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정왕역'''}}}[br](한국공학대학교) || ||<-3> [[수도권 전철 4호선|[[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30]]]]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파일:SBLine_icon.svg|width=30]]]] || || [[당고개역|{{{#!html
당고개 방면}}}]][[신길온천역|신길온천]][br]← 2.9 ㎞ || [[수도권 전철 4호선|{{{#!html
4호선
(455)
}}}]] ||<|2> [[오이도역|{{{#!html
오이도 방면}}}]][[오이도역|오이도]][br]1.4 ㎞ → || || [[당고개역|{{{#!html
당고개 방면}}}]][[안산역|안 산]][br]← 5.1 ㎞ || [[수도권 전철 4호선|{{{#!html
4호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em" {{{#ffffff '''급행'''}}}}}} || || [[청량리역|{{{-1 {{{#585858,#a7a7a7 청량리 방면}}}}}}]][br][[신길온천역|신길온천]][br]← 2.9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ffffff {{{-1 수인·분당선[br](K257)}}}}}}]] || [[인천역|{{{-1 {{{#585858,#a7a7a7 인천 방면}}}}}}]][br][[오이도역|오이도]][br]1.4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정왕역, 너비=100%, 높이=100%)]}}}||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Jeongwang || || [[한자]] ||<-2><|2> 正往 || || [[중국어]] || || [[일본어]] ||<-2> [ruby(正往, ruby=チョンワン)] || ||<-3> '''주소''' || ||<-3> [[경기도]] [[시흥시]] [[마유로]]418번길 15 (정왕동) || ||<-3> '''관리역 등급''' || ||<-3> [[무배치간이역]] ([[업무분담역|위탁역]])[br]([[안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수도권광역본부) || ||<-3> '''운영 기관''' || || [[안산선]] ||<-2><|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 [[수인선]] || ||<-3> '''개업일''' || || [[수인선]] ||<-2> 1937년 8월 5일[* 군자역으로 개업] [br]~1994년 9월 1일[br]2020년 9월 12일(재개업) || || [[안산선]] ||<-2><|2> 2000년 7월 28일 || || [[수도권 전철 4호선|{{{#ffffff 4호선}}}]]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ffffff 수인·분당선}}}]] ||<-2> 2020년 9월 12일 || ||<-3> '''역사 구조''' || ||<-3> 지상 2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3> '''철도거리표''' || || [[금정역|{{{#585858,#a7a7a7 {{{#!html
금정 방면
}}}}}}]] ||<|2> '''[[안산선]]'''[br]정 왕 || [[오이도역|{{{#!html
오이도 방면}}}]] || ||<|2> [[신길온천역|신길온천]][br]← 2.9 ㎞ ||<|2> [[오이도역|오이도]][br]1.4 ㎞ → || ||<|2> '''[[수인선]]'''[br]정 왕 || || [[수원역|{{{#585858,#a7a7a7 {{{#!html
수원 방면
}}}}}}]] || [[인천역|{{{#!html
인천 방면}}}]]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정왕역 스탬프.jpg|width=150]] || || 정왕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 [[수도권 전철 4호선]] 455번,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K257번. [[경기도]] [[시흥시]] [[마유로]]418번길 15 (정왕동)[*A 정왕동 2325-12번지] 소재. >'''옛 군자역 자리에 안산선 연장개통과 함께 재출발''' >정왕역은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일부인 안산선의 정차역으로 2000년 7월 28일 영업을 개시하였다. 현재의 정왕역 자리에는 과거 수인선 협궤철도가 있던 시절의 옛 군자역이 있었다. 군자역은 1937년 군자염전의 소금 수송을 위해 설립된 역사로, 1994년 수인선 협궤철도 폐선으로 함께 사라졌다. 그리고 2000년 안산선이 안산역에서 오이도역 구간을 연장 개통하면서 정왕역이란 명칭의 새로운 역사로 돌아온 것이다. 