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조선 의병장]][[분류:함평군 출신 인물]][[분류:1886년 출생]][[분류:1907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국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 || 성명 ||정석면(鄭錫冕) || || 성명 ||정환면(鄭桓冕) || || 생몰 ||[[1886년]] [[3월 8일]] ~ [[1907년]] [[4월 29일]] || || [[출생지]] ||[[전라남도]] [[함평군]] 월지면 양정리 || || 사망지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백양사 || || 매장지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 || 추서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정석면은 1886년 3월 8일 전라남도 함평군 월지면 양정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06년 [[기삼연]] 읩여장의 부대에 가담하여 광주, 나주, 장흥 등지에서 일본군과 접전했다. 특히 왜장 강전(岡田)을 생포하여 처단하고 그들의 야포(野砲)와 탄환(彈丸)을 탈취하여 의병을 무장시키는 등의 전과를 올렸다. 그러나 1907년 4월 29일 백양사에서 접전하던 중 일본군의 탄환을 맞고 전사했다.[* 반면 [[국립대전현충원]]에서는 정석면이 1952년 5월 26일 함평군에서 사망했다고 기재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8년 정석면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2011년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