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FC 원더우먼]][[분류:골 때리는 그녀들/감독진]] [include(틀:골 때리는 그녀들/감독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발라드림정대세.jpg|width=100%]]}}} || ||<-2> {{{#FFC0CB '''FC 원더우먼 감독'''}}} || ||<-2> {{{+1 '''정대세'''}}}[br]'''鄭大世|Chong Tese''' || || {{{#FFC0CB '''최다연승'''}}} || '''3연승''' || || {{{#FFC0CB '''최다연패'''}}} || '''2연패''' || [목차] ||<-8> {{{#FFC0CB '''감독 성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65deg, #bd34bc 40%, #a87c0f 60%);color:#000;" {{{#000 '''{{{#ffffff 시즌 4[br](챌린지리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65deg, #bd34bc 40%, #a87c0f 60%);color:#000;" {{{#000 '''{{{#ffffff 시즌 5[br](챌린지리그)}}}'''}}}}}} || || [[FC 발라드림|[[파일:fc발라드림.png|height=75]]]] || [[FC 원더우먼|[[파일:fc원더우먼.png|height=75]]]] || || '''[[FC 발라드림|{{{#b21463 FC 발라드림}}}]]''' || '''[[FC 원더우먼|{{{#ffc0cb FC 원더우먼}}}]]''' || || {{{#ffffff '''방출'''}}} || {{{#ffffff '''승격'''}}} || [clearfix] == 개요 == >무지막지한 돌파력의 괴물 공격수 >선수들에겐 한없이 다정한 한 남자! >행복이 엄습해오는 축구를 하겠다는 새내기 감독 [[정대세]]의 [[골 때리는 그녀들]]의 행적을 정리한 문서이다. == 감독 전적 == ||<-10> '''{{{#FFC0CB 정규리그}}}''' ||<-8> {{{#FFC0CB '''프리시즌'''}}} || ||<-9> '''[[골 때리는 그녀들/슈퍼리그|{{{#ffffff SUPER LEAGUE}}}]]''' || 0승 0패 ||<-7><|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5.0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65deg, #d4232d 40%, #00FF7F 60%);color:#000;" {{{#000 '''[[2023 골 때리는 그녀들 SBS컵|{{{#ffffff SBS}}} {{{#ffffff CUP}}}]]'''}}}}}} ||<-6><|2> 0승 1패 || ||<-9>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65deg, #bd34bc 40%, #a87c0f 60%);color:#000;" {{{#000 '''[[골 때리는 그녀들/챌린지리그|{{{#ffffff CHALLENGE}}} {{{#ffffff LEAGUE}}}]]'''}}}}}} || 4승 2패 || ||<-9>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65deg, #ebcc67 40%, #ff0000 60%);color:#000;" {{{#000 '''[[골 때리는 그녀들/승강 플레이오프|{{{#ffffff 승강}}} {{{#ffffff PO}}}]]'''}}}}}} || 0승 0패 ||<-7> {{{#ffffff ALL-STAR MATCH}}} || 0승 1패 || ||<-18> {{{#FFC0CB '''팀 전적'''}}} || ||<-3> [[파일:fc액셔니스타.png|height=50]] ||<-3> [[파일:fc월드클라쓰.png|height=50]] ||<-3> [[파일:fc구척장신.png|height=50]] ||<-2> [[파일:FC 