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 ||<-2>
{{{#373a3c,#dddddd '''{{{+1 전희절창 심포기어 XV}}}''' (2019)[br]戦姫絶唱シンフォギアXV}}}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XVkeyvisual.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373a3c,#dddddd 장르}}}''' ||[[사이언스 픽션|SF]] || || '''{{{#373a3c,#dddddd 원작}}}''' ||[[아게마츠 노리야스]][* 작곡가. 음악 창작 집단 '[[Elements Garden]]'의 대표][br]카네코 아키후미(金子彰史)[* 게임 크리에이터] || || '''{{{#373a3c,#dddddd 캐릭터 원안}}}''' ||요시이 단(吉井ダン)[* 만화가 겸 일러스트레이터. 대표작은 만화 온타마'] || || '''{{{#373a3c,#dddddd 감독}}}''' ||[[오노 카츠미]] || ||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카네코 아키후미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후지모토 사토루]] || || '''{{{#373a3c,#dddddd 총 작화감독}}}''' ||[[후지모토 사토루]][br][[카바시마 요스케]][br]후츠자와 토모에몬(普津澤時ェ門) || || '''{{{#373a3c,#dddddd 부감독}}}''' ||<|2>[[코타 후미아키]] || || '''{{{#373a3c,#dddddd 노이즈 디자인}}}''' || || '''{{{#373a3c,#dddddd 메인 애니메이터}}}''' ||오오쿠보 요시유키(大久保義之)[br]사카모토 슌타(坂本俊太)[br][[하뉴(애니메이터)|하뉴]] || || '''{{{#373a3c,#dddddd 메카닉 디자인}}}''' ||[[타이가 히로유키]][br]카와하라 토모히로(川原智弘) || || '''{{{#373a3c,#dddddd 액션 디렉터}}}''' ||[[시키지 유키요시]][br][[스기에 토시하루]][br]나카코지 요시타케(中小路佳毅)[br][[타카시마 히로유키]] || || '''{{{#373a3c,#dddddd 미술 디자인}}}''' ||빈센트 응이엠(ニエム・ヴィンセント)[br]로익 로카텔리(ロキャテリ・ロイック)[br]양 르갈(ルガル・ヤン)[br]기욤 조아나(ギヨーム・ジョアナ)[br]코야마 마유코(小山真由子)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와타나베 유키히로(渡辺幸浩)[br]키쿠치 토모코(菊地明子)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시노하라 아이코(篠原愛子)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시무라 츠요시(志村 豪) || || '''{{{#373a3c,#dddddd CG 디렉터}}}''' ||모리노 코스케(森野浩典) || || '''{{{#373a3c,#dddddd 2D 웍스}}}''' ||카게야마 지로(影山慈郎) || || '''{{{#373a3c,#dddddd 특수 효과}}}''' ||이이다 아야카(飯田彩佳) || || '''{{{#373a3c,#dddddd 편집}}}''' ||카네시게 료코(兼重涼子)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모토야마 사토시(本山 哲) || || '''{{{#373a3c,#dddddd 음악}}}''' ||[[Elements Garden]] || || '''{{{#373a3c,#dddddd 슈퍼바이저}}}''' ||나카니시 고(中西 豪)[br]나가하타 카츠야(長畑克也)[br]이이즈카 후유나(飯塚芙由奈)[br]시마다 아츠시(島田 篤)[br]코우다 히데노리(國府田英則) || || '''{{{#373a3c,#dddddd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미시마 아키오(三嶋章夫)[br][[키다니 타카아키]][br]오오타 토요키(太田豊紀) || || '''{{{#373a3c,#dddddd 프로듀서}}}''' ||모리이 유스케(森井佑介)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카네코 후미오]][br]사사키 카즈야(篠笥和也)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SATELIGHT]] || || '''{{{#373a3c,#dddddd 제작}}}''' ||Project 심포기어 XV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9년 7월|2019. 07. 07.]] ~ 2019. 09. 29.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도쿄 MX]] / (일) 01:00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13화 || || '''{{{#373a3c,#dddddd 시청 등급}}}''' ||심의 없음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www.symphogear-xv.