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자)] [include(틀:한자문화권의 문자)] [include(틀:대한민국 관련 문서)] [include(틀:대만 관련 문서)] [include(틀:홍콩 관련 문서)] [include(틀:싱가포르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2><:>'''언어별 명칭'''|| ||<:>[[한국어|{{{#373a3c,#ddd '''한국어'''}}}]] || 정자([[正]][[字]]) || ||<:>[[일본어|{{{#373a3c,#ddd '''일본어'''}}}]] || [ruby(旧字体,ruby=きゅうじたい)] || ||<:>[[중국어|{{{#373a3c,#ddd '''간체 중국어'''}}}]] || [ruby(繁体字,ruby=fántǐzì)] || ||<:>[[중국어|{{{#373a3c,#ddd '''정체 중국어'''}}}]] || [ruby(正體字,ruby=ㄓㄥˋ ㄊㄧˇ ㄗˋ)] || ||<:>[[영어|{{{#373a3c,#ddd '''영어'''}}}]] ||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 '''정자'''는 [[약자(한자)|약자]]에 대비되어 예부터 쓰여왔던 [[한자]] 자형을 일컫는다. [[대한민국]], [[대만]], [[홍콩]], [[마카오]] 및 [[화교]] 사회에서 표준으로 쓰이는 [[한자]]의 형태이기도 하다.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는 공식적으로는 [[간체자]]를 쓰지만 [[화교]] 사회는 대체로 정자를 혼용한다. 특히 말레이시아 출간 중국어 신문은 '제목은 정체자, 본문은 간체자'가 꽤 흔하다. [[http://www.southern.edu.my/pages/TanLiangSoong/images/newspaper/6-5-2014%20%E6%98%9F%E6%B4%B2%E6%97%A5%E6%8A%A5%201.jpg|#]] == 명칭 == 각국마다 이를 이르는 명칭이 다르다. * [[대한민국]] 한국은 국가가 주도하여 한자를 간략화한 사례가 없어서 한국에서 쓰이는 전통적인 형태의 한자를 따로 지칭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굳이 쓰이는 말이 있다면 '정자'(正字)가 있는데, 민간 영역에서 쓰여 왔던 한자 간략화 형태인 [[약자(한자)|약자]](略字)와 대비되어 쓰이는 말이다. 교육과정에서 한자/한문 교과목의 기준이 되는 자형이다. 후술했듯이 '번체자'는 [[중국]]의 관점에서 간체자를 상대하는 용어라는 까닭에서 [[대만]], [[싱가포르]]를 포함한 한국에서는 '번체자'라고 칭하는 경우는 드물고, 이 '정자/정체자'를 의식해서 사용한다. * [[중국]] '번체자(繁体字)'라 한다. 이는 1956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한자를 간략화한 [[간체자]]를 제정하고 1964년에 이를 확정한 이후 이 간체자와 비교하여 번잡하다는 의미에서 붙은 이름이다. [[홍콩]], [[마카오]]에서도 공식적으로는 이 용어(繁體字/繁体字)를 사용한다. * [[일본]] '구자체'(旧字体)라 한다. 이는 1949년 일본정부가 한자를 간략화한 [[신자체]]를 제정한 이후, 이 신자체와 비교하여 옛날에 쓰였던 자형이라는 의미에서 붙은 이름이다. * [[대만]] '정체자'(正體字)라고 한다. 간체자에 대해 올바로 쓴 글자라는 의미이다. 대만은 중국 본토와 오랫동안 사상이념 대립을 해왔고, 전통에 큰 가치를 두지 않던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항해, 스스로를 [[중국 대륙]]의 정통 국가라 주장하며 중국 전통 문화를 오랫동안 국가적으로 숭상해왔는데, 그 관념이 담겨저 있는 용어이다.[* 다만 중화민국도 [[중화민국/국민정부|대륙 시절]]엔 한자 간략화사업을 추진했으나, [[국부천대]] 이후 백지화되었다.] * [[홍콩]]과 [[마카오]] [[홍콩]]이나 [[마카오]]에서도 민간영역을 중심으로 이 용어를 많이 쓴다. 홍콩과 마카오의 모든 웹사이트 상 언어 선택 옵션에는 繁 또는 繁體中文으로 표기된다. 