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왕녀/익조 ~ 연산군)] [[분류:조선의 옹주]][[분류:1441년 출생]][[분류:1461년 사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조선 세종의 왕녀[br]{{{+1 정안옹주 | 貞安翁主}}}'''}}}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정안옹주묘.jpg|width=100%]]}}} || ||<-2> {{{#ffd400 {{{-2 심안의 • 정안옹주 합장묘 전경}}}}}} || || '''출생''' ||[[1441년]]^^([[세종(조선)|세종]] 23년)^^ || || '''사망''' ||[[1461년]]^^([[세조(조선)|세조]] 7년)^^ [[11월 26일]]^^([[음력]] [[10월 16일]])^^[br]{{{-2 (향년 21세)}}} || || '''능묘''' ||심안의ㆍ정안옹주 합장묘[*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명덕리][* 원래 [[남양주시]]에 부부의 무덤이 각각 따로 있었는데, 이장 과정에서 합장묘가 되었다.[[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776954|무덤 관련 기사]]]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주 이씨]] || || '''부모''' ||부왕 [[세종(조선)|세종]][br]모친 [[숙원 이씨(세종)|숙원 이씨]] || || '''형제자매''' ||18남 4녀 중 4녀 || || '''배우자''' ||청성위 심안의 (靑城尉 沈安義) || || '''자녀''' ||'''슬하 1남 1녀''' 장녀 - [[전주 최씨|최맹사]]의 처 장남 - 심언(沈漹) || || '''봉호''' ||'''정안옹주(貞安翁主)'''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정안옹주(貞安翁主, 1441년[* 《문종실록》 13권, 문종 2년(1452년 명 경태(景泰) 3년) 4월 27일 (신묘)] ~ 1461년 11월 26일(음력 10월 16일))는 조선의 옹주로, [[세종(조선)|세종]]의 4녀이자 서차녀이며 어머니는 [[숙원 이씨(세종)|숙원 이씨]]이다. == 생애 == 1441년(세종 23년), [[세종(조선)|세종]]과 [[숙원 이씨(세종)|숙원 이씨]]의 딸로 태어났다. 1453년(단종 1년), [[단종(조선)|단종]]이 강맹경에게 명하여 사족 자제 중에 배필을 찾게 한 끝에[* 《단종실록》 4권, 단종 즉위년(1452년 명 경태(景泰) 3년) 10월 21일 (기유)] 관찰사 심선(沈璿)의 아들 청성위(靑城尉) 심안의에게 하가하여 1남 1녀를 낳았다. [[단종(조선)|단종]]은 이에 면포 6백필로 집을 사서 하사하였다. 1461년(세조 7년) 10월 16일 훙서하였으며 이에 [[세조(조선)|세조]]는 사흘간 조회를 중지하고 쌀·콩 1백 석과 종이 2백 권, 백저포(白苧布)·면포(綿布) 각 10필, 베[布] 60필을 부조하였다.[* 《세조실록》 26권, [[세조(조선)|세조]] 7년(1461년 명 천순(天順) 5년) 10월 16일 (임오)] 정안옹주의 남편인 심안의는 1476년(성종 7년) 3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에 위치하고 있다. 정안옹주의 어머니인 [[숙원 이씨(세종)|숙원 이씨]]는 딸과 사위가 죽은 이후에도 생존하여 1490년(성종 21년), 자신의 외손자이자 정안옹주의 아들인 심언(沈漹)의 관직을 당시 국구였던 [[정현왕후]]의 아버지인 영원부원군 윤호에게 청탁한 일로 물의를 빚었다.[* 《성종실록》 241권, 성종 21년(1490년 명 홍치(弘治) 3년) 6월 7일 (무자)] == 가족 관계 == * 부 : [[세종(조선)|세종]](世宗, 1397 ~ 1450) * 모 : [[숙원 이씨(세종)|숙원 이씨]](淑媛 李氏) * 시증조부 : [[심징]](沈澄, ? ~ 1432) - [[심온]]의 형, [[소헌왕후]]의 숙부 * 시조부 : 심석준(沈石儁) * 시부 : 심선(沈璿, ? ~ 1467) * 시모 : [[초계 정씨]](草溪 鄭氏) * 부마 : 청성위 심안의(靑城尉 沈安義, 1438 ~ 1476) * 장녀 : [[청송 심씨]](靑松 沈氏, 1454 ~ 1514) * 사위 : [[전주 최씨|최맹사]](崔孟思, ? ~ 1472) * 외손자 : 최인수(崔仁壽) * 외손자 : 최인복(崔仁福) * 장남 : 심언(沈漹) * 며느리 : [[문화 류씨]](文化 柳氏) - 류수륜(柳守綸)의 딸 * 손자 : 심광붕(沈光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