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YMPHOGEAR)]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XVlogo.png|width=300%]] || || '''Create a history,[br]with the light God could not know''' '''"신조차 모르는 빛으로, 역사를 만들자"'''[* 참고로 역광의 플뤼겔과 무지갯빛의 플뤼겔의 노래 소절이다.] || >'''繋ぐこの手には― [ruby(神, ruby=キミ)]を殺す力がある。''' >'''맞잡은 이 손에는― [ruby(신, ruby=너)]을 죽이는 힘이 있다.''' [[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의 제 5기이자 '''''마지막 시리즈."''' 'XV'라고 쓰고 '엑시브(エクシヴ)'라고 읽는다. 감독은 [[오노 카츠미]],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19년 7월|2019년 7월]]. == 공개 정보 == 본래 [[애니메이션/2019년 4월|2019년 4월]]에 방영될 예정이었으나 제작측의 사정으로 인해 연기되어 [[애니메이션/2019년 7월|2019년 7월]]로 방영 예정이 잡혔다. [[http://www.symphogear-axz.com/news_181210.php|#]] 자세한 이유는 밝히지 않고 있으나 G부터 감독을 맡고 있던 [[오노 카츠미]]와 기타 스태프들이 19년 1월 작품인 [[걸리 에어포스]]를 담당하게 된지라 이로 인해 연기된 것으로 추정된다.[* 4기 AXZ 기준 메카닉 디자이너 타이가 히로유키, 미술감독 마츠모토 히로키, 음향감독 모토야마 사토시 역시 걸리 에어포스에 참여했다.] 1기부터 계속 언급되었던 창조주, 커스토디언 아눈나키가 드디어 직접 등장하며, 심포기어 주자들과 진정한 흑막의 최종결전을 다루는 내용이다.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Gl3vAScd2sk, width=100%)]}}} || || '''PV''' || == 특징 == 라스트 이그니션을 사용한 이후 바뀐 전체적 기어에 형태가 XD UNLIMITIED에서 확인 된 관계로 5기부터는 새로운 기어의 형태를 보게 된다. 키 비주얼에도 보이듯 일단 옷에 검정색이 차지하는 부분이 늘어났다. XV 방영 전 공식 채널에서 기간한정으로 공개된 1기 1화에서 짦은 XV 예고 CM가 나왔는데 분위기가 심상치 않은 편, 1기부터 AXZ까지의 히비키와 미쿠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배경음이 우울하고, 마지막에 위의 문구가 나왔다, 아마도 AXZ 마지막화에 나온 신수경에 맞아 바랄의 저주가 풀린 히비키와 미쿠와 관련된 모양. 한편, 공식 측에서 이번 작품이 '''TV 시리즈 완결작'''이라고 직접적으로 밝혔다.[[https://twitter.com/SYMPHOGEAR/status/1136937656200286209?s=20|#]] 굳이 '시리즈 완결작'이 아닌 'TV 시리즈 완결작'이란 워딩을 쓴 것으로 보아서, 이후 완결편이나 번외편 격의 극장판이나 OVA 등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많다. XV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추측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XV를 숫자 15로 생각하여 타로 카드의 15번인 악마 카드(The Devil)를 뜻한다고 보는 의견이다. 점성술에서 악마 타로 카드는 [[염소자리]]를 의미하는데, 이는 엔키를 상징하는 별자리이다. 그외에도 XV의 중심인물인 [[코히나타 미쿠]]를 가르킨다는 해석도 있다. 일본에서는 미쿠를 393[* 그대로 읽으면 미쿠상(未来さん)이 된다]이라고 부르는데, 3+9+3=15가 되기 때문이다. == 등장인물 == * 개별 문서가 없는 인물은 [[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등장인물]] 문서 참고. === S.O.N.G === ==== 심포기어 주자 ==== * [[타치바나 히비키]] * [[카자나리 츠바사]] * [[유키네 크리스]] * [[마리아 카덴차브나 이브]] * [[츠쿠요미 시라베]] * [[아카츠키 키리카]] ==== 지휘부 ==== * [[카자나리 겐쥬로]] * [[오가와 신지(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오가와 신지]] * [[엘프나인]] === 사립 리디안 음악원 === * [[코히나타 미쿠]] === [[노블 레드(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노블 레드]] === * [[바네사(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바네사]] * [[엘자(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엘자]] * [[밀라알크]] === 아눈나키 === * [[엔키(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엔키]] * [[쉠 하메포라쉬]] === 기타 인물 === * [[카자나리 후도]] * [[카자나리 야츠히로]] * [[타치바나 아키라]] * [[생 제르맹(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생 제르맹]] * [[캐롤 말뤼스 디엔하임|스포일러]] - [[오토 스코어러|스포일러]] == 음악 == === 주제가 === ==== OP ==== ||<-2>
