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더그아웃정윤진.jpg|width=100%%]]}}} || ||<-2> '''덕수고등학교 야구부 No.77''' || ||<-2> '''{{{+2 정윤진}}}[br]Jung Yoon-jin''' || ||<|2> '''출생''' ||[[1971년]] [[7월 7일]] ([age(1971-07-07)]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남정초등학교|남정초]] - 덕수중 -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상업고]] - [[서울산업대학교|서울산업대]] - [[한양대학교|한양대]] [[교육대학원]] || || '''포지션''' ||[[내야수]] || || '''투타''' ||[[우투우타]] || || '''소속팀''' ||[[상무 피닉스 야구단]] (1990~1993) || || '''지도자'''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8j7lw8dMb1sqk8veo5_r1_540.png|width=25]] [[덕수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1994~2007) [br]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8j7lw8dMb1sqk8veo5_r1_540.png|width=25]] '''[[덕수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7~)'''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야구 지도자. [[덕수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 선수 경력 == [[서울남정초등학교]] 4학년 부터 야구공을 잡고 부모님께 졸라서 야구를 시작했고 덕수중-[[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에서 선수 생활을 했지만 [[한국프로야구]]팀들에게는 지명을 못 받고 [[국군체육부대]]에서 군복무를 이행하였다. 그러나 전역 후에도 불러주는 팀은 없었고 선수 생활을 정리했다. [[장정석]] 감독의 덕수상고 2년 선배로 절친한 관계다.[[http://www.sportsseoul.com/news/read/689941|인터뷰]] == 지도자 시절 == ===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 코치 시절 === 정기조 당시 덕수상고 감독이 코치로 부르며 1994년부터 코치를 시작했다. 1999년부터 2007년까지는 고교야구의 우승 청부사인 [[최재호(야구감독)|최재호]] 감독을 코치로 보좌했고 최재호 감독이 신일고 감독으로 옮겨가며 덕수고 감독으로 취임하였다.[* 두 감독은 맞대결마다 서로 어려운 경기였다고 회고했고 칭찬하였다.[[https://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208020100030160002076&servicedate=20120802|#]] 두 감독 모두 탄탄한 기본기와 수비, 현란한 주루플레이와 다양한 작전 등을 활용한 [[스몰볼]]을 구사한다.] 선수들과 '''10년간''' 합숙을 하며 자정까지 선수들을 가르쳤다고 한다. 코치 시절의 덕수고 제자로 [[정수근]](두산), [[이용규]](키움), [[최진행]](한화), [[류제국]], [[김유선(야구선수)|김유선]], [[최유건]](이상 LG) 등이 있다. 게다가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을 마치며 선수들에게 공부도 열심히 하라며 충고를 했다고 한다. ===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 감독 시절 === 2007년부터는 감독으로 부임하며 부임 첫 해에는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준우승, 2년차인 2008년에는 ~~ [[성영훈]]의 팔을 갈며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우승, 2009년에도 대통령배 우승을 만들었다.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선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연패를 달성했고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한주성]]의 팔을 갈며~~ 2013년에 우승했고 2016년에 청룡기 우승을 또 달성했다. 2016년과 2017년에는 ~~ [[양창섭]]의 팔을 갈며 ~~ 황금사자기 2연패를 달성했다. 그 후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2020년에 우승을 달성했고, 2021년에는 봉황대기에서 유신고에게 9회초 대역전극을 이뤄내며 승리하여 전국 대회에서 모두 우승을 맛봤다. 2023년에는 9회말 배승수의 끝내기 내야안타에 힘입어 강릉고를 상대로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정상에 올랐다. 정윤진 감독에게는 15번째 우승이다. 15번의 우승내역은 아래와 같다. 2008(2회) : 대통령배, 전국체전 2009(1회) : 대통령배 2010 ~ 2011 : 우승 없음[* 2010년 대통령배에서 준우승, 2011년 대통령배와 황금사자기에서 모두 4강] 2012(1회) : 청룡기 2013(3회) : 청룡기, 황금사자기, 협회장기(이마트배) 2014(1회) : 청룡기 2015 : 우승 없음[* 2015년 대통령배에서 4강] 2016(2회) : 청룡기, 황금사자기 2017(1회) : 황금사자기 2018 : 우승 없음[* 2018년 봉황대기에서 4강] 2019(1회) : 전국체전 2020(1회) : 협회장기(이마트배) 2021(1회) : 봉황대기 2022 : 우승 없음[* 2022년은 덕수고 야구부에게 유독 힘든 한 해 였는데 단 한차례도 4강에 오르지 못했다. 전국대회에서 콜드게임 패를 2번이나 당했고 충암고와의 게임에서 판정시비가 일어나 몰수패를 당했다.[[http://www.umpire.or.kr/?act=board&bbs_code=sub4_2&bbs_mode=view&bbs_seq=18332|#]]] 2023(1회) : 협회장기(이마트배) == 여담 == * 15번 우승을 달성한 명장이지만 비판도 많은 감독 중 한명이다. [[성영훈]], [[한주성]], [[양창섭]], [[전용훈]] 등 상위지명 유망주들을 혹사시키며 우승한다는 비판도 있다. 특히 [[두산 베어스]]의 경우 2022년 시점에서 [[권휘]]를 제외하고 이닝소화가 많았던 덕수고 출신 투수가 죄다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 덕수고 출신 투수는 지명대상에서 제외하자는 소리가 많다. 투구 수 제한이 강화된 뒤로는 예전 만큼 굴리지는 않는 편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펑고정윤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배팅볼정윤진.jpg|width=100%]]}}}|| *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2013|2013 IBAF U-18 야구 월드컵]] 감독으로 선임되었고 펑고와 배팅볼을 직접 던지는 열정을 보여주었다. [[분류:대한민국의 야구감독]][[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71년 출생]][[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덕수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과학기술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한양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