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G]] 《[[매직 더 개더링]]》의 카드. || '''영어판 명칭''' || '''Mind Rot''' ||<|5>[[파일:정신 부패_m21.png]]|| || '''한글판 명칭''' || '''정신 부패''' || || '''마나비용''' || {{{#fff {2}{B} }}} || || '''[[매직 더 개더링/유형|유형]]''' || 집중마법 || ||||플레이어를 목표로 정한다. 그 플레이어는 카드 두 장을 버린다. || [[Fallen Empires]]에 등장한 [[Hymn to Tourach]]의 약화판으로써 [[Mirage]]에 등장한 [[Stupor]]의 약화판으로 [[Portal(매직 더 개더링)|Portal]]에 처음으로 등장한 카드. 마나 3개를 들여서 상대가 원하는 카드 2장을 버리게 만드는 집중마법으로, 이후 발매된 7판에서부터 '''모든''' 코어세트에 실리면서 디스카드 주문의 표준이 되었다. 코어세트가 [[스탠다드(매직 더 개더링)|스탠다드]]에서 잠시 사라진 [[칼라데시]]~[[아몬케트]] 시절에도 [[칼라데시]]에 재판되면서 스탠다드에 끈질기게 남아있었으나, [[코어세트 2021]]을 마지막으로 재판이 끊기고 [[이니스트라드: 한밤의 사냥]]부터는 스탠다드에서 사용할 수 없는 카드가 되었다. 2장이 결코 작지 않은 손실이고 쓰는 것만으로도 1:2의 교환비를 보장하지만, 상대 또한 제일 손해가 적은 카드를 버리려고 할 것이므로 체감되는 타격은 의외로 크지 않다. 게다가 3마나면 슬슬 위협적인 기물을 놓으면서 게임을 이쪽으로 끌고 오든지 그런 카드들을 제 때에 카운터/제거하면서 게임을 후반부로 끌고 와야 하는 타이밍인데, 그런 기회를 전장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이런 카드에 사용하는 건 상당한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행위이다. 특성상 상대의 손에 카드가 딱 2장에 가까워질 수록 강력해지는 카드이기 때문에, 3마나 주문이지만 3턴에 쓰기보다는 후반부에 사용하는 게 좋은 카드다. 어쨌든 겉보기에 비해 약한 파워 때문인지 희귀도는 단 한 번도 커먼을 벗어난 적이 없다. || '''포맷''' |||| '''[[매직 더 개더링/금지 제한 카드|사용가능 여부]]''' || || [[스탠다드(매직 더 개더링)|스탠다드]][br][[알케미]] || 사용불가 (절판) || || [[히스토릭]] ||<|7> 사용가능 || || [[파이어니어]][br][[익스플로러(매직 더 개더링)|익스플로러]] || || [[모던]] || || [[레거시(매직 더 개더링)|레거시]] || || [[빈티지(매직 더 개더링)|빈티지]] || || [[파우퍼]] || || [[커맨더(매직 더 개더링)|커맨더]] || ==# 수록세트 일람 #== ||||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 [[Portal(매직 더 개더링)|Portal]] ||<|20> 커먼 || |||| [[Portal(매직 더 개더링)|Portal]] Second Age || |||| [[Starter 1999]] || |||| [[Core Set Seventh Edition]] || |||| [[Core Set Eighth Edition]] || |||| [[Core Set Ninth Edition]] || |||| [[매직 더 개더링 Tenth Edition]] || |||| [[Magic 2010 Core Set]] || |||| [[Magic 2011 Core Set]] || |||| [[매직 2012 코어세트]] || |||| [[매직 2013 코어세트]] || |||| [[라브니카로의 귀환]] || |||| [[매직 2014 코어세트]] || |||| [[매직 2015 