새로운 역명은 시흥시 승격과 군자면 폐지로 높아진 정왕 지명의 인지도를 반영하고, 수도권 전철 5호선과 7호선의 군자역과의 구분을 위함이었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 역 정보 == === 협궤철도 수인선 군자역 === [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5> '''{{{#ffffff 수인선}}}''' {{{#eaeaea (협궤철도)}}} || || [[수원역#s-2.6|수 원]] 방면 [br] [[신길온천역#s-2.1|신 길]] [br]← 3.2 km || {{{+1 ← }}} || '''군 자'''[br] || {{{+1 → }}} || [[숭의역#s-2.1|남인천]] 방면 [br] [[달월역#s-2.1|달 월]] [br] 3.7 km → || ||<-5> [[1994년]] [[9월 1일]] 부로 __폐선된__ 수인선 전체 노선도는 [[수인선/폐역 목록]]에서 참조하십시오. || || [[파일:군자역.jpg|width=500]] || || 수인선 군자역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2325-12에 있었다. [[1937년]] [[8월 5일]]에 [[수인선]] 개통과 더불어 개업했다. [[1977년]] [[9월 1일]]에 수소화물·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 [[https://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N&archiveEventId=0028091776#11|#]]] [[1977년]] [[10월 24일]]에 역원배치간이역으로, [[1981년]] [[1월 1일]]에 역원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https://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N&archiveEventId=0028092966#5|1977년 철도청고시 제33호]], [[https://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N&archiveEventId=0028120328#12|1981년 철도청고시 제74호]].] [[1994년]] [[9월 1일]]에 [[한대앞역]] ~ [[소래역]] 구간의 운행 중단에 따라 폐지되었다. 역사는 옛 [[팔당역]]과 비슷한 구조를 지녔다. === 안산선(4호선)/수인선(수인분당선) 정왕역 === [[파일:2022년 정왕역.png|width=100%]] 2000년에 안산선이 연장되면서 [[수인선]] [[군자역(수인선)|군자역]](君子驛)이 있던 자리에 정왕역이 세워졌다. 역명이 바뀐 이유는 이 역이 건설되기 5년 전에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환승역이 [[군자역]]이란 이름을 가져갔고, 시흥군이 시흥시로 승격하면서 군자면이 폐지됨에 따라 군자보다 정왕이란 지명이 인지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배차간격은 다소 길었다. 종착역인 [[오이도역]]이 직전역인데도 불구하고 하행 배차보다 상행 배차가 더 뜸한 4호선의 특징과 [[사당역]]과 [[안산역]]에서 열차가 돌아가는 종착역 분산 때문에 출퇴근 시간을 제외하면 평균적으로 열차가 1시간 당 5대밖에 없었지만 현재는 개선되어 평시에 1시간당 7대는 오고, 출퇴근 때는 1시간당 최대 9대까지 들어간다. 주말 낮시간대라면 1시간당 3대라는 긴 배차였지만 현재는 안산행의 대부분을 오이도행으로 돌려서 1시간당 5~7대 정도는 오는 편이다. 다만 가끔 운전정리로 오이도행 열차가 안산역에서 타절하는데, 이 때는 예전 수준처럼 돌아간다. 이 역부터 [[오목천역]]까지 수인분당선의 배차간격이 크게 벌어진다. 출근 시간대 기준 무려 '''25분'''이며, 주말에는 30분까지 벌어진다. 대부분의 수인선 열차는 오이도역에서 시종착하기 때문. 안산~오이도역 구간에서 유일하게 부본선 부지가 없는 상대식 역이기도 하다.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에서는 부역명인 한국공학대학교까지 방송하지만 [[서울교통공사]]의 전동차에서는 정왕역만 방송한다. 3호선의 [[옥수역]]과 비슷하게 천장에 노란색 기둥으로 나가는 곳을 표시하여 이용객들이 정왕역을 이용하기 편리하게 해놓았다. 단, 정왕역부터 중앙역까지 모두[* 초지역은 서해선 환승역이기도 하므로 서해선 환승 안내멘트만 나온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과 환승역임에도 [[중랑역]]과 똑같이 환승안내 멘트 방송이 나오지 않는다.[* 다만, 수인선 구간 개통 후 일주일간은 환승안내멘트를 하여 8연속 [[얼씨구야]]를 선보였다. 마지막 [[한대앞역]]까지 정차 후 노선이 분기하기 때문에 [[한대앞역]] 전 공용구간에서는 따로 불필요한 환승안내멘트를 내보낼 이유가 없기 때문] 한마디로 노선 공용이다. == 역 주변 정보 == ||<-2> 출구 정보 || || {{{#ffffff 1}}} || 남광장[br]한국공학대학교[br]경기과학기술대학교 || || {{{#ffffff 2}}} || 북광장 || 지상역으로 역 자체는 개찰구 있는 곳도 1군데고 입구도 2개인 그저 그런 작은 역. 그다지 크지도 않지만 시흥시민들의 이용빈도는 높은 편이다. 역이 위치한 정왕본동부터 정왕4동(이쯤되면 거의 오이도역 근처이다)에 거주하는 내외국인과 [[시화국가산업단지]]에 근무하는 직장인, 그리고 [[한국공학대학교]]와 [[경기과학기술대학교]]의 재학생들이 주 이용수요다. 역명이 정왕역(한국공학대학교)으로 표기되지만, 정왕역에서 한국공학대학교는 1.6㎞나 떨어져 있고[* 경기과기대와 맞닿아있음.] 교차로도 많아서 걸어서 가려면 여유있게 잡아서 30분 정도 걸린다. 대신 통학버스는 무료로 운행되고 있다.[* 대부분 타는 편]1번 출구로 나가서 오른쪽으로 나가면 삼거리가 있는데, 그 앞에 있는 간이 정거장에서 탈 수 있다. 정왕역 1번 출구로 나가면 [[롯데시네마]] 시화점(구 월드시네마), [[이마트 시화점]]/[[CGV 정왕]], [[시흥소방서]]로 갈 수 있다. 