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영기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height=55]][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1984년 한국시리즈|{{{#ed1c24 1984}}}]]''' || ---- [include(틀:롯데 자이언츠 2군 감독)] ---- [include(틀:한화 이글스 2군 감독)] ---- ||<-5> '''{{{#ffff00 [[MBC 청룡|'''{{{#ffff00 MBC 청룡}}}''']] 등번호 6번}}}''' || || 팀 창단 || {{{+1 →}}} || '''{{{#ffff00 정영기[br](1982~1983.6.26.)}}}''' || {{{+1 →}}} || 김경표[br](1984~1988) || ||<-5> '''{{{#ed1c24 [[롯데 자이언츠|{{{#ed1c24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번}}}''' || || [[박영태]][br](1982~1983.6.26.) || {{{+1 →}}} || '''{{{#ed1c24 정영기[br](1983.6.27.~1988)}}}''' || {{{+1 →}}} || [[오대석]][br](1989~1991) || ||<-5> '''{{{#ff9933 [[태평양 돌핀스|'''{{{#ff9933 태평양 돌핀스}}}''']] 등번호 2번}}}''' || || [[김무관]][br](1987~1988) || {{{+1 →}}} || '''{{{#ffffff 정영기[br](1989~1990)}}}''' || {{{+1 →}}} || [[김성갑]][br](1991~1995) || ||<-5> '''{{{#ff9933 [[태평양 돌핀스|'''{{{#ff9933 태평양 돌핀스}}}''']] 등번호 77번}}}''' || || 결번 || {{{+1 →}}} || '''{{{#ffffff 정영기[br](1991~1992)}}}''' || {{{+1 →}}} || [[정동진(1946)|정동진]][br](1993~1995) || ||<-5> '''{{{#000000 [[쌍방울 레이더스|'''{{{#000000 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77번}}}''' || || 결번 || {{{+1 →}}} || '''{{{#ffc81e 정영기[br](1993~1995)}}}''' || {{{+1 →}}} || [[이광길]][br](1996~1999) || ||<-5> '''{{{#fff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73번}}}''' || || 정기태[br](1992~1995) || {{{+1 →}}} || '''{{{#ffffff 정영기[br](2001~2006)}}}''' || {{{+1 →}}} || 결번 || ||<-5> '''{{{#ffffff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87번}}}''' || || [[한영준]][br](1998~2001) || {{{+1 →}}} || '''{{{#fff 정영기[br](2007~2008)}}}''' || {{{+1 →}}} || [[김응국]][br](2013~2015)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73번}}}''' || || 결번 || {{{+1 →}}} || '''{{{#fff 정영기[br](2010~2012)}}}''' || {{{+1 →}}} || [[이종범]][br](2013~2014) || }}} || ||<-2>
'''{{{+2 정영기}}}[br]鄭永基 | Young-Ki Jung''' || ||<|2> '''출생''' ||[[1956년]] [[2월 29일]] ([age(1956-02-29)]세) || ||[[대전광역시]] [[동구(대전)|동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신흥초 - [[한밭중학교|한밭중]] - [[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 - [[영남대학교 야구부|영남대]] || || '''포지션''' ||[[유격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82년 [[MBC 청룡]] 창단멤버 || || '''소속팀''' ||[[롯데 자이언트]] (1980~1981)[br][[MBC 청룡]] (1982~1983) [br] [[롯데 자이언츠]] (1983~1988) [br] [[태평양 돌핀스]] (1989~1991) || || '''지도자''' ||[[현대 유니콘스/2군|태평양 돌핀스 2군]] 플레잉코치 (1991)[br][[현대 