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정운수}}}'''[br]'''鄭雲樹'''}}}}}}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정운수.jpg|width=100%]]}}} || || '''본관''' ||[[동래 정씨]][* 집의공파(執義公派)-보성공파(寶城公派) 30세 운(雲) 항렬.] || ||<|2> '''출생''' ||[[1903년]] [[5월 27일]] || ||[[경상북도]] [[의성군]] 상천면 오대동[br](현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의성)|금성면]] 제오1리 대추불마을)[* [[동래 정씨]] 집성촌이다.] || ||<|2> '''사망''' ||[[1986년]] [[11월 6일]]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 [[래미안 첼리투스|렉스맨션아파트]] || || '''학력''' ||[[경신고등학교(서울)|경신고등보통학교]] {{{-2 (졸업)}}}[br][[연희전문학교]] {{{-2 (졸업)}}}[br][[평양신학교]] {{{-2 (졸업 / 30회)}}}[br][[프린스턴 대학교|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2 ([[석사]])}}}[br][[뉴욕 대학교|뉴욕 대학교 대학원]] {{{-2 ([[박사]])}}}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303호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편정희]] 전 국회의원의 배우자이다. == 생애 == 정운수는 1903년 5월 27일 경상북도 의성군 상천면 오대동(현 의성군 금성면 제오1리 대추불마을)에서 아버지 정원진(鄭元鎭, 1878. 10. 20 ~ 1962. 1. 17)과 어머니 [[능성 구씨]] 구순기(具順基, 1881. 7. 2 ~ 1956. 2. 14)[* 구인회(具仁會)의 딸이다.] 사이의 4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1912년 가족이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부]]로 이주한 뒤 [[대구제일교회]]에서 설립한 [[대구종로초등학교|대남소학교]]에 입학했다. 1917년 12월 기독교 학교인 [[계성고등학교(대구)|계성학교]]로 진학한 그는 1919년 계성학교 2학년에 재학하던 중 [[3.1 운동]]에 가담했다. 이후 1920년 [[경기도]] [[경성부]] [[연지동(종로구)|연지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지동(종로구)|연지동]])으로 이주한 그는 연동교회에 출석하는 동시에 [[경신고등학교(서울)|경신학교]]에 재학했고, 졸업 후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했다. 1926년 연희전문학교 재학 중 [[6.10 만세 운동]]에 가담했으며, 1929년 3월 연희전문학교 졸업 후 미국에 유학가려 했으나 실패하자 경남 마산교회 소속 [[창신고등학교|호신고등보통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조선어와 영어를 가르쳤다. 이후 평양신학교에 진학해 비교종교학을 전공해 1935년 [[평양신학교]]를 제30회로 졸업하고, 평양신학교 교장 로버트의 추천을 받아 미국으로 유학가서 [[프린스턴 대학교]]에 진학했다. 1937년 프린스턴 대학교를 졸업한 후 석사 학위를 받은 그는 한국인 중심으로 애국단체인 동지회, 교민회를 조직했다. 1941년 12월 7일 [[진주만 공습]]이 발발하면서 [[태평양 전쟁]]이 전개되자, 그는 한인신문인 신한민보에 기고문을 거듭 올렸다. 특히 1942년 [[삼일절]]을 기념하여 워싱턴에서 개최된 전한인대회의 진행사항을 기고하여 미국민들과 항일의식의 공감대를 조성했다. 1942년 3월말부터는 워싱턴에서 구미위원부 [[이승만]]의 보좌관으로 임명되어 활동했다. 정운수는 "구미위원 주보"의 편집 발송을 담당하여 [[임병직]], [[장기영(1903)|장기영]] 등과 같이 근무했다. 1943년 6월 [[미국공군사관학교]](O.C.S) 등에서 훈련을 받고 1944년 1월에 [[미합중국 공군]] 소위로 임관되었으며, 1944년 5월 C.B.I(중국, 버마, 인도)전투구 항공대에 배속되어 일본군과의 전투에 참가했다. 1945년 1월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서 [[중국]] [[운남성]] [[곤명]]에 도착하여 미 제14항공대 소속 특수 중폭격기 대대에 근무하던 중 충칭에 있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과 협의하여 한미 합작 군사훈련을 위한 한국측 잠재세력을 조사 보고하라는 미 육군부 지시를 받았다. 여기서 미합중국 공군 소령 클라이드 비 사전트를 만나게 되었다. 그는 사전트와 함께 임시정부 요인 [[김구]], [[조소앙]], [[엄항섭]], [[신익희]]를 비롯하여 [[지청천]], [[최용덕]], [[김원봉]], [[김규식]] 등과 긴밀한 상의 끝에 [[양쯔강]] 건너 [[한국광복군]] 제1지대와 [[산시성(섬서성)|산시성]] [[시안]]에 있는 광복군 제2지대를 각각 방문하고 정확한 실태를 조사했다. 1945년 5월초에 시안에 도착하니 광복군 제2지대의 본부는 지대장 [[이범석]]과 [[안춘생]], [[노태준]] 등이 부서를 맡아 훈련을 하고 있었다. 미 국방성으로부터 [[미국]] [[OSS]] 산하에 한미합작으로 유격대를 조직하여 훈련 시키라는 지시가 있어, 그는 [[이순용]]과 함께 여기에 참여하여 주로 통신교육을 전담했다. 이후 [[한국광복군]]의 국내진입 작전계획에 참여했으나 조국의 광복으로 이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다. [[8.15 광복]] 후,그는 버드 중령을 단장으로 미군 장교 19명, 이범석, [[김준엽]], [[노능서]] 등 도합 24명으로 구성된 인원과 함께 C-26비행기를 타고 1945년 8월 17일 중국 서안을 떠나서 서울 [[여의도공항|여의도 비행장]] 상공에 도착했다. 그러나 일본군의 위협으로 다시 서안으로 돌아가야 했다. 1947년 미 공군에서의 복무를 끝낸 그는 [[뉴욕 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공부했다. 그러던 중 이승만으로부터 귀국을 종용하는 편지를 받았으나 거절했고, 1949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귀국하여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고향인 경상북도 [[의성군]] 을 선거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권병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2년 [[대한해운공사]] 사장을 맡았고, 1954년 8월 남궁련에게 사장 자리를 물려준 뒤 1957년 미국 펜솔루회사 한국지부에서 근무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경상북도 의성군 갑 선거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민주당(1955년)|민주당]] [[김규만]]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협성고등학교|협성상업고등학교]] 교장에 취임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같은 선거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민주당(1955년)|민주당]] [[오상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8년 남산관광주식회사 이사를 맡았으며, [[YMCA]]에서 청년들에게 영어를 가르쳤다. 이후 1986년 11월 6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 [[래미안 첼리투스|렉스맨션아파트]] 자택에서 [[노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110700239111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6-11-07&officeId=00023&pageNo=11&printNo=20184&publishType=00010|별세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77년 정운수에게 건국포장을 수여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본래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가족묘지에 안장되어 있던 그의 유해를 2006년 9월 21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에 이장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의성군 을) ||<|3> [include(틀:무소속)] || 4,921표 (14.48%) || 낙선 (4위) ||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의성군 갑) || 7,104표 (19.78%) || 낙선 (3위) || ||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의성군 갑) || 5,141표 (13.72%) || 낙선 (5위) || ||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동래 정씨]][[분류:의성군 출신 인물]][[분류:1903년 출생]][[분류:1986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국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분류:경신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분류: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 출신]][[분류:프린스턴 대학교 출신]][[분류:뉴욕 대학교 출신]][[분류:미국의 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