'''{{{#373a3c,#dddddd OP[br]METANOIA[* "メタノイア(메타노이아)"를 거꾸로 읽으면 "アイノタメ(사랑을 위해)"가 된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MjKDaV6nJU,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U7hifD35bo,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2> [[미즈키 나나]] || || '''작사''' || || '''작곡''' || [[아게마츠 노리야스]] || || '''편곡''' || 후지나가 류타로(藤永龍太郎)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오노 카츠미]] || || '''연출''' || || '''작화감독''' || [[후지모토 사토루]]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ED ==== ||<-2>
'''{{{#373a3c,#dddddd ED[br]Lasting So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umm5Oid7z0,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SbAlnLzs7M,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2> [[타카가키 아야히]] || || '''작사''' || || '''작곡''' ||<|2> 후지타 준페이(藤田淳平)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오노 카츠미]] || || '''연출''' || || '''작화감독''' || [[후지모토 사토루]] || || '''1인 원화''' || [[이노우에 히데키]]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노래|삽입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노래)]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한국에서는 정식 공개가 이뤄지지 않는 작품이므로 한국어 번역 제목은 임의로 서술되었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4 EPISODE 1}}} || {{{-4 人類史の彼方から[br]인류사의 저 너머에서}}} ||<|2> {{{-4 카네코 아키후미[br](金子彰史)}}} || {{{-4 [[오노 카츠미]]}}} || {{{-4 [[코타 후미아키]]}}} || {{{-4 [[후지모토 사토루]]}}} ||<|2> - || {{{-4 2019.07.07.}}} || || {{{-4 EPISODE 2}}} || {{{-4 [ruby(大空, ruby=ソラ)]が墜ちる日[br]하늘이 무너지는 날}}} ||<-2> {{{-4 [[히라노 히로키]][br]오노 카츠미[*L 라이브]}}} || {{{-4 [[카바시마 요스케]][br][[하뉴(애니메이터)|하뉴]]}}} || {{{-4 2019.07.14.}}} || || {{{-4 EPISODE 3}}} || {{{-4 Penny Dreadful}}} ||<|11> {{{-4 나가이 신고[br](永井真吾)[br]카네코 아키후미}}} || {{{-4 [[후루카와 토모히로]]}}} || {{{-4 미시오 텐페이[br](三塩天平)}}} || {{{-4 사카모토 슌타[br](坂本俊太)[br]카토 히로마사[br](加藤弘将)[br]후쿠다 케이타[br](福田圭太)}}} || {{{-4 후츠자와 토모에몬[br](普津澤時ェ門)}}} || {{{-4 2019.07.21.}}} || || {{{-4 EPISODE 4}}} || {{{-4 花の名は、アマルガム[br]꽃의 이름은 아말감}}} ||<-2> {{{-4 [[타네무라 아야타카]]}}} || {{{-4 오오쿠보 요시유키[br](大久保義之)[br]하뉴[br]나카지마 준[br](中島 順)}}} || {{{-4 후지모토 사토루}}} || {{{-4 2019.07.28.}}} || || {{{-4 EPISODE 5}}} || {{{-4 かばんの隠し事[br]가방에 숨겨둔 것}}} || {{{-4 히라노 히로키}}} || {{{-4 [[나리타 타쿠미]]}}} || {{{-4 이나구마 잇코[br](稲熊一晃)[br]사카모토 슌타[br]소엔 유스케[br](宗圓祐輔)}}} || {{{-4 카바시마 요스케}}} || {{{-4 2019.08.04.}}} || || {{{-4 EPISODE 6}}} || {{{-4 ゼノグラシア[br]제노그라시아}}} || {{{-4 오노 카츠미}}} || {{{-4 타마노 타카히로[br](珠野貴裕)}}} || {{{-4 오오쿠보 요시유키[br]나카지마 준[br]카토 히로마사}}} || {{{-4 후지모토 사토루[br]후츠자와 토모에몬}}} || {{{-4 2019.08.11.}}} || || {{{-4 EPISODE 7}}} || {{{-4 もつれた糸を断ち切って[br]엉킨 실을 끊고}}} ||<-2> {{{-4 미시오 텐페이}}} || {{{-4 후지모토 사토루[br]사카모토 슌타[br]하뉴[br]후쿠다 케이타[br]이나구마 카즈아키[br]소엔 유스케}}} || {{{-4 후지모토 사토루}}} || {{{-4 2019.08.18.