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대한민국 공군]] 특기 중 하나. 특기번호는 300X(병사는 30010, 하사는 3003 등등). [[정보]](Intelligence)와 관련이 없다. 그쪽은 [[정보병|항공정보운영]]. 여기서 말하는 정보는 Information이다. 대분류로는 정보통신에 속하는 특기로, PC정비부터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의 운영, 각종 체계([[인트라넷]], [[C4I]], 내지는 그 이하의 체계들)의 유지보수, 본격적인 체계 개발까지 다양한 컴퓨터 관련 일을 맡게 된다. == 특징 == 군대 보직이 다 그렇듯이 이 안에서도 그야말로 천차만별로 나뉘게 된다. 한 부대에 근무해도 누구는 [[행정병]]이 되고, 누구는 24시간 365일 교대근무를 하면서 서버운영을 하며, PC정비하고 랜선 깔러 다니거나, 프로그램 개발자가 되기도 한다.[* 미필 컴공 전공자들이 이거 듣고 어디 자대 가야 코딩하고 개발할 수 있음?! 하고 흥분하는 경우가 많은데 꿈깨자. 사회에서 경력 있던 사람들을 데려가는 거지 끽해야 컴공 1~2년 배우고 온 사람은 해당사항 없다.] 운이 없으면 그런 거 없고 관제탑이나 지하벙커에서 [[작전병]]으로 크루근무를 뛰게 된다.[* 만약 정보체계관리 특기가 벙커나 관제탑으로 들어간 경우에는 위로를 해 주자. 이 두 시설 모두 폐쇄된 환경으로,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실내가 건조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높은 확률로 몸과 마음이 고생하게 된다.] 또한 컴퓨터를 쓰지 않는 부대는 말 그대로 없으므로, 그야말로 그 어떤 곳으로든 갈 가능성이 있는 특기. 관련학과를 나와 군대에서도 코딩에 이 한몸 불사르고 싶다고 하는 사람은 ~~TO가 있다면~~ [[공군정보체계관리단]]과 같은 곳으로 갈 수도 있고[* 물론 정보체계관리단에 간다고 모두가 프로그램 개발을 하는 것은 아니다. 개발실 인원수는 한정되어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SW개발병이라는 전문병도 따로 선발하고 있어 경력이 있지 않는 이상 전공 하나만 가지고 개발실에 갈 일은 보통은 없다고 보면 된다. --그리고 경력이 있으면 애초에 개발병을 지원했겠지--], 컴퓨터 좀 다룰 줄 아는데요 해서 온 사람은 [[비행단]]이나 여단본부 정통대대에 배속받아 부대 전역에 자전거 출장정비 서비스를 다니며 하체 운동을 충실히 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도 저도 아닌 사람은 교육평가에서 삐끗해서 [[사이트]]나 [[포대]]에 배치받으면 유선특기와 함께 선은 선대로 깔고, PC관리는 PC관리대로 하게 될 것이다.[* 괜히 정통교에서 UTP 케이블로 랜선을 만드는 것을 가르쳐 주는 것은 아니다. 어차피 비행단을 가도 상황은 비슷하니까 여기를 가는 걸 추천한다.][* 아무리 SKY 컴공 출신의 개발 실무 유경험자로 교육 최상위를 받고 모두가 원하는 자대에 가도 선을 깔고 PC 관리를 하지 않는다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다. 그야말로 어디든 갈 수 있는 특기이기 때문이다.] 물론 컴퓨터가 있는 곳에는 다 갈 수 있기 때문에 정보통신대대 말고도 갈 수 있는 부서는 비행대대, 기상대, 운항관제대, 국통사 등 다양하며 전국의 모든 부대에 배속된다. 쉽게 말해 누군가는 백령도와 울릉도에 가야 한다는 것.[* 실제로 782기에는 '''1지망으로 [[백령도]]를 지원'''하고 들어간 [[용자]]가 있었다.] 특기교육의 내용은 절대다수가 컴퓨터에 관한 것들을 잡다하게 배운다. 기초적인 지식부터 시작해서 포토샵,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웹 프로그래밍, 심지어 '''데이터베이스'''까지 배우게 된다. 물론 저 짧은 교육기간 동안 마스터하는 건 당연히 무리이기 때문에 [[수박 겉핥기]] 식으로 ''''이런 게 있다''''라는 식으로 끝낸다. 더구나 누가 [[후반기교육]] 아니랄까봐 자세한 건 ''''자대 가서 배워라''''는 식으로 퉁친다. 대체로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강의하기 때문에 편하게는 배울 수 있지만 특기교육 성적과 교관의 평가가 자대에서 같이 근무할 상관(대부분 부사관)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마냥 놀 수는 없다. 병 748기부터 760기까지 잠깐 전자계산계열이 폐지되었던 적이 있었는데 이 때문에 1년간 '''총무, 회계, 관제, 보급''' 수준으로 경쟁률 과열이 굉장히 심했었다. 그러다 병 761기부터 전자계산계열로 부활했다. 만약에 본인이 전자파를 쬐면 힘이 솟구치는 [[컴덕]]이라면 그만한 특기도 없다. 특히 컴퓨터공학과 또는 유사학과[* 대표적인 예로 [[전기전자공학과]]와 [[정보통신공학과]]가 있다.] 및 관련 자격증[* 대표적인 예로 [[정보처리기능사]]와 [[정보기기운용기능사]]가 있다.] 1개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면 합격이 상당히 용이하다. 물론 다른 특기도 관련 학과 및 관련 자격증을 갖추면 어렵지 않게 원하는 특기로 갈 수 있다. [[어학병]] 중에서도 이 특기를 뽑을 때가 간간이 있을 수도 있다. 실제로 [[정치외교학과]] 출신 문과생이나 영어능력이 있는 사람이 정보체계관리 특기 어학병에 뽑혀서 제대로 배운 거 하나도 없이 정보통신학교를 수료하고 같은 교육사 내 외국어학교를 나와 예하부대 비행대대 CQ로 근무하며 전투기 관련 정보를 번역하거나 전산실에 근무하면서 통역이 필요할 때마다 차출되거나, 계획과에서 어학병 역할을 수행한다. == 같이 보기 == * [[전산병]] [[분류:군사특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