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보근)] [목차] [clearfix] == 개요 == [[정보근]]의 선수 경력을 기록한 문서. == 아마추어 시절 ==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등학교]] 2학년까지는 백업 포수 역할을 하다가 [[문상인]]이 졸업한 후 3학년부터 주전 포수 자리를 꿰차 활약하였다. 지명 전까지는 별로 주목을 받진 못했지만, 2017년 [[전국체육대회|전국체전]]에서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등학교]]의 타선을 이끌며 팀이 [[마산용마고등학교 야구부|마산용마고등학교]]를 꺾고 금메달을 차지하는데 기여했다. 이후 2018년도 신인 드래프트에서 [[롯데 자이언츠]]의 지명을 받아 프로에 입단하게 된다. == [[롯데 자이언츠]]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505-KT전-10-정보근KCH21802.jpg|width=100%]]}}} || === 2018 시즌 === 6월 10일 [[경찰 야구단]]과의 퓨처스 경기에서 첫 홈런과 안타를 때렸다. === 2019 시즌 === 9월 1일 확대엔트리를 통해 1군에 합류하였으며, 9월 4일 사직 [[삼성 라이온즈]]전에서 8회 대타로 나와 땅볼을 기록하였다. 9월 8일 대전 [[한화 이글스]]전 8번 포수로 첫 출전하였다. 이날 선발은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등학교]] 1년 후배인 [[서준원]]이었는데 2년만에 다시 합을 맞추게 되었다. 3회 땅볼, 5회 볼넷, 6회 라인드라이브, 7회 안타, 8회 플라이로 '''4타수 1안타 1득점 1타점과 볼넷 1개'''를 기록하였다. 7회 안타는 '''프로 통산 첫 안타'''였다. 이후 9회까지 [[서준원]] 포함 나머지 투수들을 잘 리드해서 타선도 터지고 팀 연패도 끊은 숨은 MVP 역할을 했다. 결승타를 친 주장 [[민병헌]]도 "내가 아닌 정보근에게 MVP를 돌리고 싶다"라고 언급하였다. 9월 10일 사직 [[KIA 타이거즈]]전 8번 포수로 출전했다. 2회 안타, 3회 땅볼, 5회 플라이, 7회 삼진을 '''4타수 1안타 1득점 1삼진'''을 기록하였다. 또한 처음으로 [[브록 다익손]]과 호흡을 맞추었는데 첫 선발승까지 챙겨주었다. 9월 11일 역시 선발 출장해 3회 [[양현종]]에게 안타를 때려내며 8회까지 '''팀의 유일한 출루'''를 만들어냈다. 확대 엔트리에 포함된 이후 9월 14일까지 1군에서 30⅔이닝을 수비하면서 폭투나 포일을 단 한 개도 기록하지 않았고, 수비하는 동안 9이닝당 포수 평균자책점은 2.05로 상당히 낮은 데다가 경쟁자들과 비교해서 동기간 타격 성적도 나쁘지 않았다. 9월 25일 폭투를 하나 만들었는데, 문제는 하필이면 그게 2019 시즌 [[롯데 자이언츠]]의 100번째 폭투였다. 그리고 한 팀 한 시즌 100폭투는 [[라이브볼 시대]]가 시작된 이래 전 세계 프로리그 역대 최초였다. === [[정보근/선수 경력/2020년|2020 시즌]] === [include(틀: 상세 내용, 문서명=정보근/선수 경력/2020년)] === 2021 시즌 === [[김준태(야구선수)|김준태]]가 어이 없는 볼배합 그리고 도루저지를 너무 못해서 정보근을 올려 백업으로 쓰자는 말들이 많이 나오는데[* 그나마 강점이었던 타격도 전혀 안되고 있어, 차라리 수비라도 좋은 정보근을 올리자는 입장이다.] [[지시완]], [[김준태(야구선수)|김준태]]에 완전히 밀려버렸다. 퓨처스리그에서도 [[김강현(야구선수)|김강현]], [[손성빈]] 등 다른 포수들과 같이 경기를 나눠서 출전하고 있는데 타격 성적이 2할 초반대로 부진한 편이다. 거기에다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에서 [[안중열]]이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선수 본인의 분발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6월 24일 [[김준태(야구선수)|김준태]]의 부상과 [[강태율]]의 부진으로 인해 1군에 콜업이 되었다. [[지시완]] 역시 요즘 블로킹에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수비라도 좋은 정보근을 백업 포수로 쓸 것으로 보인다. 이후 [[NC 다이노스]]전에서 대수비로 출장한데 이어 9회말 팀이 4:6으로 지고 있는 가운데 무사 1루 상황에서 시즌 첫 타석에 들어섰다. 