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카카오벤처스 대표이사[br]{{{+1 정신아}}}'''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9702_44948_115.jpg |width=100%]]}}} || || '''출생''' ||[[1975년]]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연세대학교]] {{{-2 (불어불문학 · 경영학 / 학사)}}}[br][[연세대학교 대학원]] {{{-2 (경영학 / 석사)}}}[br][[미시간 대학교]] {{{-2 (MBA)}}} || || '''직업''' ||[[기업인]] || || '''현직''' ||[[카카오벤처스]] {{{-2 (대표이사 / 2018년 3월~ )}}}[br]카카오 CA협의체 공동의장 || || '''경력''' ||[[보스턴컨설팅그룹]] {{{-2 (전략 컨설턴트 / 2000~2007년)}}}[br][[이베이]]APAC {{{-2 (전략 매니저 / 2007~2009년)}}}[br][[NHN]] {{{-2 (수석부장 / 2010~2013년)}}}[br][[카카오벤처스|케이큐브벤처스]] {{{-2 (파트너 / 2014~2018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기업인]]. 2023년 12월 13일부로 [[카카오(기업)|카카오]]의 단독대표로 내정되었다. == 생애 == 1997년 [[연세대학교]]에서 [[불어불문학]]을 학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같은 학교에서 경영학 마케팅 석사를 수여받은 뒤, 2000년 [[보스턴컨설팅그룹]]에서 경력을 시작했다. 근무 당시, 테크 관련 전략 수립 과정을 좋아했다고 언급했다. PPT 위주의 단기 프로젝트 컨설팅에 염증을 느끼며, BCG를 퇴사한 뒤 [[이베이]]로 이직했다. APAC 사업부에서 [[동남아시아]] 사업 진출 업무를 맡았다.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초기 예산이 적은 대신, 높은 자유도를 부여하는 이베이와는 다르게, [[NHN]]에서 근무할 때 당시의 수직적 구조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다.[* [[EO]] 채널에 출연하여 초기 단계부터 실패를 맹목적으로 두려워하며, 세부적인 것 하나하나 결재를 요하는 한국 [[대기업]]의 문화를 간접적으로 비판했다.] 이후 2014년 [[카카오벤처스]]의 전신인 케이큐브벤처스로 이직했다. 이곳에서 근무하며, 이력과 경력 및 사업모델보다는 창업자와 팀원의 습득력, 우직함, 끈기 등의 중요성을 뼈져리게 느꼈다고 한다. 2018년 3월 카카오벤처스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수직적인 문화, 사내정치 등의 악습을 없애나가며 기업 문화를 재조성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투자했다고 한다. 2023년 3월 [[카카오(기업)|카카오]] 기타비상무이사로 합류했다. 2023년 11월부터 [[김범수(기업인)|김범수]] 의장이 주도하는 카카오 경영쇄신위원회 상임위원으로 참여하여, [[카카오모빌리티]] 수수료 및 분식회계 논란,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분쟁]] 관련 불공정거래, 문어발식 확장, 내부실태 폭로 등의 악재를 타개하는 데 힘을 더할 것으로 보인다. 2024년 3월로 예정된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거쳐 [[카카오(기업)|카카오]]의 새로운 대표이사로 선임될 예정이다.[[https://www.kakaocorp.com/page/detail/10754|#]] 홍은택, 김성수, 배재현[* 차기 대표로 거론되었으나, [[SM엔터테인먼트]] 인수 과정에서 주식 시세를 조종하고, 5% 이상의 주식대량보유보고를 하지 않은 혐의를 받으며 전격 구속되었다.] 등의 인사들이 수사 선상에 올라선 탓에, 기업 내 대표이사를 맡을 만한 중역이 그녀밖에 없을 지경이었다. 벤처전문가인데다 여성 CEO라는 상징성을 통해 기업의 쇄신 의지를 어필할 여지가 높아졌다. 2024년 1월 2일, 카카오의 새로운 그룹 내 컨트롤타워인 CA협의체 공동의장으로 임명되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647723?sid=105|#]] 김범수 외 전임 총괄이었던 배재현 투자총괄과 김정호 경영지원총괄이 자리를 비운 탓이다. == 여담 ==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2dAuX6e7xO0?si|width=100%)]}}}|| || [[EO|'''{{{#ffffff 2019년 EO 출연 동영상}}}''']] || * 2019년 9월 [[EO]] 채널에 출연하여, 본인의 이력을 간단하게 소개했으며 조직문화와 스타트업에 대한 생각을 나눈 영상이 큰 화제를 몰았다. * 2022년 카카오벤처스 전임 대표이사 [[임지훈(기업인)|임지훈]]이 카카오벤처스를 상대로 성과급 청구 소송을 제기한 이후 2023년 1심에서 패소했는데, 해당 과정에서 현직 카카오벤처스 대표이사인 정신아의 이름이 거론되었다. 임지훈 전 대표는 정신아 현 대표로부터 2021년 상반기에 여러 차례 성과급 지급 액수와 시기 등의 계획을 이메일로 공유했으나 2022년 1월에 별다른 이유 없이 돌연 지급이 불가능하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임지훈 전 대표가 현직에 있을 당시 같은 계약을 맺었으며, 현재까지 회사에 남아있는 정신아 대표와 김기준 부사장은 계약대로 각각 260억원을 받았다고 한다.][[https://www.instagram.com/p/C0h5PmEMx7w/?igsh=MzRlODBiNWFlZA==|#]] [[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성 기업인]][[분류:1975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여성 대기업 임원]][[분류:카카오(기업)]][[분류:미시간 대학교 MBA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