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fff '''정물오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물오름.png|width=100%]]}}} || || '''{{{#fff 명칭}}}''' || 정물오름 || || '''{{{#fff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 || '''{{{#fff 표고}}}''' || 466m || [목차] == 개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에 위치한 [[오름]]이다. == 특징 == 북서쪽으로 넓게 터진 말굽형 [[화구]]를 지니고 있다. 서쪽 기슭에 솟아있는 [[원추]]형 알오름은 정물알오름이라고 한다. 정물오름 앞쪽의 기슭에는 쌍둥이 샘이 있는데 이 샘의 이름이 '정물샘'이었기 때문에 정물오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계단을 10분 정도만 걸어 올라가면 정상이라 그리 힘들지 않게 정상까지 올라가 볼 만하다. [[1961년]] [[아일랜드]] 출신의 패트릭 제임스 맥그린치 신부에 의해 설립된 [[성이시돌목장]]이 위치해 있다. == 역사 == 『탐라순력도』(한라장촉)에 '정수(井水)', 『[[탐라도]]』와 『제주삼읍도총지도』, 『제주삼읍전도』, 『제주군읍지』의 「제주지도」에 '정수악(井水岳), '『조선지형도』에는 '정수악(汀水岳)'으로 표기되어 있다. 한편, 정물오름은 금악리에 살던 사람이 기르던 개가 가르쳐 준 명당터라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개가 따라오라는 듯이 주인의 옷을 물어 따라가 보니 명당이라고 할 만한 땅이 나와 묏자리를 썼고, 개가 죽은 뒤 그 명당 묏자리 옆에 같이 묻어 주었다는 이야기이다. [[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