위의 정왕역 역사 사진에 보이는 횡단보도 중간에 섬 형태의 버스정류장이 만들어졌다. 정확한 시점은 불명이나 대략 2013년부터 [[코레일네트웍스]]에서 위탁 관리하고 있다. 이 역에서도 오이도를 갈 수 있는데, [[시흥 버스 25|25번]]을 타면 갈 수 있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4호선|[[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25]]]]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파일:SBLine_icon.svg|width=20]]]]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자료없음 || {{{#fff,#1f2023 비고}}} || || 2001년 || 7,361명 || || || 2002년 || 11,397명 || || || 2003년 || 14,875명 || || || 2004년 || 13,090명 || [* 해당 연도까지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9863289&id=www_060700000000|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 || || 2005년 || 13,674명 || || || 2006년 || 14,288명 || || || 2007년 || 14,462명 || || || 2008년 || 14,920명 || || || 2009년 || 14,334명 || ||}}}}}}}}} || || 2010년 || 14,995명 || || || 2011년 || 16,207명 || || || 2012년 || 17,270명 || || || 2013년 || 19,846명 || || || 2014년 || {{{#00a4e3 20,471명}}} || || || 2015년 || 19,865명 || || || 2016년 || 19,596명 || || || 2017년 || 19,115명 || || || 2018년 || 18,726명 || || || 2019년 || 18,176명 || || || 2020년 || 12,892명 || [* 9월 12일에 개통된 수인·분당선의 자료는 4호선의 자료에 합산되어 집계된다.] || || 2021년 || 14,946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br]수송통계 자료실]] || }}} * 교통이 불편한 시화지구에서 의존도가 제법 높은 역이나, 시화지구는 자가용을 사용하는 비중이 비교적 높다. * 이를 단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이 2010년대의 급격한 이용객 상승이다. 2010년까지 하루 평균 이용객이 15,000명을 넘어본 적이 없었으나, 2011년~2015년까지 이어진 유가 폭등으로 인하여 이용객이 무려 5,000명 이상 상승했다. * 이러한 상승폭이 놀라운 것은, 이 시기엔 시화지구 안에 이렇다 할 주거지가 추가로 건설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즉, 인구는 거의 그대로인데 유가 폭등 외에 뚜렷한 유입 요인이 없이 이용객이 크게 늘어났다는 것이다. * 추가로 2012년 [[수도권 전철 수인선]]이 [[오이도역]]으로 연결되어 인천에서 들어오는 환승 수요가 늘어난 것이 정왕역 이용객 상승에 큰 역할을 했다. 2020년에는 수인선이 정왕역에도 들어오게 되었다. * 2012년에 [[수도권 전철 수인선]]이 [[오이도역]]까지 연장되었어도, 정왕역이 오이도역보다 이용객 수가 많았으나, 2018년 추월당했다. == 승강장 == [[파일:정왕역 승강장.jpg|width=500]] ||<-4> ↑ [[신길온천역|신길온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fabe00 50%, #00A5DE 50%)" {{{#ffffff 1}}}}}} || ㅣ || ㅣ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A5DE 50%, #fabe00 50%)" {{{#ffffff 2}}}}}}|| ||<-4> [[오이도역|오이도]] ↓ || || {{{#ffffff 1}}}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안산역|안산]]·[[금정역|금정]]·[[이촌역|이촌]]·[[당고개역|당고개]] 방면|| || {{{#ffffff 1}}}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한대앞역|한대앞]]·[[수원역|수원]]·[[기흥역|기흥]]·[[왕십리역|왕십리]] 방면|| || {{{#ffffff 2}}}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오이도역|오이도]] 방면|| || {{{#ffffff 2}}}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월곶역|월곶]]·[[인천논현역|인천논현]]·[[연수역|연수]]·[[인천역|인천]] 방면|| 2018년 1월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 중이다. 