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방찐, other1=방밀 전사, rd1=전사(하스스톤)/덱 일람/방밀 전사)] [목차] == 개요 == [include(틀:하스스톤/직업 전설/박사 붐의 폭심만만 프로젝트)] [include(틀:전사(하스스톤))] [include(틀:하스스톤/모험모드 최종보스)] ||<-3>
<#8f0000>|| ||<:> '''한글명''' ||<:> 정신 나간 천재 박사 붐 ||<|9><:> [[파일:drboom.png|width=200]] || ||<:> '''영문명''' ||<:> Dr. Boom, Mad Genius || ||<:> '''카드 세트''' ||<:> 박사 붐의 폭심만만 프로젝트 || ||<:> '''카드 종류''' ||<:> 영웅 || ||<:> '''등급''' ||<:> {{{#FFA500 전설}}}|| ||<:> '''직업 제한''' ||<:> {{{#black 전사}}} || ||<:> '''[[https://media-hearth.cursecdn.com/avatars/376/906/636688443630237822.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 7 || ||<:> '''방어도''' ||<:> 7 || ||<:> '''효과''' ||||'''전투의 함성:''' 이번 게임 동안 내 기계들이 '''속공'''을 얻습니다.|| ||<:> '''플레이버 텍스트''' ||||"당연히 정신이 나갔지. 천재 중에 안 그런 사람이 있어?"[br]''("Of course I've gone mad with power. Ever try going mad without it?")'' || >영웅 교체: 발진![* 속칭 '방찐'이라 불리며, [[빛날배]]급으로 악명이 높다. 참고로 [[방찐]]을 통해 이 문서로 올 수 있다.] ''(I'm suitin' up!)'' 등상 시 음악은 [[드레노어의 전쟁군주]] 음악중 [[https://youtu.be/mzXatGNb0UM?t=3m51s|가족]]이다. 3분 51초부터. 성우는 퓨처라마 밴더 성우로 익숙한 존 디마지오. * 대사 일람 >(공격) 이거나 받아라! >(감사) 고마워! 넌 맨 마지막에 처리해줄게.[* 원문은 "Thank you! I'll destroy you last." 영화 [[코만도(영화)|코만도]]에서 [[아놀드 슈워제네거]]가 했던 '마음에 들었어. 넌 맨 마지막에 죽여 주지.' 라는 대사를 패러디했다.] >(칭찬) 너 좀 잘하네. >(인사) 붐 박사 나가신다! >(감탄) 오호라! >(이런!) 맙소사. 실수라니. >(위협) 이 커다랗고 빨간 버튼 누르게 하지 마! >(항복) 망했네. 자폭! >(사망 1) 끄아악! 아흑... >(사망 2) 다 끝이야! 어흑... >(시간을 끌 때 1) 그렇다면... >(시간을 끌 때 2) 계획이 필요하겠는데... >(시간을 끌 때 3) 흐으음... >(턴 종료 임박) 아, 이 소리 정말 듣기 좋다니까. >(카드가 거의 없음) 카드가 거의 없어... >(카드 없음) 젠장! 카드가 없어! ||<-3>
<#8f0000>|| ||<:> '''한글명''' ||<:> 커다란 빨간색 버튼 ||<|7> [[파일:636688326088743260.png|width=200]] || ||<:> '''영문명''' ||<:> Big Red Button || ||<:> '''카드 세트''' ||<:> 박사 붐의 폭심만만 프로젝트 || ||<:> '''카드 종류''' ||<:> 영웅 능력 || ||<:> '''사용 영웅''' ||<:> 전사 || ||<:> '''[[https://media-hearth.cursecdn.com/avatars/376/384/636688326090693494.gif|황금 영웅 능력]]''' ||<:> 황금 정신 나간 천재 박사 붐의 효과 || ||<:> '''비용''' ||<:> 2 || ||<:> '''효과''' ||||전투로봇의 기능을 사용합니다! || 이 효과는 카드 정보를 볼 때 박사 붐과 함께 붙어 나오는 영웅 능력이며, 실전에서는 이하의 영능 5개 중 이전 턴의 영능을 제외한 나머지 4개 중 하나로 내 턴이 끝날 때 바뀐다. 내 턴이 끝날 때 바뀌는 이유는 상대에게도 대응의 여지를 주기 위해서라고. ||<-3>
