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명훈(e스포츠)/선수 경력)] ||<-5> '''정명훈''' || || [[정명훈(e스포츠)/선수 경력/2012년|2012]] || → || '''2013''' || → || [[정명훈(e스포츠)/선수 경력/2014년|2014]] || [목차] == 개요 == [[정명훈(e스포츠)|정명훈]]의 2013년 활약상을 담은 문서. == 경기 내용 == 1월 6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2.22|SK플래닛 프로리그 12-13]] 2라운드 [[STX SouL]]과의 경기 3세트에서 [[이신형]]을 이기고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백동준]]을 연이어 이겨 4:2 승리를 만들어냈다. 1월 10일, [[2013 GSL Season 1]] [[GSL/승격·강등전|승격강등전]]에서 2승 3패로 [[코드 A]]에 잔류했다. [[김경덕]]과 [[코드 S]]에 진출하게 되는 [[임재덕]]을 이기고 드디어 승강전을 뚫는 최초의 협회 게이머가 나오게 되나 주목을 받더니만 [[크리스 로랑줴]]와 0승 3패로 이미 코드 A 잔류가 확정된 [[신재욱]]에게~~너도 같이 코드 A 가자~~ 연달아 지며 위기에 몰렸다. 13세트에서 크리스 로랑줴가 이겼다면 [[최재성(프로게이머)|최재성]]과 맞붙는 14세트에서 이겨 진출할 수 있었지만, 임재덕이 이기자 14세트에서 지며 와일드카드의 희망까지도 꺾였다. 자날 전환 후 토스전이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평가를 받는데 그걸 여실히 보여줬다. 그러나 1월 20일,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에게 패배한 이후로 꼬이기 시작하더니 프로리그에서 '''8연패'''를 찍는, 최악의 슬럼프를 경험 중이다. 김정우 이후로 송병구, 이영호, 임정현, 김정우, 김준호, 김민철, 하재상까지, 3종족전이 완벽하게 무너져 버렸다. 게다가 8연패 중 [[마패관광]]만 3번 당했는데 하필이면 죄다 [[비프로스트]]. 프로리그 뿐만 아니라 개인리그 역시 부진에 빠졌는데, 그나마 [[2013 HOT6 GSL Season 1]] [[코드 A]] 1차전에서는 [[최정민(프로게이머)|최정민]]을 2:0으로 잡고 [[코드 B]]는 면했으나 2차전에서 [[이영한]]을 만나 1:2로 무너지면서 [[GSL/승격·강등전|승격강등전]]으로 넘어갔다. 하지만 프로리그 [[EG-TL]] 전에서 윤영서를 상대로 연패도 끊고 팀의 4:0 승리도 확정짓더니, 그 다음날 펼쳐진 승강전에서 3승 1패를 기록하며 코드 S까지 진출하게 된다. 프로리그 4라운드 첫 경기에서는 [[이영호]]에게 전순까지 뽑는 장기전에서 건설로봇이 '''문자 그대로 전멸'''하며 패배하더니, 코드 S 32강 패자전에서는 [[방태수]]에게 3경기에 걸쳐 100기 이상의 건설로봇을 잡히면서 [[광탈]]...[[지못미]]. ~~정명훈 건설로봇 수난시대~~ 6월 13일 對KT전에서 첫 세트에 출전, 상대팀 최강의 에이스인 [[이영호]]를 꺾었다. 초반에 이영호의 [[우주공항]] 전략을 간파한 뒤 [[화염기갑병]] 드랍으로 이영호를 수세에 몰아넣고, [[공성전차]] 부대를 모아 지상 화력에서 우위를 점했다. 그러나 이영호가 [[바이킹(스타크래프트 2)|바이킹]]과 [[전투순양함]]을 모아 반격에 나서자 역으로 코너에 몰리는 상황이 되었으나, [[땅거미 지뢰]]를 대량으로 모아 역공을 가하여 이영호의 공중병력을 수 차례 괴멸시키며 승리를 거뒀다. 정명훈의 [[https://youtu.be/5ykPycDO-ec|지뢰전 하이라이트]] 이 승리로 스타2에서 對이영호 전적을 2:2 타이로 맞췄고 팀의 4:1 승리에 기여했다. [[포모스]] 등에서는 S급 승리였다며 칭찬이 이어지는 중.[[http://www.fomos.kr/board/board.php?mode=read&keyno=133226&db=news]] 6월 25일,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 32강 E조에서 [[이승현(1997)|이승현]], [[허영무]]에게 승리를 거두고 조 1위로 16강에 직행했다. [각주] [[분류:정명훈(e스포츠)/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