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정선군]][[분류:정선군의 교통]]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선군)] [목차] [clearfix] = 철도 = 과거 경제 성장기에는 [[태백선]]([[예미역|예미]] - [[고한역|고한]] 구간)이 지나는 광업의 메카였으며 [[정선선]]이라는 군내 전용지선까지 보유할 정도로 철도교통이 발달되어 있었다. 그러나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 이후 탄광업이 몰락하면서 정선선의 수요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정선선의 종점이었던 [[구절리역]]은 아예 폐역처리 되었으며, 정선선을 진부까지 연결하자는 계획도 흐지부지되었다. 오히려 정선선은 극도로 심한 적자 때문에 폐선하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초적인 사회간접자본인데다 정선 중북부의 도로교통 사정이 워낙에 괴악한지라 정선군의 반발이 우려되어 어쩔 수 없이 [[정선아리랑열차]]를 주말 및 정선 5일장(2,7일) 에만 운행하는 방식을 통해 존치시키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부실한 배차와 [[청량리역]]까지 3시간이 넘게 걸리는 이유로 인해, 태백선 연선 지역이 아닌 정선읍, 북평면, 여량면 등지에서 철도를 이용하여 원주, 서울 방향으로 나가는 사람들은 자가용 혹은 1일 5회 운행하는 [[정선 버스 21|21번 버스]]를 통해 [[진부역]]을, 임계에서는 [[강릉역]]을 이용하는 편이다. [[고한읍 모노레일]]이라는 특이한 명물이 있다. 국내 최초로 [[모노레일]]을 교통목적으로 활용한 사례. = 도로 = 고속도로는 지나지 않으나, [[평택제천고속도로]]의 연장선인 제천삼척고속도로가 군의 남부 지역을 지나게 될 계획이다. 국도는 [[35번 국도]], [[38번 국도]], [[42번 국도]], [[59번 국도]]가 있다. 동서축인 38번 국도와 42번 국도가 주요 간선이고, 생활권도 두 국도 연선이 다르다. 그리고 이 두 국도를 59번 국도가 연결하고 있다. 정선읍에서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춘천시|춘천]], [[원주시|원주]] 방향으로 가려면 개량된 59번 국도를 타고 [[진부IC]], [[속사IC]]에서 [[영동고속도로]]를,[* 기존엔 진부IC에서 고속도로를 타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6번 국도]] 속사터널이 개통된 이후엔 속사IC로 진입하는 것이 거리와 시간, 비용 모두에서 우위에 있다.] 혹은 42번 국도를 통해 [[새말IC]]에서 영동고속도로를 타거나 38번 국도를 통해 [[제천IC]], 평창부터 82, 88번 지방도를 통해 [[신림IC]]에서 [[중앙고속도로]]를 탈 수 있다. 어느 나들목을 이용해도 소요시간에는 큰 차이가 없으니 취향껏 이용하면 된다. [[강릉시|강릉]]으로는 42번 국도와 35번 국도를 통해 임계를 거쳐서 가는 방법과 59번 국도를 타고 진부IC에서 영동고속도로를 타고 가는 방법이 있다. [[전라도]], [[충청도]] 방향으로 가려면 [[남제천IC]]에서 [[평택제천고속도로]]를, [[경상도]] 방향으로는 남제천IC나 [[북단양IC]], 혹은 [[태백시|태백]]을 경유하여 [[영주IC]]에서 중앙고속도로를 이용하면 된다. * [[35번 국도]]: 정선에서 강릉을 잇는 역할을 한다. 태백 황지에서 시작해 삼척 하장을 거쳐 [[임계면]]을 남북으로 관통한 뒤 강릉시로 넘어간다. * [[38번 국도]]: 2008년 말에 4차로로 건설된 이후 정선 남부의 대동맥 역할을 하고 있는 정선에서 가장 고속화된 도로다. 영월에서 넘어와 [[신동읍]](예미리), [[남면(정선)|남면]], [[사북읍]], [[고한읍]]을 거쳐 태백으로 넘어간다. 신동교차로를 지나 영월방향으로는 제천IC까지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정선~태백 구간은 험한 지형을 관통하는 구간답게 왕복 4차선 국도임에도 불구하고 민둥산사거리 앞에서는 시속 60km/h의 과속 단속 카메라가 존재하고, 태백 방향으로 마차재~문곡교차로 구간 및 두문동재삼거리~추전역삼거리 구간에서 각각 80km/h와 60km/h 구간단속이, 제천 방향으로는 두문동재삼거리~상갈래교차로에서 60km/h, 고한터널~증산터널 구간 및 마차재휴게소~예미교차로 구간에서 80km/h 구간단속이 시행 중에 있다. * [[42번 국도]]: 평창군에서 넘어와 정선읍내를 우회하여 [[북평면(정선)|북평면]], [[여량면]], [[임계면]]을 거쳐 동해시로 넘어간다. 42번 국도 연선은 영월이나 태백 생활권에 속하는 38번 국도 연선과는 다르게 강릉 생활권인 임계를 제외하면 정선읍 생활권에 속한다. 여량까지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평창올림픽]]을 대비하여 왕복 2차로이긴 해도 선형 개량이 진행되었지만 여량~임계~동해로 이어지는 구간은 태백산맥을 넘어가는 구간이기 때문에 운전하기 아주 까다로운 편이다. 백복령터널 건설을 비롯한 이 구간의 개량이 2030년 준공을 목표로 진행 중에 있다.[[https://youtu.be/belA2zpieRQ?si=zhWwK0CPGmC9PdIH|#]] * [[59번 국도]]: 38번 국도와 중첩되어 오다가 남면 문곡교차로에서 분기하여 정선읍 방향으로 향한다. 정선역을 지나 덕송리에서 42번 국도와 잠시 중첩되었다가 나전1교차로에서 다시 분기하여 오대천을 타고 진부로 향한다. 전 구간 왕복 2차로이지만 나전~진부 구간은 중간에 있는 [[정선 알파인 경기장]] 덕에 [[2018 평창 동계올림픽|올림픽]] 버프를 제대로 받아 터널을 통해 개량이 비교적 많이 진척되었다. *지방도는 [[28번 지방도]], [[410번 지방도]], [[414번 지방도]], [[415번 지방도]], [[421번 지방도]], [[424번 지방도]]가 있다. = 버스 = == [[시외버스]] == [[정선버스터미널]], [[고한사북공영버스터미널]]에서 이용할 수 있다. 나전역 인근의 북평(나전)터미널에서는 시내버스와 강릉행 시외버스만 다닌다. == 농어촌버스 == [[정선군 농어촌버스]]가 있기는 하지만, 인근 [[영월군]]처럼 배차간격이 매우 길기 때문에, 같은 정선군 내 이동에서도 [[시외버스]]가 선호되는 경향이 심하다. 신동읍에는 [[영월군 농어촌버스]]가 다닌다. 사실 정선터미널보다는 오히려 고한읍에 있는 고한사북공용버스터미널이 노선이 훨씬 많다. 이는 사북에 [[강원랜드]], 고한에 [[하이원 리조트]]가 있어 수요가 더 나기도 하고, [[태백버스정류장]]행 버스들이 중간 승하차지로 이용하기 때문.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정선군, version=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