<#8f0000>|| ||<:> '''한글명''' ||<:> 초소형 분대 ||<|7> [[파일:636688326246186886.png |width=200]] || ||<:> '''영문명''' ||<:> Micro-Squad || ||<:> '''카드 세트''' ||<:> 박사 붐의 폭심만만 프로젝트 || ||<:> '''카드 종류''' ||<:> 영웅 능력 || ||<:> '''사용 영웅''' ||<:> 전사 || ||<:> '''[[https://media-hearth.cursecdn.com/avatars/376/399/636688326248727230.gif|황금 영웅 능력]]''' ||<:> 황금 정신 나간 천재 박사 붐의 효과 || ||<:> '''비용''' ||<:> 2 || ||<:> '''효과''' ||||1/1 초소형 로봇을 셋 소환합니다. 매 턴마다 바뀝니다. || ||<-6>
<#eaeaea>|| ||<:> '''한글명''' ||<:> 초소형 로봇 ||<-4><|8><:> [[파일:636685172466632567.png|width=200]] || ||<:> '''영문명''' ||<:> Microbot || ||<:> '''카드 세트''' ||<:> 박사 붐의 폭심만만 프로젝트 || ||<:> '''카드 종류''' ||<:> 하수인(토큰) || ||<:> '''등급''' ||<:> 기본 || ||<:> '''직업 제한''' ||<:> {{{#black 공용}}} || ||<:> '''종족''' ||<:> 기계 || ||<:> '''[[https://media-hearth.cursecdn.com/avatars/376/468/636688327588343717.gif|황금 카드]]''' ||<:> 황금 초소형 분대의 효과 || ||<:> '''비용''' ||<:> 1 ||<:> '''공격력''' ||<:> 1 ||<:> '''생명력''' ||<:> 1 || ||<:> '''효과''' ||<-5>- || 종족값이 기계인 만큼 당연히 초소형 로봇에게도 속공이 부여된다. ||<-3>
<#8f0000>|| ||<:> '''한글명''' ||<:> 광선포 ||<|7> [[파일:636688326114305369.png|width=200]] || ||<:> '''영문명''' ||<:> Zap Cannon || ||<:> '''카드 세트''' ||<:> 박사 붐의 폭심만만 프로젝트 || ||<:> '''카드 종류''' ||<:> 영웅 능력 || ||<:> '''사용 영웅''' ||<:> 전사 || ||<:> '''[[https://media-hearth.cursecdn.com/avatars/376/387/636688326115475520.gif|황금 영웅 능력]]''' ||<:> 황금 정신 나간 천재 박사 붐의 효과 || ||<:> '''비용''' ||<:> 2 || ||<:> '''효과''' ||||피해를 3 줍니다. 매 턴마다 바뀝니다. || ||<-3>
<#8f0000>|| ||<:> '''한글명''' ||<:> 폭발 보호막 ||<|7> [[파일:636688326149598598.png|width=200]] || ||<:> '''영문명''' ||<:> Blast Shield || ||<:> '''카드 세트''' ||<:> 박사 붐의 폭심만만 프로젝트 || ||<:> '''카드 종류''' ||<:> 영웅 능력 || ||<:> '''사용 영웅''' ||<:> 전사 || ||<:> '''[[https://media-hearth.cursecdn.com/avatars/376/390/636688326150768708.gif|황금 영웅 능력]]''' ||<:> 황금 정신 나간 천재 박사 붐의 효과 || ||<:> '''비용''' ||<:> 2 || ||<:> '''효과''' ||||방어도를 +7 얻습니다. 매 턴마다 바뀝니다. || ||<-3>