코어세트]] || |||| [[타르커의 용]] || |||| [[매직의 기원]] || |||| [[칼라데시]] || |||| [[코어세트 2019]] || |||| [[코어세트 2020]] || |||| [[코어세트 2021]] || ==# [[플레이버 텍스트]] #== |||| [[Portal(매직 더 개더링)|Portal]] ||<|3> (없음) || |||| [[Portal Second Age]] || |||| [[Starter 1999]] || |||| [[Core Set Seventh Edition]] ||<|2> ''What wizards fear most is losing their minds.'' || |||| [[Core Set Eighth Edition]] || |||| [[Core Set Ninth Edition]] ||<|3> ''"The beauty of mental attacks is that your victims never remember them."[br]—[[Volrath the Fallen|Volrath]]'' || |||| [[매직 더 개더링 Tenth Edition]] || |||| [[Magic 2010 Core Set]] || |||| [[Magic 2011 Core Set]] || ''Not every thought is a good one.'' || |||| [[매직 2012 코어세트]] || ''생각이라 해서 다 좋은 건 아니다.'' || |||| [[매직 2013 코어세트]] || ''“안타깝구나. 글로 적어두었으면 좋았을 것을.”[br]—[[릴리아나 베스]]'' || |||| [[라브니카로의 귀환]] || ''그의 현재 상황에 비교할 기억이 없어진 후에야 안달룸은 마침내 만족하게 되었다.'' || |||| [[매직 2014 코어세트]] || ''"유감이네. 메모라도 해놓지 그랬어."[br]—[[릴리아나 베스]]'' || |||| [[매직 2015 코어세트]] || ''“영감의 원천을 잃는 일은 날 슬프게 한다. 이번 녀석은 특히 유망해 보였었다.”[br]—[[악몽을 부르는 아시오크|아시오크]]'' || |||| [[타르커의 용]] || ''“난 오주타이 녀석들을 즐겨 사냥하지. 놈들에게는 빼낼 지식이 많거든.”[br]—실룸가르 마법사 아스말라'' || |||| [[매직의 기원]] || ''“영감의 원천을 잃는 일은 날 슬프게 한다. 이번 녀석은 특히 유망해 보였었다.”[br]—[[악몽을 부르는 아시오크|아시오크]]'' || |||| [[칼라데시]] ||<|4> ''많은 발명가들이 완벽한 디자인을 만들려는 스트레스에 못 이겨 쓰러진다.'' || |||| [[코어세트 2019]] || |||| [[코어세트 2020]] || |||| [[코어세트 2021]] || == 변형들 == 정신 부패의 기본적인 효과를 내장하고 거기에 추가적인 효과를 주는 다양한 변형들이 존재한다. * [[우르자의 전설]]의 낙담(Unnerve): 발비 {3}{B}인 대신 '''각 상대'''에게 적용되기 때문에 다인전에서 추가 효과를 볼 수 있다. * [[Planeshift]]의 Bog Down: 기본 스펙은 정신 부패와 똑같지만 키커가 달려있어 그 비용으로 대지 2개를 추가로 희생하면 대신 세 장. * [[Apocalypse]]의 Gerrad's Verdict: {W}{B}으로 다색이 된 대신 마나 2개만 지불해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는데, 거기에 더해 버려진 대지마다 생명 3점도 추가로 얻는다. 다색에 크게 힘을 실어준 세트라는 걸 알 수 있는 카드. 희귀도는 언커먼으로 올랐다. * [[Onslaught]]의 Chain of Smog: {1}{B}로 두 장이라는 고효율이지만 '''당한 플레이어가 이 주문을 복사할 수 있어''' 2마나 카드 단 한 장으로 서로 손을 전부 버리게 만드는 것도 가능했던 카드. Onslaught 세트에 등장한, 당한 플레이어가 주문을 복사할 수 있는 Chain 사이클의 일종이다. 