번체자(繁體字)라는 말에는 부정적인 의미가 들어있기 때문에 간혹 대만이나 홍콩, 마카오에서는 '번체자'라는 용어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도 좀 있다. * [[싱가포르]] [[싱가포르]]에서는 [[간체자]]와 정체자가 혼용되며, 번체자라는 단어보다는 정체자라는 단어를 훨씬 많이 쓴다. * 기타 문화권 영어에서는 정자를 전통한자라는 뜻의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라고 하며, 다른 문화권에서도 대부분 '전통한자'에 해당하는 번역어를 쓴다. == 신자체/간체자와 다른 것 == ||{{{+1 정자: '''戶'''}}} {{{+1 신자체: '''戸'''}}} {{{+1 간체자/홍콩 정자: '''户'''}}}|| 같은 집 호(戶)란 한자를 정자와 신자체 그리고 간체자로 쓴 것이다. ||{{{+1 정자: '''圖'''}}} {{{+1 신자체: '''図'''}}} {{{+1 간체자: '''图'''}}}|| ||{{{+1 정자: '''澤'''}}} {{{+1 신자체: '''沢'''}}} {{{+1 간체자: '''泽'''}}}|| ||{{{+1 정자: '''廣'''}}} {{{+1 신자체: '''広'''}}} {{{+1 간체자: '''广'''}}}|| 마찬가지로 그림 도(圖), 못 택(澤), 넓을 광(廣)이라는 한자를 정자, 신자체, 간제자로 표기한 것이다. 보다 보면 확실한 차이를 알 수 있다. 이 글자를 사용하여 쓰인 글 등을 말할 때는 정자, 간체자, 신자체 등으로 부른다. 정자와 간체자, 신자체는 눈에 띌 만큼 차이가 나며, 정자는 간체자와 신자체에 비하여 입이 딱 벌어질 만큼 획수가 많은 한자들이 많다. 눈썰미가 있기만 하다면, 정자인지 간체자인지, 즉 [[한국]] 것인지, [[중국]] 것인지, [[일본]]의 것인지 구별할 수 있다. 실제로 [[대만]]이나 [[홍콩]], [[싱가포르]]에서 출판된 책을 들여다보면 확실히 획수가 많은 한자가 빽빽한 책을 볼 수가 있다. == 중국 대륙인·일본인의 정체자(번체자, 구자체) 독해력 == === 중국인 === [youtube(JuGRZn3d-Ak)] [[중국|중국 대륙]]의 경우 개인차가 있겠지만 대부분 '''읽을 수는 있고, 손으로 쓰지는 못한다'''에 해당한다고 보면 된다. 실제로 인터넷에서는 [[중국인|중국 대륙인]]과 [[대만인]]이 각자 간체와 정체를 써가면서 채팅하는 것도 볼 수 있다. 중국에서도 노래방 가면 가사가 정체[* 이는 [[일본]]의 [[가라오케]]를 [[대만]]을 거쳐서 수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로 나오며 공익광고나 간판, 기업명칭의 로고 등에서도 멋내기 위한 용도로서 정체가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중국 항공사인 [[중국동방항공]]의 로고는 정체자이며 상당 수의 중국 명문대학도 정체자 로고를 사용한다. [[칭화대학]], [[베이징대학]]을 포함한 [[구교연맹]]의 모든 대학이 대학교 로고 + 대학교 홈페이지 좌상단의 대학 명칭을 정체자로 표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만인]], [[홍콩인]], [[마카오인]],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비교적 간체자를 쉽게 배울 수 있고, [[중국인|중국 대륙인]]들도 정체자를 대체로 읽을 수 있다. 그냥 떠듬떠듬 읽을 수 있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즉각적으로 변환이 된다는 뜻이다. 그도 그럴 것이 완전히 달라진 것이 아닌, 전체 중에 1/3 정도의 한자만 바뀐 거고, 그 바뀐 한자도 대부분은 그 나름의 규칙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환된 것이라서(예: 訁→讠) 누구라도 조금만 연습하면 정체자를 쉽게 읽을 수 있다. 또한 중국 대륙에서 공식적으로 간체자를 쓰고있고 실제로도 글을 필기할때 대부분 간체자로 쓰기는 하나, 좀 오래된 사찰이나 유물, 문헌들만 봐도 대부분의 글이 정체자로 쓰여 있으며, 인터넷의 발달로 간체자와 정체자 간의 상호 접촉 및 변환이 굉장히 쉬워졌기 때문에 사실상 중국인들에게는 간체자와 정체자에 대한 지식이 모두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다만 필기를 하려면 별도의 학습이 요구된다. [[중국어 위키백과]]에는 간체/정체 자동 변환 도구가 내장되어 있다. 위에서 언급한 용어 차이도 변환 도구를 적용하면 자동으로 변환해준다. 