<#8f0000>|| ||<:> '''한글명''' ||<:> 콰앙! ||<|7> [[파일:636688326184901543.png|width=200]] || ||<:> '''영문명''' ||<:> KABOOM! || ||<:> '''카드 세트''' ||<:> 박사 붐의 폭심만만 프로젝트 || ||<:> '''카드 종류''' ||<:> 영웅 능력 || ||<:> '''사용 영웅''' ||<:> 전사 || ||<:> '''[[https://media-hearth.cursecdn.com/avatars/376/393/636688326186401711.gif|황금 영웅 능력]]''' ||<:> 황금 정신 나간 천재 박사 붐의 효과 || ||<:> '''비용''' ||<:> 2 || ||<:> '''효과''' ||||모든 적에게 피해를 1 줍니다. 매 턴마다 바뀝니다. || ||<-3>
<#8f0000>|| ||<:> '''한글명''' ||<:> 지원 병력 투하 ||<|7> [[파일:636688326217424430.png|width=200]] || ||<:> '''영문명''' ||<:>Delivery Drone || ||<:> '''카드 세트''' ||<:> 박사 붐의 폭심만만 프로젝트 || ||<:> '''카드 종류''' ||<:> 영웅 능력 || ||<:> '''사용 영웅''' ||<:> 전사 || ||<:> '''[[https://media-hearth.cursecdn.com/avatars/376/396/636688326218674592.gif|황금 영웅 능력]]''' ||<:> 황금 정신 나간 천재 박사 붐의 효과 || ||<:> '''비용''' ||<:> 2 || ||<:> '''효과''' ||||기계를 '''발견'''합니다. 매 턴마다 바뀝니다. || == 상세 == 전사의 교체 영웅으로 리메이크된 박사 붐이다. 다른 영웅 교체 카드와 달리 방어력을 5가 아닌 7을 얻는 최초의 카드가 되었다.[* 원조 7마나 7/7 박사 붐과 깔맞춤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7로 설정한 걸로 보인다. 거기에 영웅 교체가 되었을 때 기준으로 필드에 영향이 거의 없기 때문에(속공 부여이니 기계덱을 쓴다면 필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전투의 함성 카드는 맞다. 다만 7코스트라 다른 기계 카드와 연계하기가 거의 불가능해 영웅 교체를 한 턴 기준으로는 필드에 영향력이 적은 편.) 조금 더 방어도를 준 것도 있다고 사료된다. 사실 방어도 +2는 0코스트 카드급 능력이니 별 상관 없긴 하다.] 비용과 방어도 모두 박사 붐과 동일하다. 무작위라 쓰긴 힘들지만 각각의 영웅 능력 자체는 웬만한 2코스트 카드급 능력이다. [[심판관 트루하트|강화된]] [[달을 삼킨 구렁이 바쿠|영웅능력보다도]] 강하다.[* 기본-강화-박사 붐 순서로 따졌을 때만 해도 각각 방어도(전사)2-4-7, 공격력(마법사)1-2-3, 토큰(성기사)1-2-3+기계+속공 등 정말 막강한 성능을 보인다.] 다만 영웅 교체 카드는 단순히 영웅 능력을 강화하는 것보다는 [[마녀 하가사|완전히]] [[죽음추적자 렉사르|새로운]] [[핏빛약탈자 굴단|효과를]] [[환영자객 발리라|기대]][[스컬지군주 가로쉬|하거나]] [[역병의 드루이드 말퓨리온|기본 영웅능력]]+[[리치 여왕 제이나|대체 불가능의]] [[칠흑의 기사단장 우서|추가 능력을]] 얻는데 박사 붐의 능력들은 상당히 심심한 편. 효과와 상관없이 이름값 하나로 황금으로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다. 