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電鐵([[전기철도]])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전기철도의 준말인 전철, rd1=전기철도)] == 前轍 == 앞에 지나간 [[수레]][[바퀴]]의 자국이라는 뜻으로, 이전 사람의 그릇된 일이나 행동의 자취를 이르는 말. 만약 그 사람의 그릇된 일이나 행동을 [[역사는 반복된다|다른 사람이 반복할 경우]] '전철을 밟는다'고 말한다. 간혹 '전철을 밟아 성공하겠다'며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잘못된 용법이다. 이 말은 옛 [[중국]] 속담인 '앞 수레가 엎어짐은 뒷 수레의 가르침이 된다', 즉 전거복, 후거계(前車覆後車戒) 혹은 전거복이 후거계(前車覆而後車戒)에서 비롯한다. 이 3:3 어구가 4:4로 확장돼 '앞 수레가 엎어진 자국이 뒷 수레의 가르침이 된다'라는 전거복철, 후거지계(前車覆轍, 後車之戒)가 되고 다시 전거복철로 줄어들렇다가 마지막에는 전철로 줄어든 것. ex)○○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조심하다. == 轉轍 == 선로의 분기점에서 열차나 전차를 다른 선로로 옮기기 위하여 선로를 바꾸거나 바뀜. == 轉綴 == [[어구전철]]([[애너그램]])의 줄임말이다. == 독일어의 전철 == [[독일어]]의 동사 앞에 붙는 단어이며, 이것을 통해 동사의 의미가 정해진다. 동사에 전철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동사의 뜻이 달라진다. 분리전철과 비분리전철로 구분된다. 한자로는 전철(前綴)이라고 쓴다. === 분리 전철 === 분리전철에 해당되는 전철에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단어(전치사, 부사)들이 많다. * 분리 전철에 해당하는 전철: ab-, an-, auf-, aus-, bei-, ein-, fest-, her-, hin-, los-, mit-, vor-, weg-, zu-, zurück-, zusammen- 분리 전철이 포함된 동사는 분리 동사라고 부르는데, 분리동사를 사용할때엔 분리전철이 문장의 맨뒤로 이동한다. 그리고 분리 동사에선 분리 전철에만 강세가 있다. * Wann kommst du mit? 넌 언제 함께 가니? --이래서 독일어는 한국어처럼 끝까지 들어봐야 아는 언어다.-- 현재완료 시제를 사용할 경우 동사의 현재완료형 앞에 분리전철을 붙인다. * Ich bin gerade aufgewacht. 나는 막 잠에서 깨어났다. zu 부정사를 사용할 경우 zu는 분리전철과 동사 사이에 넣는다. * Ich gehe sie ab'''zu'''holen. 나는 그녀를 마중나가러 간다. 단, weil이나 관계대명사처럼 동사가 맨 뒤로 이동할때엔 전철을 맨뒤로 옮기지 않고 그대로 이어서 사용한다. * Ich glaube, dass er morgen hier zurückkommst. 나는 그가 내일 여기에 돌아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 비분리 전철 === 비분리 전철에 해당하는 전철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 비분리 전철에 해당하는 전철: be-, emp-, ent-, er-, miss-, ver-, zer- 비분리 동사는 분리 동사가 아니므로 전철을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 단, 현재완료 시제로 사용할 경우 ge-를 붙이지 않는다. 또한 비분리 전철에는 강세가 없다. * Ich habe meinem Sohn ein Märchen erzählt. 나는 나의 아들에게 동화 한 편을 들려주었다. === 분리/비분리 전철 === 전철이 분리될수도 있고, 분리되지 않을수도 있는 동사다. 분리/비분리 동사는 '''__쓰임에 따라 동사의 의미가 다르다.__''' * 분리/비분리 동사에 해당하는 전철: durch-, hinter-, um-, unter-, über-, voll-, wider-, wieder * Der Hund holt den Ball wieder. 그 개는 공을 다시 가져온다. * Feuer einstellen! Ich wiederhole: Feuer Einstellen! 사격 중지! 반복한다. 사격 중지! 분리 전철에는 강세가 있고 비분리 전철에 강세가 없듯이, 분리/비분리 전철에서도 이 규칙이 그대로 적용된다. 따라서 글자가 똑같아 보여도 쓰임에 따라 강세가 달라지므로 발음할 때 주의하자. == 가수 전철 == 1972년생 트로트 가수. 대표곡으로 2002년에 발표한 해운대 연가가 있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