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정신옹주, rd1=정신옹주)] [[분류:조선의 옹주]] [[분류:1452년 사망]] [include(틀:조선의 왕녀/익조 ~ 연산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0%, #94153e 20%, #94153e 80%, #751232)" '''조선 태종의 왕녀[br]{{{+1 정신옹주 | 貞信翁主}}}'''}}} || || '''출생''' ||1408년 혹은 1409년 || || '''사망''' ||[[1452년]]^^([[문종(조선)|문종]] 2년)^^ [[10월 17일]][* [[음력]] 9월 26일][br](향년 44세~45세)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주 이씨]] || || '''부왕''' ||[[태종(조선)|태종]] || || '''생모''' ||[[신빈 신씨]] || || '''부군''' ||영평위 [[파평 윤씨|윤계동]] (鈴平尉 尹季童) || || '''자녀''' ||'''슬하 1남 1녀''' 아들 - 윤삼원(尹三元) 딸 - [[한산 이씨|이파]](李波)의 처 || || '''봉호''' ||'''정신옹주(貞信翁主)'''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제3대 국왕 [[태종(조선)|태종]]과 후궁 [[신빈 신씨]] 딸. 후술할 결혼 관련 사건으로 유명하다. === 생애 === ==== 결혼 관련 사건 ==== [[1417년]]([[태종(조선)|태종]] 17), 정신옹주의 아버지 [[이방원|태종]]은 딸의 사윗감을 고르기 위해 지화(池和)라는 점쟁이를 시켜 당시 [[춘천]] [[군수]]를 지낸 [[이속(조선)|이속]]의 아들의 사주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하지만 이속은 지화를 쫓아내면서 "'''내 아들은 이미 죽었다. 만일 [[의빈 권씨|권궁주(權宮主)]]의 소생이라면 내 자식이 살아날 수 있다.'''" 라는 망언을 하였다.[* [[http://sillok.history.go.kr/id/kca_11709002_004|태종 17년 9월 2일 갑인 4번째기사]]][* 또는 "길례(吉禮)가 이미 끝났는데, 또 궁주(宮主)가 있는가? 만일 [[의빈 권씨|권 궁주]]의 딸이 결혼한다면 나의 자식이 있지마는, 만일 [[신빈 신씨|궁인]]의 딸이라면 내 자식은 죽었다. 나는 이렇게 연혼하고 싶지는 않다." [[http://sillok.history.go.kr/id/kca_11709002_002|라는 버전도 있다.]]] 당연히 [[태종(조선)|태종]]은 [[신빈 신씨|자신이 총애하는 후궁]]과 딸을 모욕하는 말에 분노했고, [[이속(조선)|이속]]에게 [[장형]] 100대의 형벌을 내리고 관직을 삭탈시켰다. [[조말생]]과 김효생 등 일부 신하들은 이속의 죄는 대역죄이므로 삼족을 멸해야 한다고 간하였으나, 태종은 재산을 몰수하고 지방의 관노비로 만드는 데에 그쳤다. 하지만 그의 아들은 평생 장가들지 못하게 하였다고 한다.[* [[이익(실학자)|이익]]의 저서 [[성호사설]]에 기록되어 있다.] 나중에 한참 시간이 지나서야 아들들의 금혼령은 풀렸다고 한다. 결국 정신옹주는 [[1418년]]([[태종(조선)|태종]] 18)에 당시 유배갔던 명문가 출신 윤향(尹向)[* 윤향은 정신옹주를 자신의 며느리로 맞이하고 싶다는 의미로 아들의 사주 단자를 택배로 보냈다. 태종은 뼈대있는 명문가에서 살살 치료해주자, 매우 기뻐하며 윤향의 유배를 풀어주었다. 참고로 윤향은 왕명을 거역했다는 죄목으로 유배를 간 상태였는데, 하루아침에 천하의 충신으로 바뀌었다. 이속과는 정반대의 운명을 걸은 셈.]의 아들 윤계동에게 하가하였다. === 가족 관계 === * 부 : [[태종(조선)|태종]](太宗, 1367 ~ 1422) * 모 : [[신빈 신씨]](信嬪 辛氏, ? ~ 1435) * 오빠 : [[함녕군]] 이인(諴寧君 李裀, 1402 ~ 1467) * 오빠 : [[온녕군]] 이정(溫寧君 李裎, 1407 ~ 1453) * 동생 : [[정정옹주(태종)|정정옹주]](貞靜翁主, 1410 ~ 1456) * 동생 : [[숙정옹주(태종)|숙정옹주]](淑貞翁主) * 동생 : [[숙녕옹주(태종)|숙녕옹주]](淑寧翁主) * 동생 : [[소신옹주]](昭信翁主, ? ~ 1437) * 동생 : [[소숙옹주]](昭淑翁主, ? ~ 1456) * 동생 : [[숙경옹주]](淑慶翁主, 1420 ~ 1494) * 시부 : 호조판서 소도공 윤향(戶曹判書 昭度公 尹向, 1374 ~ 1418) * 시모 : 남양 홍씨(南陽 洪氏) - 남양군 문경공 홍길민(南陽君 文景公 洪吉旼)의 딸 * 부마 : 영평군 의간공 [[파평 윤씨|윤계동]](鈴平君 懿簡公 尹季童, ? ~ 1454) * 장남 : 윤삼원(尹三元) * 며느리 : [[원주 변씨]](原州 邉氏) - 감찰 변상동(監察 邊尙同)의 딸 * 손자 : 윤준(尹峻) * 손자 : 윤순(尹峋) * 손자 : 윤완(尹岏) * 손자 : 현감 [[무송 윤씨|윤지]](縣監 尹漬)의 처 * 손자 : 호군 [[고령 신씨|신필]](護軍 申泌)의 처 * 장녀 : 찬성 [[한산 이씨|이파]](贊成 李波, 1434 ~ 1486)의 처 * 외손자 : 이덕윤(李德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