실제로 영웅 능력이 다섯개고 그중 2개가 토큰을 생성해서 황금 카드의 효율은 훌륭한 편. == 평가 == === 출시 이전 === 전투의 함성이 기계에게 속공을 부여하는 능력이기 때문에, 이 카드를 제대로 써먹으려면 기계 덱에서 써야 한다.[* 영웅 능력 다섯 중 하나가 1/1 토큰 3개 소환이고 다른 하나가 기계 발견이긴 하지만 매턴 바뀌기 때문에 이것만 가지고는 속공 효과를 써먹기 힘들다.] 즉 기계 덱이 얼마나 흥하느냐에 따라 이 카드의 효용성도 갈리는 셈. 다만 지금껏 전사는 [[전사(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난투|난투]], [[전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6년#물고기 밥이나 되라고|물고기 밥이나 되라고]], [[전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8년#출정의 길|출정의 길]]처럼 필드를 포기하는 형식의 컨트롤 덱이 주류여서 남은 기계 하수인이 뭐든간에 이런 카드는 쓰기 힘들지 않나라는 의견도 있다. 영웅 능력 쪽은 강력하긴 하지만 매턴, 그것도 상대턴에 바뀌기 때문에 원하는데로 사용하기 힘들다. 그래도 지금 컨트롤 계열 전사에서[* 도발 전사, 소집 전사 등] 쓰는 [[스컬지군주 가로쉬]]보단 영웅 능력이 좋기 때문에 과거 [[리치 여왕 제이나]]처럼 기계 덱이 아니더라도 단순 뒷심용으로 쓸 수 있을 것 같다는 의견 역시 존재한다.[* 과거 리치 여왕 제이나는 정령법사를 밀어주는 카드로 생각했지만 정령법사는 구려도 이카드는 하스스톤 10손가락 안에 들어가는 강한 뒷심을 가지고 있어서 단순하게 컨트롤 법사에서 탈진전을 보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성능과는 별개로, 영웅 능력이 기존의 능력들을 조금 손 본 수준이라 성의 없어 보인다는 의견이 있다. 이러나 저러나 주술사의 [[마녀 하가사]]처럼 [[스컬지군주 가로쉬]]를 대신할 전사의 구원 투수가 되어줄 카드로 기대받고 있었지만 발매 직전 사전 연습에서 연전연패를 기록하며 순식간에 혹평으로 뒤집어졌다. 7코스트 이후로 사용되는 '''랜덤''' 영웅능력이 생각보다 영향력이 적고[* 영웅 능력 하나하나가 전부 후반부에선 생각보다 별 도움 안되고 그나마 비벼볼 여지가 있는 기계 발견은...] 단순 기계전사뿐만 아니라 기계들 전부가 나사빠진 성능을 지니고 있어서 전함 능력도 제대로 효율을 보지 못했다. 그리고 다음날 인벤 카드평가에서 사전체험을 못 본 기무기훈을 제외한 모든 스트리머들은 쓰레기라며 대차게 깠다. 물론 해당 사전 체험은 기본 카드와 그 자리에서 즉석에서 뽑은 폭심만만 카드로만 만든 덱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마냥 구리다라고 단정 짓긴 힘들다.--다만 밸류싸움에서 하가사에게 완벽하게 밀렸다.--[* 하가사는 마녀숲 카드라서 사용 불가지만 블리자드의 오류 때문인지 채용이 가능하였다. 이벤트 매치기도 하고 주최측의 실수여서인지 재경기 없이 그냥 이런걸 찾은 것도 실력이라고 넘어갔다.] 영웅 능력 중 기계를 발견하는 능력은 죽음추적자 렉사르의 영웅 능력처럼 극후반에 하수인을 낼 수 있게 해 준다는 평가도 있었지만 영웅 능력이 무작위라는 점과 7턴을 버린다는 점 때문에 이 같은 평가는 묻히게 됐다. === 출시 이후 === * 까마귀의 해: 출시 직후 직접 써본 사람들의 평가는 그렇게 좋지 않았다. [[http://m.dcinside.com/view.php?id=pebble&no=2359756&page=5&recommend=1|#]] 다른 영웅 능력 교체 카드들과 달리 낸 턴에 바로 해주는 게 별로 없고, 영능이 무작위이고 그 효과도 심심해서 뒷심으로서도 좀 부족하기 때문. 