불나비2.png|height=75]] || [[파일:fc국대패밀리.png|height=50]] || [[파일:fc스트리밍파이터.png|height=50]] || [[파일:fc원더우먼.png|height=50]] || [[파일:FC 탑걸 로고.png|height=50]] || [[파일:fc아나콘다.png|height=50]] || [[파일:fc발라드림.png|height=50]] || [[파일:fc개벤져스.png|height=50]] || ||<-3> '''[[FC 액셔니스타|{{{#adff2f FC 액셔니스타}}}]]''' ||<-3> '''[[FC 월드 클라쓰|{{{#0000ff FC 월드 클라쓰}}}]]''' ||<-3> '''[[FC 구척장신|{{{#000000 FC 구척장신}}}]]''' ||<-2> '''[[FC 불나비|{{{#ffffff FC 불나비}}}]]''' || [[FC 국대 패밀리|{{{#ffffff '''FC 국대 패밀리'''}}}]] || [[FC 스트리밍파이터|{{{#ffffff '''FC 스트리밍파이터'''}}}]] || '''[[FC 원더우먼|{{{#ffc0cb FC 원더우먼}}}]]''' || '''[[FC 탑걸|{{{#000000 FC 탑걸}}}]]''' || '''[[FC 아나콘다|{{{#2f38b2 FC 아나콘다}}}]]''' || '''[[FC 발라드림|{{{#b21463 FC 발라드림}}}]]''' || '''[[FC 개벤져스|{{{#660066 FC 개벤져스}}}]]''' || ||<-3> 0승 0패 ||<-3> 0승 1패 ||<-3> 0승 0패 ||<-2> 0승 0패 || 0승 1패 || 0승 1패 || 1승 0패 || 1승 0패 || 1승 0패 || 0승 0패 || 1승 0패 || == 역대 소속팀 == === [[FC 발라드림]] (시즌 4) === 시즌 4부터 새로 부임한 감독이자, [[김태영(1970)|김태영]]의 후임으로 시즌 4부터 FC 발라드림의 지휘봉을 잡게 된 감독. 공교롭게도 전임 감독과 아내 명서현이 속한 [[FC 국대 패밀리]]를 누르고 발라드림의 재승격을 이뤄내야 하는 얄궂은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전방에는 경서와 리사, 후방에는 서기와 서문탁을 배치한 2-2 포메이션을 쓰고 있으며, [[이천수|선수 교체를 거의 하지 않는다.]] 챌린지리그 개막전인 [[FC 스트리밍파이터]]와의 경기, [[최진철]] 감독과의 전술 싸움에서 완패했다. 뒷 공간을 내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골키퍼 [[민서]]를 계속 높은 위치에 올리며 공격 가담을 시켰다. 또한 킥인 상황에서 계속해서 [[서문탁]]의 중거리를 계속 고집하는 단조로운 전술 운영을 보여 주었다. 다른 선수들이 공간을 만들어주고 서기와 경서에게 슈팅을 맡길 수 있었음에도, 전술을 바꾸지 않았다. 그리고 후반에 득점을 못하더라도, 승부차기 경험 면에선 발라드림이 한 수 위이기 때문에 무승부가 되더라도, 본인들이 더 우위일수 있다는 마인드로 갔어야 했지만 라인을 올리는 전술을 수정하지 않은 채 경기를 진행했다. 그러다가 경기 종료 1분 전에 역습을 맞아 [[앙예원]]에게 실점했고, 그 결정적인 카운터 한 방에 그대로 패하고 말았다. '''그리고 이 패전은 비극의 서막이었다.''' [[FC 원더우먼]]과의 경기 전에 본인이 스밍파전에서 행복이 엄습해 오는 축구를 고집하면서 해야 할 말을 삼가는 등, 감독으로써 제대로 된 선수단 운영을 못한 걸 인정하며 원더우먼전부터는 다른 감독들처럼 샤우팅이 일상이 되었다. [[FC 원더우먼]]전에서 데뷔 2경기만에 승리를 가져갔다. 지난 경기의 패인을 의식했는지 킥인과 골킥 상황에서 한 박자 빠른 공격으로 원더우먼의 수비를 혼란시키는 전술을 썼는데, 데뷔 첫 승에도 불구하고 시청자 평은 혹평 지분이 압도적이다. 전술 특성상 선수들의 체력을 한계까지 몰아붙이는 전술이어서 적절한 로테이션이 필요한데, 경기 내내 식스맨 [[케이시]]가 골키퍼 장갑을 낀 채 벤치에만 앉아 있었고, 경기 막판에는 선수들의 체력 저하 때문에 원더우먼에 위험한 유효 슈팅을 여러 번 내주면서 하마터면 다 이긴 경기를 뒤집힐 뻔했기 때문. 