이 역은 구배가 평지(0퍼밀)이다. == 연계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정왕역환승센터(25835)'''}}}}}} || ||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7|{{{#ffffff 7(시흥푸르지오6차)}}}]]}}}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0-1|{{{#ffffff 20-1(부곡중학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5|{{{#ffffff 25(오이도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6|{{{#ffffff 26(신천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6|{{{#ffffff 26(시흥우체국.센트럴병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6-1|{{{#ffffff 26-1(시흥터미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6-1|{{{#ffffff 26-1(능곡공영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8|{{{#ffffff 28(MTV어린이공원입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9|{{{#ffffff 29(MTV어린이공원입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안산 버스 30|{{{#ffffff 30(오이도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70|{{{#ffffff 70(배곧누리초.중흥S클래스)}}}]]}}} || || [[맞춤형버스|{{{#ffffff 맞춤형}}}]]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2367; font-size: .95em" [[시흥 버스 11|{{{#ffffff 11-A(기계유통단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2367; font-size: .95em" [[시흥 버스 11|{{{#ffffff 11-A(배곧호반1차)}}}]]}}}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정왕역(25198)'''}}}}}} || ||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7|{{{#ffffff 7(시흥푸르지오6차)}}}]]}}}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0-1|{{{#ffffff 20-1(종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5|{{{#ffffff 25(정왕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6-1|{{{#ffffff 26-1(시흥터미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6-1|{{{#ffffff 26-1(능곡공영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8|{{{#ffffff 28(MTV어린이공원입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9|{{{#ffffff 29(MTV어린이공원입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안산 버스 30|{{{#ffffff 30(광덕중학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70|{{{#ffffff 70(시흥푸르지오6차)}}}]]}}} || || [[맞춤형버스|{{{#ffffff 맞춤형}}}]]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2367; font-size: .95em" [[시흥 버스 11|{{{#ffffff 11-A(기계유통단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2367; font-size: .95em" [[시흥 버스 11|{{{#ffffff 11-A(배곧호반1차)}}}]]}}}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군자역(수인선), version=23)]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목록)] [[분류:1937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시흥시의 도시철도역]][[분류:수인선의 도시철도역]][[분류:안산선의 도시철도역]][[분류: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분류:수도권 전철 4호선]][[분류:경기도의 환승센터]] [include(틀:포크됨2, title=정왕역, d=2023-01-18 08:38:42)] == 여담 == [[언니는 살아있다]] 27회에서 구회장 민들레가 이별하는 씬에서 이곳이 나온다.[* [[https://www.youtube.com/watch?v=Xb0VYQZZSsE&t=114s]]][* 영상 첫 부분에서 보이는 표지판의 [[과학기술대학교]], 그리고 영상 중 등장하는 [[코레일 341000호대 전동차]]를 보아서는 경기과기대나 서울과기대 인근 역으로 추정되는데, [[서울과기대]] 인근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이 지나지 해당 전동차가 소속되어 있는 [[수도권 전철 4호선]]이 지나지 않고, [[경기과기대]] 인근 [[정왕역]]이 [[수도권 전철 4호선]] 역인 것으로 보아 이곳인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