따라서 폭심만만 극초창기에는 스컬지군주 가로쉬를 쓰지 못하는 홀수 방밀 전사를 제외하면 [[스컬지군주 가로쉬]]와 같이 쓰이거나 스컬지군주 가로쉬에 밀려 채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마녀숲]] 때 [[마녀 하가사]]가 출시 전 애매할 거라는 예상을 뒤집고 [[사령술사 스랄]]을 완벽히 대체했던 것과 대조되었다. 다만 사령술사 스랄은 진화 주술사 전용 카드라서 하가사가 완전 폐급만 아니면 대체가 쉬웠지만 스컬지군주 가로쉬와 박사 붐은 둘 다 컨트롤 지향 카드라서 일대일 비교는 힘들다. 하지만 결국 메타가 정립되면서 사기는 아니더라도 준수한 카드로 재평가받아 정규와 야생을 가리지 않고 홀수 방밀 전사 등 후반 지향 전사 덱들의 뒷심을 책임졌다. 속공 부여 효과가 10턴 이후 [[전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8년#오메가 조립 시설|오메가 조립 시설]]에서 나오는 기계 3장과 큰 시너지가 붙기도 하고, 영웅능력도 운에 달려있지만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이 나온다. 무엇보다 코스트가 7, 방어도가 7이기 때문에 [[스컬지군주 가로쉬]]의 8코스트 소용돌이 영웅능력을 한박자 빠르게 대체한다. 초반에 방어도를 어느 정도 쌓고 영웅 교체 후 필드 하수인을 정리해가며 버티는 식. * 용의 해: [[어둠의 반격]]을 기점으로 채용률이 대폭 상승했다. 죽음의 기사들이 모두 야생으로 떠나면서 몇 안 남은 영웅 교체로서 그 가치가 매우 올라갔기 때문이다. 특히 다른 직업이 제압기를 많이 잃은 것과는 대조적으로 박사 붐은 속공 기계가 부족한 제압기를 대신해 필드 제어 능력을 보완해주었다. [[울둠의 구원자]] 발매 이후로도 변함이 없어서, 7마나 카드 주제에 게임이 시작될 때 손에 들고 가도 통계 승률이 70퍼센트를 넘었다. 한마디로 방밀 전사가 성립할 수 있는 이유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였다. 정규전 카드 풀에서 속공을 통한 제압기+기계 발견을 통한 뒷심 강화 역할을 동시에 해줄 수 있는 몇 안 되는 카드기 때문이다. 다른 컨트롤 덱은 어찌 됐든 무거운 카드를 넣어서 뒷심을 확보할 필요가 있지만, 박사붐과 오메가 조립 시설을 가진 전사는 뒷심은 발견 카드들, 소위 말하는 아무튼 생성됨 카드들에 맡겨버리고 제압기만 꾹꾹 눌러담는 형태의 덱을 굴릴 수 있었었다. 결국 울둠의 구원자 중반에 9마나로 하향되었다. [[https://playhearthstone.com/ko-kr/blog/23097373/non-printable|#]] 이에 대해서는 '적절한 너프다'란 의견과 '비용 문제가 아니다'라는 의견으로 나뉘었다. 한편 정규에서 오만 욕을 다 들어먹는 것과 다르게, 야생에서는 별 힘을 쓰지 못했다. 야생이라고 박사 붐을 쓰지 않았던 것은 아니지만, 전사 자체가 약세라서 메타에 별 영향을 못 주었다. 박사 붐을 채용하는 홀수 방밀 전사가 4티어에 자리잡은 것 정도가 끝. 야생에서 기계를 발견할 때 고놈 위니 기계들이 발견 풀을 방해하는 것도 컸으니 [[죽음추적자 렉사르|죽기 렉사르]]와 같이 정규의 좁은 카드 풀 때문에 사기 카드가 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 하향 이후 ~ 롤백 이전 === 하향 이후 쓴다 혹은 안 쓴다의 평이 갈렸는데, 결국은 9코스트가 돼도 썼다. 후반에 나와도 기계 속공은 여전히 좋고, 전사에게는 무한 밸류 카드가 딱히 없어서 준 무한 밸류 카드인 이 카드를 써야만 한다. 그걸 빼면 나머지는 전사가 엄청난 장점을 다수 가지고 있어서 점유율도 거의 유지했으며 승률도 2티어를 지켰다. 하지만 용의 강림 이후 메타가 대격변하면서 방밀 전사가 몰락하자 같이 자취를 감췄다. 그러다가 2020년 3월 27일부로 7마나로 롤백되자 일주일 정도 방밀 전사가 다시 보였다. === 롤백 이후 === 다시 7마나가 되었기 때문에 야생 탈진 전사가 준필수로 채용한다. 