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문화훈장|{{{#EDE4D3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자}}}]]}}}''' || ||<-2> [[파일:문화보관.jpg|width=170]] || || '''연도''' || '''1995년''' || || '''이름''' || '''전택이''' || || '''분야''' || '''영화''' || ||<-2> '''[[틀:보관문화훈장|{{{#EDE4D3 보관문화훈장(3등급)}}}]]''' || ---- 田澤二 [[1912년]] [[6월 10일]] ~ [[1998년]] [[3월 2일]](향년 85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이자 [[영화감독]]. 본명은 전용탁(田溶鐸). [[한국 영화]]사의 산 증인이기도 하며, 배우 노경희의 남편으로 알려졌다. == 생애 == 1912년 [[경성부]]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경성사범부속국민학교]]와 [[양정고등보통학교]]를 각각 졸업했다. 1929년경 극단 '야명가극단'에 입단한 뒤 '문외'와 '황금좌', '신무대' 등지를 돌며 연기 경력을 쌓고 1935년에 조선극장 지배인이던 김한을 알게 된 계기가 되어 [[나운규]] 감독의 영화 <강 건너 마을>에서 본격 데뷔했다. 이후 <[[아리랑 제3편]](1937)>, <청춘부대(1938)>, <국경(1939)>, <복지만리(1941)> 등 숱한 영화에서 주/조연을 맡아왔고, 1945년 8.15 광복 후에도 <[[자유만세]](1946)>, <수우(1948)> 등을 필두로 1967년 <지상에서 영으로>까지 배우 생활 동안 총 115편의 영화에 나오며 개성 있고 활달하면서 코믹한 연기로 대중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특히 1955년 <[[춘향전(1955)|춘향전]]>에선 부인 노경희(1927~1995)와 동반으로 방자와 향단 역을 동반으로 맡아 화제가 됐다. 1958년에 <애정무한>의 연출을 맡아 감독으로 데뷔하여 총 4편을 남겼지만 관심을 끌지 못했다. 1953년에는 영화연기연구회를 발족한 뒤, 1955년에 대한영화배우협회(현 한국영화배우협회)로 발전시켜 1956년까지 초대 회장을 맡아 [[한국 영화]]계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그 뒤에도 한국영화배우협회 상임고문 등을 맡으며 후배들을 지원하는 등의 여러 일을 맡다가 1998년 3월 2일 낮 1시 50분, [[서울시 중구]] [[인현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장례는 서울중앙병원 영안실에서 영화인협회장으로 거행됐으며, 유족으로는 4남 1녀가 있다. == 작품 목록 == * 강 건너 마을 (1935) * [[아리랑 제3편]] (1936) - 측량기사 역 * [[심청전/영화#심청(1937)|심청]] (1937) - 뱃사람 역 * 청춘부대 (1938) * 국경 (1939) * 성황당 (1939) - 칠성 역 * 귀착지 (1939) * [[수업료(영화)|수업료]] (1940) - 금붕어 장수 역 * 승리의 뜰 (1940) * 집없는 천사 (1941) - 엿장수 역 * 복지만리 (1941) * 창공(원제: 돌쇠) (1941) - 도야지바우 역 * 아내의 윤리 (1941) * [[반도의 봄]] (1941) - 방자 역 * 풍년가 (1942) - 석보 역 * 망루의 결사대 (1943) - 임 순사 역 * [[거경전]] (1944) * 사랑과 맹세(원제: 愛と誓ひ) (1945) - 마을 주민 역 * [[자유만세]] (1946) * 국민투표[* 미국 공보원이 제작한 교육영화.] (1948) * 수우 (1948) * 전우 (1949) * 태양의 거리 (1952) * 청춘 (1953) * 출격명령 (1954) * [[춘향전(1955)|춘향전]] (1955) - 방자 역 * 열애 (1955) * [[막난이 비사]] (1955) * 단종애사 (1956) * 포화속의 십자가 (1956) * 애인 (1956) * 애원의 고백 (1957) * 실락원의 별 (1957) - 영해(영림의 오빠) 역 * 실락원의 별(후편) (1958) - 영해(영림의 오빠) 역 * 돈 (1958) - 시장여인 오빠 역 * 애정무한 (1958) - 감독 * 낙화유수 (1958) - 각본 * 그 여자의 죄가 아니다 (1959) * 꿈이여 다시한번 (1959) * 춘희 (1959) * 푸른 날개 (1959) - 감독 * 추억은 영원히 (1960) - 감독 / 주연 * 8·15전야 (1961) - 평양 XX부대 교관 역 * 에밀레종 (1961) * 천하일색 양귀비 (1962) * 억세게 재수좋은 사나이 (1962) - 오형식(한국전업 건설과장) 역 * 검은 꽃잎이 질때 (1962) - 장인수(동북산업 사장) 역 * 애정삼백년 (1963) * 거지왕자 (1963) - 강대파 역 * 대륙의 밀사 (1964) - 마츠야마 대좌 역 * 광야의 호랑이 (1965) - 하라다 대위 역 * 홍도야 우지마라 (1965) - 감독 / 각본 * 무명가의 지배자 (1965) * 간첩작전 (1966) - 장무술 역 * 목없는 미녀 (1966) - 1군 허 헌병소장 역 * 무정가 일번지 (1966) * 유관순 (1967) - 임 보조원 역 * 악인가 (1967) * 지상에서 영으로(지상에서 0(제로)로) (1967) - 불가사리(용태의 부하) 역 == 수상경력 == * [[보관문화훈장]] (1995) * 제16회 [[청룡영화상]] 특별공로상 (1995) * 제34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특별상 (1998) == 참고 자료 == * [[https://www.kmdb.or.kr/db/per/00000061|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자료]] * [[https://www.kmdb.or.kr/story/76/1616|한국영상자료원 <구술로 만나는 영화인(김종원 글)> - 전택이 편]]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9727|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항목]] * [[https://blog.naver.com/q3809/130023988730|<삼천리> 1941년 7월호 인터뷰 기사가 실린 블로그 자료]] [각주] [[분류:한국 남배우]][[분류:한국 영화 감독]][[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12년 출생]][[분류:1998년 사망]][[분류:보관문화훈장]][[분류: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출신]][[분류:양정중학교 출신]][[분류:양정고등학교(서울)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