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조선 의병장]][[분류:임실군 출신 인물]][[분류:생년 미상]][[분류:몰년 미상]][[분류:건국훈장 애족장]] || 성명 ||정성연(鄭聖連) || || 생몰 ||? ~ ? || || [[출생지]] ||[[전라북도]] [[임실군]] || || 사망지 ||미상 || || 추서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2015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정성연은 전라북도 임실군 출신으로 알려졌지만 출생년도는 알 수 없다. 그는 1908년 10월부터 임실, 전주, 금구, 태인 등지에서 제2초(哨) 십장(什長) [[전석기]] 등 수십명의 의병을 이끌고 의병장으로 활동했다. 1909년 2월 남원에서 70여 명의 의병을 이끌고 일본군과 전투를 치렀으며, 같은 해 11월까지 태인ㆍ임실ㆍ전주 등지에서 군수품과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한편, 전북의 대표적인 의병장인 [[이석용(독립운동가)|이석용]], 양윤숙(楊允淑) 등과 긴밀하게 연계하며 활동을 벌였다. 일제는 그를 체포하기 위해 온 힘을 기울였고, 그의 부하 다수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러야 했지만, 그는 끝내 체포되지 않고 종적을 감췄다.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5년 정성연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