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 설명 == [[파일:NonAggressionArea-EE1-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명칭=절대 불가침 영역, 일어판명칭=絶対不可侵領域(ぜったいふかしんりょういき), 영어판명칭=Non Aggression Area, 효과1=자신의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카드를 1장 버린다. 상대는 다음 상대 턴에 일반 소환 / 세트 / 특수 소환을 할 수 없다.)] 상대의 다음 턴 소환을 막는 카드. 다만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해야 하느라 1턴을 넘겨야 하니 쓰기 까다롭다. 상대의 소환을 방해해 일시적으로 필드의 우위성을 발휘할 수 있다. 1회용이라고 해도 [[배너티 스페이스]] 이상의 견제 성능으로, 통상 소환을 통해 어드밴티지를 버는 덱에서도 유효한 억지력이 된다. 카운터로 무효화되지 않는 이상 상대의 전개는 되짚어 3턴까지 극히 한정되지만, 세트 후 상대 턴에 즉시 못 쓰는 데다 즉효성이 없는 게 큰 난점. 패 코스트 소비 타이밍이 한정되어 있어 발동 직후 자신 턴의 전개가 막힐 우려도 있다. [[더스트 토네이도]] 등으로 상대 턴에 세트하는 방법도 있다. 발동한 턴 중엔 아직 상대가 특수 소환할 수 있어 자신의 턴 동안 기습적으로 특수 소환 가능한 카드를 경계하는 게 좋다. 전체 제거 계열 카드와 공격적인 콤보를 조합할 수 있으며, 다음 턴에 다시 직접 공격할 수 있다면 단숨에 결판을 낼 수 있다. 다만, 카드의 소비 매수가 많으므로 확실히 마무리를 지을 수 있도록 상대의 대책에 충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쥐라기 월드|대분화]]를 쓰기 전에 이 카드를 발동하면, 자신 필드가 비는 것으로 인해 상대 턴에 무방비 상태가 되는 걸 막을 수 있다. 요컨대, 쓰기 힘들지만 쓸 수 있다면 상대에게 성가신 카드가 된다. [[대 한파|대 열파]]나 [[컴 매직]]과는 상호 호환 관계인데, 단순한 위력은 이 카드가 우위지만 간편성에선 밀린다. 자신의 소환 행위를 방해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마법 / 함정의 세트를 막는 [[다크 시무르그]]와도 상성이 좋다. [[라뷰린스]] 발매 초기, 일반 함정과 궁합이 좋다는 특성상 채용이 고려되기도 했으나, 선공을 잡아도 결국 자신 스텐바이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기에 1턴을 상대에게 내준다는 점 때문에 버려졌다. 이후 후공 상대 소환 봉인 콤보는 [[트랜잭션 롤백]] + [[봉화요려담-마요괴시라누이이야기]]가 대신하였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187화에서 [[무토우 스고로쿠|마스크 더 로쿠]]가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 중 발동해 죠노우치가 해당 턴에 드로우 외엔 아무것도 못하게 막았으며, [[악몽의 신기루]]와 [[비상 식량(유희왕)|비상 식량]] 콤보로 LP 및 패 보충을 했다. 카드명이 비슷한 [[절대 마법 금지구역]]과는 아무 관련 없는 효과다. ==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왕가의 수호자]] || PGD-KR10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 Vol.1 || HGP1-KR049 || [[노멀]] || 한국 || || || 新たなる支配者 || 301-049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1 || EE1-JP049 || [[노멀]] || 일본 || || || [[왕가의 수호자|Pharaonic Guardian]] || PGD-10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1 || DR1-EN049 || [[노멀]] || 미국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컴 매직, version=15)] [[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