}}} || || {{{-4 EPISODE 8}}} || {{{-4 XV}}} ||<-2> {{{-4 히라노 히로키}}} || {{{-4 오오쿠보 요시유키[br]소엔 유스케[br]나카지마 준[br]후츠자와 토모에몬}}} || {{{-4 카바시마 요스케}}} || {{{-4 2019.08.25.}}} || || {{{-4 EPISODE 9}}} || {{{-4 I am a father}}} ||<|2> {{{-4 오노 카츠미}}} || {{{-4 나리타 타쿠미}}} || {{{-4 이나구마 잇코[br]오오쿠보 요시유키[br]사카모토 슌타[br]하뉴[br]후쿠다 케이타[br]후지모토 사토루[br]후츠자와 토모에몬}}} || {{{-4 후지모토 사토루[br]후츠자와 토모에몬}}} || {{{-4 2019.09.01.}}} || || {{{-4 EPISODE 10}}} || {{{-4 卑しき錆色に非ず[br]비루한 녹빛이 아닌}}} || {{{-4 타마노 타카히로}}} || {{{-4 이나구마 잇코[br]오오쿠보 요시유키[br]카토 히로마사[br]카바시마 요스케[br]사카모토 슌타[br]소엔 유스케[br]나카지마 준[br]하뉴[br]후쿠다 케이타[br]후지모토 사토루}}} || {{{-4 카바시마 요스케}}} || {{{-4 2019.09.08.}}} || || {{{-4 EPISODE 11}}} || {{{-4 ハジメニコトバアリキ[br]처음에는 말이 있다}}} || {{{-4 마치타니 슌스케[br](町谷俊輔)}}} || {{{-4 오노다 유스케[br](小野田雄亮)[br]히라노 히로키[br][[타카시마 히로유키]]}}} || {{{-4 이나구마 잇코[br]오오쿠보 요시유키[br]카바시마 요스케[br]사카모토 슌타[br]소엔 유스케[br]나가사카 칸지[br](長坂寛治)[br]나카지마 준[br]하뉴[br]후쿠다 케이타[br]후지모토 사토루[br]후츠자와 토모에몬}}} || {{{-4 후지모토 사토루}}} || {{{-4 2019.09.15.}}} || || {{{-4 EPISODE 12}}} || {{{-4 戦姫絶唱[br]전희절창}}} || {{{-4 사토 마사토[br](佐藤真人)[br][[사토 히데카즈]]}}} || {{{-4 미시오 신페이}}} || {{{-4 이나구마 잇코[br]오오쿠보 오시유키[br]카토 히로마사[br]카바시마 요스케[br]사카모토 슌타[br]소엔 유스케[br]나가사카 칸지[br]나카지마 준[br]하뉴[br]후쿠다 케이타[br]후지모토 사토루[br]후츠자와 토모에몬}}} || {{{-4 카바시마 요스케[br]후지모토 사토루}}} || {{{-4 2019.09.22.}}} || || {{{-4 EPISODE 13}}} || {{{-4 神様も知らないヒカリで歴史を創ろう[br]신조차 모르는 빛으로 역사를 만들자}}} || {{{-4 오노 카츠미}}} || {{{-4 오노 카츠미[br]나리타 타쿠미}}} || {{{-4 이나구마 잇코[br]오오쿠보 요시유키[br]카토 히로마사[br]카바시마 요스케[br]사카모토 슌타[br]소엔 유스케[br]나가사카 칸지[br]나카지마 준[br]하타 토모지[br]하뉴[br]후쿠다 케이타[br]후지모토 사토루[br]후츠자와 토모에몬}}} || {{{-4 후지모토 사토루[br]카바시마 요스케[br]후츠자와 토모에몬}}} || {{{-4 2019.09.29.}}} || == [[전희절창 심포기어 XV/평가|평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희절창 심포기어 XV/평가)] == 기타 == * 마지막 TV 시리즈라서 그런지 전 시리즈의 오마주 요소가 조금씩 들어가 있다. * 2화에서 연도가 나오는데, XV 2화 기준으로 [[2045년]]이다. * 엔키라는 이름이 나오는 등 고대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따온 것들이 많은 것으로 보이는데,[[http://bbs.ruliweb.com/family/211/board/300075/read/30613523?page=2|이들의 생일을 황도 12궁과 연결해서 향후 이들 진영이 분열될 것이라는 추측이 나왔다]]. [[카자나리 츠바사]]가 세뇌로 잠깐 이탈하기는 했지만 복귀되면서 해당 떡밥은 없어진다. * 선행컷이 공개되기 전에 '제멋대로 예고'라는 짧은 만화가 함께 공개된다. * 1권 BD/DVD 초동은 11357장. 1권 초동으로서는 GX/AXZ에 비해 줄어든 편이지만, 이전의 1권은 라이브 응모권이 포함되어 있던 반면, XV의 1권은 응모권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고 응모권이 없는 심포기어 시리즈 BD/DVD 중에서는 제일 높은 판매량을 갱신했다. 이번 시리즈에 응모권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이유는 2020년 도쿄 올림픽 때문에 라이브 개최여부가 불투명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중론. 그리고 라이브 응모권이 포함된 6권은 초동 32057장을 팔면서 시리즈 최대 판매량을 갱신했다. 문제는 라이브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무기한 연기되는 바람에 라이브 응모권으로서의 기능이 완전히 퇴색되어 버렸다. 그래도 코로나바이러스가 엔데믹으로 향하는 상태라 2022년 11월에 개최를 재개할 예정이다. [[분류: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9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마법소녀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