그러나 어이없게도 초구부터 휘둘러서 그대로 6-4-3으로 이어지는 병살타를 치면서 찬물을 끼얹었다.[* [[나승엽]]이 어떻게든 병살을 막아볼려고 2루에 슬라이딩까지 해서 송구를 방해 했으나 다리까지 느려 아웃되었다. 오히려 좌타자에 그나마 몸에 비해 다리라도 빨라 병살을 잘 안 당하는 [[김준태(야구선수)|김준태]]가 그리운 실정이다.] 이후 [[딕슨 마차도|마차도]]와 [[손아섭]]이 다시 연속안타를 쳐내면서 희망고문을 이어갔으나 결국 득점에 실패하면서 패배하게 되었다.[* 야구에 만약이란 건 없지만, 혼자만 죽었다면 [[이대호]] 타석의 외야 플라이 때 동점까지도 갔을 상황이었다.] 6월 25일 [[두산 베어스]]전에서 좋은 투수 리드를 보여줬다. 확실히 팀 내에서는 [[댄 스트레일리|스트레일리]]와는 가장 잘 맞는 포수로 보인다. 외야에 타구를 날리기는 하지만 아직 공에 제대로 힘을 싣지 못하고 있다. 타율도 아직 0할이다. 6월 30일 [[키움 히어로즈]]전에서 7회초 동점 상황에 번트 실패와 견제사로 아웃카운트 2개를 조공해줬다. 7월 2일 [[SSG 랜더스]]전에 선발 출장하여 [[샘 가빌리오]]를 상대로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giants_new2&no=7296910&exception_mode=recommend&page=1|멀티히트를 뽑아냈다]]. 이 멀티히트로 정보근은 '''3할이 되었다'''. 7월 4일 [[SSG 랜더스]]전에서 첫 타석에 중전안타를 기록하며 타격에서 발전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되려 수비에서 [[박세웅(1995)|박세웅]]의 커브를 전혀 블로킹 하지 못하며 폭투를 4개나 기록해 [[박세웅(1995)|박세웅]]이 죽도록 고생하게 만들었다.[* 심지어 5회말에는 [[추신수]]에게 스트라이크 낫아웃 출루도 허용했다.] 후반기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고, 군복무를 마친 [[안중열]]이 대신 등록되었다. 현재 [[안중열]]과 [[지시완]]이 1군에서 괜찮은 활약을 하고 있어 1군 진입은 어려워 보이며 시즌 후 입대가 유력하다. 한편, 이만큼 경력쌓은 어린 포수가 드문 현실에 힘입어 [[대한민국 U-23 야구 국가대표팀]]에 합류했다. === [[정보근/선수 경력/2022년|2022 시즌]] === [include(틀: 상세 내용, 문서명=정보근/선수 경력/2022년)] 2020년에 비해 발전한 부분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처참한 타격을 보여주었고 수비력도 퇴보하며 실망스러운 시즌을 보냈다. === [[정보근/선수 경력/2023년|2023 시즌]] === [include(틀: 상세 내용, 문서명=정보근/선수 경력/2023년)] 주전 포수 [[유강남]]의 부상으로 주어진 기회에서 8월 한 달간 엄청난 버닝을 하며 좋은 모습을 보여준 시즌. == 국가대표 경력 == === [[2021 WBSC U-23 야구 월드컵/대한민국|2021 WBSC U-23 야구 월드컵]] ===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sWAR || || 2018 ||<|5> [[롯데 자이언츠|롯데]] ||<-15> 1군 기록 없음 || || 2019 || 15 || 32 || .125 || 4 || 0 || 0 || 0 || 1 || 3 || 0 || 2 || 10 || .200 || .125 || -0.22 || || 2020 || 85 || 133 || .150 || 20 || 2 || 0 || 0 || 5 || 9 || 0 || 11 || 32 || .219 || .165 || -1.19 || || 2021 || 11 || 18 || .278 || 5 || 0 || 0 || 0 || 0 || 0 || 0 || 2 || 2 || .350 || .278 || 0.04 || || 2022 || 95 || 199 || .191 || 38 || 2 || 0 || 1 || 15 || 8 || 1 || 14 || 55 || .250 || .216 || -0.91 || ||<-2> '''[[KBO 리그|KBO]] 통산'''[br](4시즌) || 206 || 382 || .175 || 67 || 4 || 0 || 1 || 21 || 20 || 1 || 29 || 99 || .240 || .194 || -2.28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정보근, version=416, paragraph=2)] [[분류:야구선수/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