위) || || || [[1960년 재보궐선거]] || 서울 [[종로구 갑]][* 제1선거구] || [include(틀:무소속)] || '''11,326 (49.53%)''' ||<|2> '''당선 (1위)''' || '''4선'''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종로구(선거구)|종로구]][* 제1지역구] || [include(틀:민정당)] || '''36,123 (50.20%)''' || '''5선''' || ||<|2> 1967 || [[제6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2> [include(틀:한국독립당(1963년))] || 232,179 (2.09%) || 낙선 (5위) || ||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종로구 갑[* 제1지역구] || 2,347 (2.93%) || 낙선 (3위) || || || {{{#ffffff,#191919 '''역대 선거 공보, 벽보'''}}} [* 제헌 국회 시절 벽보부터 6대 국회까지의 선거벽보는 확인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벽보 보존의 필요성을 못 느껴 선거벽보를 보존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을 비롯한 1950년대 부터 정치를 시작한 원로 정치인들의 선거벽보 상당수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진한 5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진한 6대 대선.jpg|width=100%]]}}} || || [[제5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000000,#e5e5e5 (서울 7[* 성동구 갑])}}} || [[제6대 대통령 선거|{{{#000000,#e5e5e5 제6대 대통령 선거}}}]] {{{#000000,#e5e5e5 (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진한 7대.jpg|width=100%]]}}} || || || [[제7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제7대 국회의원 선거}}}]] {{{#000000,#fff (서울 1[* 종로구])}}} || ||}}}}}}}}} ||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신간회)] || 1927 - 1928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28 - 1945 || 탈당[br]정계 입문 || || [include(틀:건국준비위원회)] || 1945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45 || 탈당 || || [include(틀:한국민주당)] || 1945 - 1946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46 || 탈당 || || [include(틀: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946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46 || 신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 1946 - 1948 || 창당 || || [include(틀:대한노동총연맹)] || 1948 - 1950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1950 || 탈당 || || [include(틀:노농청년연맹)] || 1950 - 1952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52 || 정당 해산 || || [include(틀:자유당)] || 1952 - 1954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54 - 1955 ||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노농당)] || 1955 - 1959 || 창당 || || [include(틀:민족주의민주사회당)] || 1959 - 1960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1960 || 자진 정당 해산 || || [include(틀:한국사회당(1960년))] || 1960 - 1961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61 - 1963 || [[5·16 군사정변]]으로 인한 정당 해산 || || [include(틀:민정당)] || 1963 - 1965 || 창당 || || [include(틀:민중당(1965년))] || 1965 - 1967 || 합당[* [[민주당(1963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1967 || 합당[* [[신한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1967 || 탈당 || || [include(틀:한국독립당(1963년))] || 1967 - 1970 || 입당[br]정계 은퇴 ||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1970 - 1972 || 합당[* [[신민당(1967년)|신민당]]에 흡수 합당][br]사망 || == 참고 문서 == *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476|시사IN - 이익공유제보다 진일보한 ‘이익균점권’]] : [[녹색평론]] 김종철 발행인의 칼럼이다. * [[http://www.economyinsight.co.kr/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1945|이코노미인사이트 - 제헌헌법 ‘이익균점권’의 재발견]]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501567|매일신문 - 한국협동조합운동의 선구자, 전진한]] * [[http://aladin.kr/p/HfrUN|우촌 전진한 평전]][* 한성대학교 근현대사 교수인 조규태가 집필했다.] == 관련 문서 == * [[정재철]] * [[이규태]] * [[정문헌]] * [[전상헌]] * [[김두한]] * [[유익배]]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공화국의 국무위원)] [include(틀:제6대 대통령 선거 후보)] [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상북도)] [include(틀:제2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3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5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6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노동운동가]][[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제3대 부통령 선거/후보]][[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제2대 국회의원]][[분류:제3대 국회의원]][[분류:제5대 민의원의원]][[분류:제6대 국회의원]][[분류:민정당 국회의원]][[분류:신민당(1967년) 국회의원]][[분류:한국독립당(1963년) 국회의원]][[분류:민중당(1965년) 국회의원]][[분류:제6대 대통령 선거/후보]][[분류:상주시 출신 인물]][[분류:문경 전씨]][[분류:1901년 출생]][[분류:1972년 사망]][[분류:와세다대학 출신]][[분류: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분류:국민훈장 무궁화장]][[분류:중동고등학교 출신]][[분류:사회부 장관]][[분류:이승만 정부/인사]][[분류:한국노동조합총연맹 출신 인물]][[분류:희귀성씨인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