유니콘스/2군|태평양 돌핀스 2군]] 수비코치 (1992) [br] [[쌍방울 레이더스]] 1군 수비코치 (1993~1995) [br] [[한화 이글스]] 1군 수비코치 (1996~1998)[br][[한화 이글스/2군|한화 이글스 2군]] 수비코치 (2001)[* ~6월 9일][br][[한화 이글스]] 1군 수비코치 (2001)[* 6월 10일~7월 20일][br][[한화 이글스/2군|한화 이글스 2군]] 수비코치 (2001)[* 7월 21일~][br][[한화 이글스]] 1군 수비코치 (2002~2005)[br][[한화 이글스/2군|한화 이글스 2군]] 수비코치 (2006) [br] [[롯데 자이언츠/2군|롯데 자이언츠 2군]] 감독 (2007~2008) [br] [[경찰 야구단]] 수비코치 (2009) [br] [[한화 이글스/2군|한화 이글스 2군]] 감독 (2010~2012) [br] [[강릉영동대학교 야구부]] 코치 (2017~2020) [br] [[대덕대학교 야구부]] 인스트럭터 (2023~) || || '''프런트''' ||[[한화 이글스]] 스카우트 차장 (1999~2000) [br] [[한화 이글스]] 스카우트 팀장 (2012~2016)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야구선수, [[한화 이글스]] 프런트인 스카우트 팀장. 현역 당시 포지션은 [[유격수]]이다. == 선수 경력 == [[대전광역시]] 출신으로 충남중학교를 졸업한 뒤 상경해 [[영남대학교]]를 졸업한다[* 한때 대구 영남고에 잠깐 재적했던 탓인지 대구 소재인 영남대에 진학한 것으로 풀이되는데 영남고 야구부 해체 후 서울 충암고로 전학가 졸업했다]. 이 후 [[MBC 청룡]]의 창단멤버로 합류해[* 당시 창단멤버 중 하나였던 박재천은 정영기가 그랬던 것처럼 영남고 해체 후 서울 학교로 전학가 졸업했다(박재천-휘문고 정영기-충암고)] 원년 주전 유격수로 활약하지만, 이듬해 [[김재박]]이 입단하면서 주전 자리에서 물러났고, 마찬가지로 1983년에 입단한 [[한문연]], [[심재원(야구선수)|심재원]]에 주전 자리를 내준 [[롯데 자이언츠]] 포수 [[차동열]]과 맞트레이드되어 롯데로 이적했다.[* 최초의 선수 간 맞트레이드이다. 현금 트레이드는 이미 [[서정환]]등의 사례가 있었다.] [[롯데 자이언츠]]에서도 [[강병철의 양아들]]로 불리며 1984년 한국시리즈 우승,[* 한국시리즈 3차전에서 끝내기안타를 쳤었다.] 1985년 통합승률 2위 때 주전 유격수를 맡는 등 잘 나가다가 1989년 [[태평양 돌핀스]]로 이적해 1990년 은퇴했다. == 지도자 경력 == 선수로써는 2할 5푼을 넘긴 시즌이 3시즌에 불과하고, 통산 홈런 8개에 도루 26개에 불과하며 여러 팀을 전전하는 등 전형적인 수비형 유격수~~치곤 3할 한 번 쳐본 시즌도 있긴 했지만~~이자 저니맨이었지만, 지도자로써는 성공한 케이스. 자신과 줄곧 한솥밥을 먹어 왔던 [[이광길]]과 비슷하다고 해야할까? [[한화 이글스]] 스카우터로 재임하던 2000년에는 [[높으신 분들]]의 반발을 무시하고 무명의 대구고 내야수 [[이범호]]를 2차 1순위로 지명해 한화의 노령화를 막았다. [* 훗날 2019년 7월 13일 은퇴식에서 이범호는 제일 고마운 분이 정영기 前 감독이라며 감사의 뜻을 밝혔다] 롯데 2군 감독 재임 시절에는 [[조정훈(야구선수)|조정훈]], [[이우민|이승화]] 등 전임 [[양상문]] 체제에서 냉대받던 선수들을 1군 즉시전력감으로 만들면서 [[롯데 자이언츠]]의 2년 연속 2군 남부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당시 정영기 2군 감독이 물러나고 [[양상문]]이 2군 감독으로 컴백하자 갈마에서는 부산고 코드인사라며 [[롯데 자이언츠]] [[프런트]]를 비난했다.] 이 외에도 [[쌍방울 레이더스]] 수비코치 시절 다리 부상으로 인해 우익수로 전향한 [[백인수|백인호]]가 다시 3루수로 전향할 수 있도록 도왔고, 1996년 한화 내야진의 평균 연령을 8개 구단 최연소로 만드는 등 수비코치로써의 능력도 우수하다. 그러나 강성으로 타협을 모르고 올곧은데다가, 지기 싫어하는 성격을 갖고 있어서 프런트와는 사이가 그다지 좋지 않다고 한다. 2012년까지 [[한화 이글스]]의 2군 감독을 맡았는데, 과거 수비코치 시절이나 롯데 2군 감독 시절 때처럼 매직을 보여 주지 못하고 있다. 전임 [[김인식]] 감독 때 지명한 수비력 없는 우타 거포 일색에 [[이상군|상군매직]], [[우경하]]가 방치해 놓아 기본기까지도 떨어졌기 때문.[* 전용구장인 김해 상동구장을 사용하는 롯데 2군에 비해서 여기저기 고교 야구부와 군부대를 떠돌아 다니는 한화 2군의 연습환경도 고려해야 한다. 적어도 서산 야구장이 완공되기 전까지.] 그래도 2년 간 고생한 결과 눈에 띄는 결과물들을 하나씩 보여 주었는데, 대표적인 선수들이 [[장민재]], [[김혁민]], [[신주영(야구선수)|신주영]] 등의 젊은 투수들이 한화가 탈꼴찌에 성공한 2011년 1군에서 자리를 잡았다는 것.