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공주]][[분류:1404년 출생]][[분류:1424년 사망]] [include(틀:조선의 왕녀/익조 ~ 연산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조선 태종의 왕녀[br]{{{+1 정선공주 | 貞善公主}}}'''}}}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정선공주묘.jpg|width=100%]]}}} || ||<-2> {{{#ffd400 {{{-2 남휘와 정선공주 묘 전경}}}}}} || || '''출생''' ||[[1404년]]^^([[태종(조선)|태종]] 4년)^^ || || '''사망''' ||[[1424년]]^^([[세종(조선)|세종]] 5년)^^ [[3월 5일]]^^([[음력]] [[1월 25일]])^^[br]{{{-2 (향년 21세)}}} || || '''능묘''' ||창녕 남휘, 정선공주 묘역[*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36호 지정][br]{{{-2 [[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구산리 산1-2}}}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주 이씨]] || || '''부왕''' ||[[태종(조선)|태종]] || || '''모친''' ||[[원경왕후]] || || '''부군''' ||의산군 [[의령 남씨|남휘]](宜山君 南暉) || || '''자녀''' ||'''슬하 1남 1녀''' 장녀 - [[평산 신씨|신자승]](申自繩)의 처[* [[신사임당]]의 외증조모.] 장남 - 남빈(南份)[* [[남이]]의 아버지.] || || '''작호''' ||정선궁주(貞善宮主), '''정선공주(貞善公主)'''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제3대 [[태종(조선)|태종]]과 [[원경왕후]]의 4녀이다. 남편은 개국공신 [[남은]]의 형인 [[남재]]의 손자 남휘(南暉)이다. == 생애 == 정선공주는 [[태종(조선)|국왕]]과 [[원경왕후|왕비]] 사이에서 태어난 막내 딸이었는데도 불구하고 출생 기록이 없는데 이는 당시 태종과 원경왕후의 사이가 나빠서 출생 기록이 기록되지 않았다는 설이 있다. 1404년 출생으로 연차별로 주변 주요사건을 정리하면 * 3세(1407년)에 어머니 [[원경왕후]]의 친정 동생, 본인의 외삼촌 [[민무구]], [[민무질]] 형제 유배. * 4세(1408년)에 원경왕후의 아버지, 본인의 외할아버지인 [[민제]] 사망. * 6세(1410년)에 민무구, 민무질 형제 사사. * 11세(1415년)엔 또 다른 외삼촌 [[민무휼]], [[민무회]] 유배. * 12세(1416년) 2월에 혼인. 이와중에 남은 외삼촌 민무휼, 민무회 모두 유배지에서 자살. * 14세(1418년)때 갖가지 기행을 벌이던 [[양녕대군]] 폐위, 태종이 [[세종(조선)|세종]]에게 양위하고 상왕으로 물러나 앉음. * 16세(1420년)에 어머니 원경왕후 사망. * 18세(1422년)에 아버지 태종 사망. 정선공주의 남편인 남휘는 금지된 [[성관계|부부생활]]의 불만으로 노름에 빠졌고 [[유교]]식 3년상[* 아버지 [[태종(조선)|이방원]]과 어머니 [[원경왕후]]의 3년상씩 총 5년상을 고집했다.]을 고집한 정선공주에 대한 반감과 몇 년 동안 쌓인 욕구 불만을 관[[노비]]인 윤이를 [[첩]]으로 취함으로서 해소하고자 했다. 남편 남휘의 이러한 모습을 지켜보는 정선공주는 힘든 시간을 보내야만 했고 병에 시달리다 [[건강]] 악화로 21세(만 20세. 1424년)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는데 오빠인 [[세종(조선)|세종]]은 많이 슬퍼하였다고 한다.[* 흔히 세종의 바로 아래 동생이 그의 남동생 [[성녕대군]]이라고 착각하나 이는 다르다. 정선공주와 성녕대군은 서로 연년생이며 정선공주가 1살 더 누나이다.] == 기타 == * 그녀는 [[남이]]의 친할머니로, 생전에 1남 1녀를 낳았고 그의 아들이 남이의 아버지이다. 딸은 [[신사임당]]의 할아버지인 신숙권의 어머니이다. 즉, [[남이]], [[신사임당]], [[이이(조선)|이이]]라는 [[한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세 사람의 조상이다. == 가족 관계 == * 조부 : [[태조(조선)|태조]](太祖, 1335 ~ 1408) * 조모 : [[신의왕후]] [[청주 한씨|한씨]](神懿王后 韓氏, 1337 ~ 1391) * 부 : [[태종(조선)|태종]](太宗, 1367 ~ 1422) * 모 : [[원경왕후]] [[여흥 민씨|민씨]](元敬王后 閔氏, 1365 ~ 1420) * 언니 : [[정순공주]](貞順公主, 1385~1460) * 언니 : [[경정공주]](慶貞公主, 1387 ~ 1455) * 언니 : [[경안공주]](慶安公主, 1393 ~ 1415) * 오빠 : [[양녕대군]] 이제(讓寧大君 李褆, 1394 ~ 1462) * 오빠 : [[효령대군]] 이보(孝寧大君 李補, 1396 ~ 1486) * 오빠 : [[세종(조선)|세종]](世宗, 1397 ~ 1450) * 동생 : [[성녕대군]] 이종(誠寧大君 李褈, 1405 ~ 1418) * 남편 : 의산위 [[의령 남씨|남휘]](宜山威 南暉, ? ~ 1454) - 개국공신 [[남은]](南誾)의 형인 [[남재]](南在)의 손자 * 장남 : 남빈(南份, 1421 ~ ?) * 며느리 : 남양 홍씨(南陽 洪氏) - 홍여공(洪汝恭)의 딸 * 손자 : 의산군 충무공 [[남이]](宜山君 忠武公 南怡, 1443 ~ 1468) * 장녀 : [[의령 남씨]](宜寧 南氏) * 사위 : 대사성 [[평산 신씨|신자승]](大司成 申自繩) - [[신개]](申槩)의 차남 * 외손자: 신숙권(申叔權) * 외증손자: 신명화(申命和, 1476 ~ 1522) * 외현손녀: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 ~ 1551) == 대중매체에서 == *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피소드/2018년#s-9|2018년 3월 18일자 MBC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그녀의 불행한 일생이 소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