희귀도는 언커먼. * [[Scourge]]와 [[아몬케트]]의 고해: 본체 주문은 {1}{B}{B}, 거기에 순환 {2}가 달려있다. * [[Mirrodin]]의 Wrench Mind: {B}{B}으로 두 장이라는 고효율이지만 마법물체 한 장을 버리는 것으로 대신할 수 있다. * [[Fifth Dawn]]의 Fill with Fright: {3}{B}로 비용이 늘어난 대신 점술 2를 하는 기능이 추가. * [[Champions of Kamigawa]]의 Walking Nightmare: 기본 스펙은 정신 부패와 똑같지만 하위 유형 비술(Arcane)이 달려 접합을 가진 주문을 갖다붙일 수 있다. * [[Ravnica: City of Guilds]]의 Consult the Necrosages: [[디미르 가문|마나비용 {1}{U}{B}]]로 [[점]]과의 양자택일 선택지를 제공하는 변형. * [[Time Spiral]]의 Haunting Hymn: {4}{B}{B} 순간마법. 내 본단계에 발동하면 4장을 버리게 만드는, [[아조리우스 평의회|부록 능력]]의 프로토타입에 해당하는 추가 기능이 있다. 희귀도는 언커먼. * [[Morningtide]]의 Pulling Teeth: {1}{B}으로 발동해서 한 상대와 Clash(서고 맨 위 카드의 마나 값을 비교하여 더 높은 쪽이 승리한다)하여 승리하면 2장, 비기거나 졌다면 1장을 버리게 한다. 유의할 점은, 다인전에서 쓸 경우 꼭 카드를 버릴 상대와 Clash할 필요는 없다는 것. * [[Shards of Alara]]의 Esper [[Charm]]: {W}{U}{B}로 발동하는 순간마법. 백색의 부여마법 파괴, 청색의 2드로, 흑색의 2디스카드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 [[Shards of Alara]]의 [[Blightning]]: 아무 색 마나 한 개가 적색으로 대체되어 {1}{B}{R}로 목표한 플레이어(혹은 그 플레이어가 조종하는 [[플레인즈워커]])에게 3점 번이라는 추가 효과가 붙었다. 해당 항목 참조. * [[아바신의 귀환]]의 마음의 고통: {3}{B}로 비용이 늘어난 대신 생명 2점을 잃게 하는 기능이 추가. * [[용의 미로]]의 흉악 // 무도: 스플릿 카드. 흉악 쪽은 {3}{B}로 비용이 {1} 늘어난 정신 부패이고, 무도는 {2}{G}로 역시 비용이 {1} 늘어난 [[재성장]]이다. 여기에 카드 자체에 붙은 융합을 통해 양쪽 주문을 모두 발동할 수 있는 기능이 붙어있다. * [[타르커의 칸]]의 락샤사의 비밀: 내가 카드 2장을 미는(서고 맨 위에서 그만큼 카드를 무덤으로 보내는) 기능이 추가. * [[재창조된 운명]]의 타시구르의 잔혹함: 비용 {5}{B}인 대신 파헤치기가 붙어, 무덤의 카드를 원하는 만큼 (기본적으로는 5장까지) 추방하는 것으로 그 수만큼 {1}의 지불을 대신할 수 있다. * [[젠디카르 전투]]의 진창의 악의: 기본 비용은 {3}{B}이지만 각성 3―{5}{B}이 붙어 {5}{B}을 주고 발동하면 대지 한 개를 3/3 생물로 활용할 수 있다. * [[관문수호대의 맹세]]의 [[무자비한 처벌]]: {3}{B}{B}로 발동해서 생명 5점을 잃거나, 카드 2장을 버리거나, 생물 또는 플레인즈워커 한 개를 희생하는 행위를 2번 하도록 강요한다. 해당 항목 참조. * [[파멸의 시간]]의 위탁 // 망각: 스플릿 카드. 망각 쪽이 여파를 가진 {4}{B} 집중마법으로 정신 부패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손에서 발동할 때 사용하는 위탁 쪽은 [[부메랑(매직 더 개더링)#분산|분산]]과 같은 발비 및 효과를 발휘하므로, 위탁으로 지속물을 손으로 올린 후 망각으로 무덤에 묻는 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익살란]]의 비정한 강탈: 내가 생물로 공격간 턴에 발동하여 습격 조건을 만족하면 보물 토큰 한 개를 추가로 만든다. * [[익살란의 숙적들]]의 솟구치는 핏줄기: 발비 {1}{B}{B}. 