그러나 이 경기에서 [[김가영(기상캐스터)|김가영]]과 충돌했던 에이스 [[경서]]가 '''우측 발목 인대 파열'''로 시즌 아웃되는 청천벽력같은 상황을 맞이했다. 이 때문에 [[서문탁]]을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의 포지션을 모두 바꾸는 고육지책을 쓰며 [[FC 국대 패밀리]]와의 멸망전 겸 부부 더비를 치렀지만 결국 [[FC 발라드림]]은 [[경서]]의 공백을 극복하지 못하고 1:2로 패했고, 직후 경기인 [[FC 원더우먼]]과 [[FC 스트리밍파이터]]의 맞대결에서 두 팀이 득점 없이 승부차기가 확정됨에 따라 '''2호 출전정지 감독'''이라는 불명예를 안으며 [[최성용]]에게 감독을 넘기게 됐다. 챌린지리그 개막전에서 [[앙예원]]에게 얻어맞은 카운터 한 방이 화근이 되어, '''[[FC 발라드림]]의 시즌5 출전 정지라는 비극으로 이어지고 말았다.''' 직후에 열린 SBS컵에서 [[최성용]]이 수습한 [[FC 발라드림]]이 결승에 진출하고 [[FC 구척장신]]을 꺾고 우승하면서, 정대세는 불과 한 시즌 만에 김병지, 현영민을 능가하는 졸장이라는 악평을 받게 되었다.[* 그나마 현영민은 아나콘다 이후 불나방(현 불나비) 감독이 되어 3경기 9득점을 기록 슈퍼리그로 올려놓으며 아나콘다가 약체였음을 입증시켰다.] SBS컵을 우승할 수 있는 팀을 상대로 방출을 시켰다는 점에서, 정대세는 팀을 상상 이상으로 너프시킨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이와는 별개로 [[FC 발라드림]]이 SBS컵 초대 우승을 차지하자, 그도 미안함이 복받쳤는지 눈물을 보였다. 그리고 후술하다시피 정대세가 원더우먼 이적 후 김가영과 김설희의 포텐셜을 터뜨리면서 만년 챌린지리그 3위였던 원더우먼을 승격시키는 기염을 토하자, 정대세는 발라드림 팬들의 영원한 금지어가 되고 말았다(...) === [[FC 원더우먼]] (제1회 SBS컵~시즌 5) === [[하석주]]의 후임으로 [[FC 원더우먼]]으로 옮겼다. ==== 제 1회 SBS컵 ==== [[FC 월드 클라쓰]]와의 SBS컵 1회전에서 발라드림에서 썼던 강력한 활동량을 바탕으로 하는 전술을 구사했지만, 후반전에 선수들이 퍼지는 바람에 2실점하며 0:2로 패하며 SBS컵 광탈의 수모를 당했다. 이 때만 해도 원더우먼은 꿈도 희망도 없어보였'''지만...''' ==== 시즌 5(챌린지리그) ==== FC 개벤져스와의 챌린지리그 개막전에서는 특유의 고속 축구로 개벤져스를 4:2로 잡는 이변을 연출한다. 비판을 받았던 발라드림 시절을 반면교사삼아 김가영-소유미-트루디 3인을 적극적으로 로테이션해 주면서 체력을 적절히 안배해 줌과 동시에 많은 킥인을 얻어냈고 전임 하석주 감독 시절 중거리슛 전문으로만 쓰였던 김설희에게 그 동안 김희정이 맡았던 킥인을 맡겼는데, 이 두 가지가 절묘하게 맞물리며 개벤져스의 3연속 자책골을 불러왔다. 개막전 종료 후 인터뷰에서 감격의 눈물을 흘리며 발라드림 방출부터 지금까지의 오랜 가슴앓이를 털어놓았다. FC 아나콘다와의 챌린지리그 2차전도 1:0으로 잡으면서 2연승을 기록, 최소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확보한다. 다이렉트 승격을 건 FC 탑걸과의 챌린지리그 최종전에서는 김보경만 집중적으로 견제하는 모험수 수비가 성공하고, 킥인 전담으로 짭짤한 재미를 보고 있는 [[김설희]]가 탑걸 골키퍼 [[태미]]의 2연속 자책골을 유도했으며, 리그 데뷔 골을 신고한 [[소유미]]의 쐐기 골로 3:1로 승리하며 '''원더우먼의 창단 첫 슈퍼리그 진출'''을 이끈다. 덤으로 발라드림에 있었을 때 [[정대세]]에게 결정적인 [[카운터]] 한 방을 먹였던 [[최진철]]과의 2번째 맞대결에서 승리하며, [[최진철]]에게 설욕했다.--발라드림 팬들은 웁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FC 발라드림, version=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