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평산군 출신 인물]][[분류:1891년 출생]][[분류:1966년 사망]][[분류:건국훈장 독립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운동가|{{{#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br] {{{#ffffff '''{{{+1 정의도}}}'''[br]'''丁義道'''}}}}}} || ||<-2> [[파일:정의도.jpg|width=300]] || ||<|2> '''출생''' ||[[1891년]] [[11월 9일]] || ||[[황해도]] [[평산군]] 세곡면 여천리 || ||<|2> '''사망''' ||[[1966년]] [[12월 8일]] || ||[[서울특별시]]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 ||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 생애 == 정의도는 1891년 11월 9일 [[황해도]] [[평산군]] 세곡면 여천리에서 태어났다. 호는 칠성(七星)이다. 그는 1907년 [[평양]](平壤)에 경흥야간학교(慶興夜間學校)를 설립하고 청소년 교육에 전념하였으며, 1909년 11월에는 [[이완용]] 암살계획에 가담하였으나 실패하고 [[이재명(독립운동가)|이재명]] 등과 함께 체포되어 6개월간 수감되었다가 [[불기소처분]]되었다. 재판 기록에 따르면 당시 그의 직업은 인장조각사(印章彫刻士)였다고 한다. 1919년 4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그는 국내외의 통신업무를 관장하고 군자금을 모집하며, 각종 정보의 수집 등을 위해 황해도 [[사리원]](沙里院)과 [[서울]] 사이에 교통국(交通局)을 설치하고, 임시정부의 문서를 배포하고, 공채를 수집하며,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동을 전개하다가 [[일본 경찰]]에 의해 체포되었다. 이후 1921년 5월 1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4년형을 받고 다시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중국]] [[지린성]] 혼춘현에 건너가 항일활동을 계속하였으며, [[8.15 광복]] 후 서울로 귀환해 조용히 지내다 1966년 12월 8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정의도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했다. 그리고 1988년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