내가 흡혈귀를 조종한다면 각 상대가 생명 2점을 잃고 내가 생명 2점을 얻는 부가효과가 있다. * [[라브니카의 충성]]의 축제 // 학살: [[라브니카의 충성의 스플릿 카드]]. 학살 쪽이 {2}{B}{R}로 발동하는 [[Blightning]]의 약화판이다. 해당 항목 참조. * [[플레인즈워커 전쟁]]의 다브리엘의 그림자푸가: 마음의 고통의 리네이밍 카드로, [[무법적인 그림자마도사, 다브리엘]]의 시그니처 스펠. 해당 항목 참조. * [[모던 호라이즌]]의 정신 갈퀴: 과부하 {1}{B}이 붙어 {1}{B}로 발동하면 모든 플레이어가 카드를 2장씩 버리도록 할 수 있다. * [[엘드레인의 왕좌]]의 공포 수확: 모험. 자체로는 {3}{B}로 {1}이 더 붙었지만, 해결되고 나면 추방된 후 밤의 사신이라는 이름의 생물[* {5}{B}{B} 4/5 스펙터 생물. 공격할 때마다, 수비플레이어의 손에 카드가 2장 이하라면 턴종료까지 비행을 얻는다.]로 재사용할 수 있다. * [[죽음 너머의 테로스]]의 칠성장어의 상: {3}{B}로 내가 조종하는 생물에게 부여하여 그 생물에게 생명연결을 주는 마법진. ETB 능력이 정신 부패와 같다. * [[젠디카르 라이징]]의 정신 누출: 2디스카드에 더해 상대는 1밀+생명 1점 상실, 나는 생명 1점 회복이라는 다양한 부가효과가 추가됐다. * [[젠디카르 라이징]]의 폐허의 기록: 2디스카드, 내 무덤에서 마나 값 2 이하인 생물 하나 리애니, 또는 마나 값 3 이하인 생물 하나 파괴 중 하나를 골라서 적용할 수 있다. 추가로 키커 {2}{B}{B}를 지불하여 {4}{B}{B}{B}를 주고 발동하면 둘 이상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희귀도는 레어. * [[칼드하임]]의 두개골 침입: 마나비용이 {3}{B}로 올랐지만 예고 {1}{B}를 가져 2마나+2마나로 분할납부할 수 있으며, 상대가 (손에 카드가 모자라) 카드를 덜 버렸다면 대신 내가 그만큼 카드를 뽑는 기능이 추가됐다. * [[스트릭스헤이븐: 마법 학교]]의 백지상태: '''각 상대의 무덤을 추방'''하는 부가효과가 붙어 회상이나 소란, 무덤 주문 인양 등과 같은 전술을 카운터칠 수 있다. 스탠다드에서는 안티 컨트롤 카드로 제법 쓰인 카드. 희귀도는 언커먼으로 올랐다. * [[포가튼 렐름에서 펼쳐지는 모험]]의 데모고르곤의 마수: 2밀+생명 2점 상실이라는 부가기능이 붙었다. 희귀도는 ~~어째서인지~~ 언커먼. * [[이니스트라드: 한밤의 사냥]]의 출구 없음: 내가 부패를 가진 2/2 흑색 좀비 생물 토큰 하나를 만드는 기능이 추가. * [[카미가와: 네온 왕조]]의 카이토의 추적: 내 모든 닌자와 도적이 턴종료까지 호전적을 얻는 추가 기능이 붙었다. * [[도미나리아 유나이티드]]의 공격적인 방해 공작(Aggresive Sabotage): 키커 {R}가 달려있어 키커로 발동했다면 그 플레이어에게 피해 3점 추가. [[Blightning]]의 약화판이자 학살의 강화판이다. * [[기계군단의 행진]]의 엘드레인 침략(Invasion of Eldraine): ETB 격발 능력으로 정신 부패를 발휘하는 {3}{B} 공성전 전투. 추가로 수비 카운터 4개를 가지고 전장에 들어오는데, 피해를 누적시켜서 이걸 전부 제거하면 가시 페어리[* 비행을 가진 2/2 흑색 페어리 도적 생물. 각 상대의 유지단 시작에 그 플레이어의 손에 카드가 2장 이하라면 그 플레이어에게 피해 2점을 입힌다.]라는 이름의 생물로 변신시켜 사용할 수 있다. [[기계군단의 행진의 전투]] 항목을 참조. [[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