[* 그러나 [[신주영(야구선수)|신주영]]은 2011년 시즌 중 잠깐 반짝하더니 버로우, 2012 시즌 후 방출되었다.] 타자들의 경우에는 아직 눈에 띄게 성장한 선수는 없지만 [[이양기]]가 오랜 암흑기를 벗어나 처음으로 1군에서 중용되기 시작했으며 [[김회성]] 등 1군에 테스트를 받기 시작하는 선수들도 하나씩 나오기 시작하고 있다. 현재 [[한화 이글스]]의 야수진은 좌익수 [[최진행]]과 포수 [[이희근]], [[신경현]], 2루수 [[한상훈]]을 제외하면 전 포지션이 타팀에서 영입한 선수들도 메우고 있는데, 하나둘 2군에서 선수들이 올라오고 있다. 2013년에 2군 감독을 [[이정훈(1963)|이정훈]]이 맡게 되면서 [[스카우트]]로 자리를 옮겨 2016년까지 재임했고 2017년부터 2020년까지 [[강릉영동대학교 야구부]] 코치로 재직했다. 2023년부터는 [[대덕대학교 야구부]] 인스트럭터로 재직 중이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ffff00 연도}}} || {{{#ffff00 소속팀}}} || {{{#ffff00 경기수}}} || {{{#ffff00 타수}}} || {{{#ffff00 타율}}} || {{{#ffff00 안타}}} || {{{#ffff00 2루타}}} || {{{#ffff00 3루타}}} || {{{#ffff00 홈런}}} || {{{#ffff00 타점}}} || {{{#ffff00 득점}}} || {{{#ffff00 도루}}} || {{{#ffff00 4사구}}} || {{{#ffff00 장타율}}} || {{{#ffff00 출루율}}} || || 1982 || [[MBC 청룡]] || 75 || 246 || .228 || 56 || 5 || 1 || 1 || 23 || 27 || 6 || 21 || .268 || .287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 1983 || [[MBC 청룡|MBC]] / [[롯데 자이언츠|롯데]] || 57 || 116 || .155 || 18 || 6 || 0 || 1 || 7 || 9 || 1 || 4 || .233 || .182 || || 1984 ||<|5> [[롯데 자이언츠]] || 94 || 321 || .271 || 87 || 9 || 1 || 1 || 28 || 30 || 5 || 24 || .315 || .320 || || 1985 || 92 || 280 || .304 || 85 || 11 || 1 || 1 || 24 || 22 || 3 || 19 || .361 || .348 || || 1986 || 90 || 212 || .208 || 44 || 3 || 2 || 1 || 11 || 17 || 3 || 15 || .255 || .260 || || 1987 || 97 || 286 || .280 || 80 || 7 || 1 || 0 || 22 || 25 || 4 || 24 || .311 || .336 || || 1988 || 72 || 159 || .233 || 37 || 5 || 1 || 0 || 15 || 15 || 0 || 14 || .277 || .293 || || {{{#ff9933 연도}}} || {{{#ff9933 소속팀}}} || {{{#ff9933 경기수}}} || {{{#ff9933 타수 }}} || {{{#ff9933 타율}}} || {{{#ff9933 안타}}} || {{{#ff9933 2루타}}} || {{{#ff9933 3루타}}} || {{{#ff9933 홈런}}} || {{{#ff9933 타점}}} || {{{#ff9933 득점}}} || {{{#ff9933 도루}}} || {{{#ff9933 4사구}}} || {{{#ff9933 장타율}}} || {{{#ff9933 출루율}}} || || 1989 ||<|2> [[태평양 돌핀스]] || 79 || 186 || .204 || 38 || 4 || 3 || 3 || 21 || 17 || 1 || 17 || .306 || .286 || || 1990 || 88 || 157 || .172 || 27 || 7 || 0 || 0 || 11 || 10 || 2 || 16 || .217 || .246 || ||<-2> '''[[KBO 리그|KBO]] 통산''' [br] (9시즌) || 744 || 1963 || .240 || 472 || 57 || 10 || 8 || 162 || 172 || 25 || 154 || .292 || .294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전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56년 출생]][[분류:1982년 데뷔]][[분류:1991년 은퇴]][[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