홀수 방밀 전사는 취향에 따라 갈리는 편. 다만 저 덱들이 소수의 숙련자만 돌리는 덱이기 때문에 메타에 별 영향은 못 주고 있다.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홀수 방밀 전사는 정말 매크로만이 돌리는 덱이 되었고, 탈진 전사 역시 더 좋은 카드들을 넣기 위해 박사 붐을 빼게 되어 야생의 컨트롤 전사 역시 더이상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다만 2022년 4월에 [[캘타스 선스트라이더(하스스톤)#s-3.2|캘타스 드루이드]]와 [[상황 역전]] 사제를 카운터 치기 위해 재등장한 자연수 방밀 전사에서는 여전히 박사 붐 홀로, 혹은 더해서 [[카자쿠산]]과 함께 단 2장으로 후반 한 장 싸움과 덱 자체의 밸류를 책임졌으나 2주만에 두 덱이 너프와 야생밴으로 사라지자 다시 이 카드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 묘수풀이 연구소의 박사 붐 == 묘수풀이 연구소의 4개의 퍼즐을 완료하면 나오는 [[묘수풀이 연구소/비밀 연구실|비밀 연구실]]에서 최종보스로 등장한다. 자세한 사항은 문서 참조. == 기타 == * 사용시 "발진!---방찐---" 이라는 대사와 함께 날아올라 초상화가 있는 자리로 착륙한다. * 야생에서 정규로 돌아와 새로운 확장팩의 주인공이 되었다! 이름하여 [[박사 붐의 폭심만만 프로젝트]]. 해당 확장팩의 직업전설 또한 박사붐과 그의 과학자 동료들이라고 한다. 그 와중에 실험체가 하나 마녀숲으로 튀긴 했지만[* 실험체 3C. 모험모드 [[괴물 사냥]]에서 보스로 나오며 상대로 박사 붐을 내거나 차원문 카드를 사용시 황천의 연구소 특수 대사가 나온다. 특급 카드 [[하스스톤/카드일람/마녀숲/특급 등급#악몽의 융합체|악몽의 융합체]]와 같은 개체이다.] 어차피 대부분 폭탄만 만드는 그에게 그런 건 상관없다. * 함께 공개된 공식 만화에선 아제로스 정복을 꿈꾸는 과학자들의 수장으로 등장하는데 하는 행동을 보면 상당히 허당이다. 그나저나 미쳐버린 바람에 말을 못한다는 설정이였는데 트레일러는 물론 만화에서도 문제없이 잘만 말한다. 아마 동료 전부가 과학자다보니 어찌어찌 고쳤던가 그냥 설정 변경인 듯. 여담으로 아제로스 정복을 꿈꾸는 이유는 그의 짝사랑[* [[비열한 거리의 가젯잔]] 확장팩에 나온 중립 희귀 하수인인 [[하스스톤/카드일람/비열한 거리의 가젯잔/희귀 등급#폭탄 분대|폭탄 분대]]를 짝사랑하는 것으로 보인다.]을 이루기 위해서라고... * 성능과는 별개로 정말 이름이 길다. 특히 띄어쓰기도 많아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까지 한다. 그래서 플레이어들은 통칭 '''방찐'''이라고 부른다. * 가끔 박사 붐을 쓰는 방밀전사 미러전을 [[메카닉 테란]]전에서 따온 테테전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티저 합성에서는 박사모가 되었다고 한다. * [[하스스톤/카드일람/얼어붙은 왕좌의 기사들/특급 등급#드라카리 마법부여사|드라카리 마법부여사]]가 필드에 있을 경우, 내 턴이 끝날 때 영웅 능력이 2번 바뀐다. 즉, 2번째 바뀐 영웅 능력을 사용할 수 있다. * 이후 매 턴마다 바뀌는 영웅 능력은 알터랙 계곡에서 [[정령의 브루칸]]과 [[기원의 자이렐라]]가 계승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원의 자이렐라는 5딜과 5힐이 매 턴마다 바뀌므로 박사 붐의 무작위성을 진정으로 계승한 것은 정령의 브루칸으로 봐야 할 것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박사 붐,version=553)] [[분류:하스스톤/카드/영웅 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