이 도구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의 raw 텍스트를 보면, 편집자의 국적에 따라 서로 종류가 한자들이 뒤섞인 혼란스러운 문서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익숙해지면 한쪽으로 변환하지 않고도 문서가 자연스럽게 읽힌다. [[파일:attachment/87696856155.jpg|width=600]] [[중국 만화]] 《[[옆집네는 만화 그리는 아요]]》의 한 장면. 우측 세번째 칸 왼쪽 말풍선이 정체로 되어있다. 간체자를 쓰는 중국 대륙보다 정체자를 쓰는 [[중화민국]]이 [[표현의 자유]]가 더 크다 보니깐, [[오타쿠]] 농도가 짙다는 의미다. 참고로 이 페이지의 번역본은 여기에 있다.[[:파일:87696856155-38.png|#]] [[중국]]의 학교에서 번체자를 가르칠 때는, 한국에서 이두와 향찰에 대해 간략히 가르치듯, 수박 겉 핥기식 교육이 이뤄질 뿐이지만 미디어로 정체를 익히는 대륙인들도 있다. 홍콩과 대만의 TV 프로그램들과 영화들이 정체로 자막이 나오는데다가 대만의 [[서브컬처]]는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유명한 일본 출판사들은 대만에 지사를 두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중국어]] [[정식발매]]본이나 [[해적]] 판본, [[자막]] 등도 대부분 중국이 아닌 대만에서 나온다. 이러한 이유로 중국인들이 덕질을 하기 위해선 대만 측 정보에 많이 의지할 수밖에 없는데, 이 과정에서 정체자를 익히게 되는 것이다. === 일본인 === 신자체를 쓰는 일본인들도 마찬가지로, 일부러 쓸 필요가 많지 않아서 손으로 쓰는 건 어렵지만, 고유명사나 인명에서 구자체를 고수하는 경우가 있어, 중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진 일본인들이라면 구자체를 읽을 수는 있다. 예로, [[노기자카46]]의 구성원 중 하나인 [[사이토 아스카]]('''齋'''藤 飛鳥)에 구자체가 쓰였고, 〈[[너의 이름은.]]〉의 [[타치바나 타키]](立花 '''瀧''')에도 구자체가 쓰였다. 그리고 노기자카46의 구성원 중 하나인 [[요다 유우키]](与田 '''祐希''')처럼 성씨는 신자체이고 이름을 구자체를 쓰는 케이스도 있다.[* 이외에도 구자체식의 이름을 가진 실존인물은 일본에도 많다. 특이한 것은 같은 한자인데도 누구는 구자체로, 누구는 신자체로 이름을 쓰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전 야구선수 [[사이토 유키]]('''斎'''藤佑樹)는 [[사이토 아스카]]와 같은 한자지만 신자체를 사용한다. 또 다른 케이스로 前 [[일본국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 [[하시모토 류타로]](橋本'''龍'''太郎), 야구선수인 [[타무라 타츠히로]](田村'''龍'''弘)와 [[Travis Japan]] 멤버 [[시메카케 류야]](七五三掛'''龍'''也)는 구자체 龍를 쓰지만, 전 야구선수 [[히지이 류조]](肘井'''竜'''蔵)는 신자체인 竜를 쓴다.] 그리고 사쿠라자카46 구성원인 우에무라 리나('''上村莉菜''')처럼 구자체로만 이루어진 이름도 있다. 단, 학생들이라면 구자체의 뜻을 겨우 유추하는 선에서 머무르거나, 아예 읽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고전을 읽거나 고유명사를 접하고 찾아볼 일이 많지 않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이를 역이용해 구자체를 써서 [[낯설게 하기]] 효과를 노리는 창작물도 많다. == [[정자(한자)/각국의 표준자형|각국의 표준자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자(한자)/각국의 표준자형)] 전통적인 자형을 고수한다고는 하나 국가마다 표준자형이 다르다. 이는 한자에 이체자가 많고 각 나라, 지역마다 선호하는 자형이 다르기 때문이다. 아래는 [[한국]]과 [[대만]]에서 쓰는 대표적인 한자 모양의 비교이다. 왼쪽이 한국, 오른쪽이 대만이다.[* 순서대로 '낳을 산:', '밥 반', '무리 중:', '느낄 감:', '푸를 청', '절 사', '기를 육', '집 가', '가르칠 교:', '보낼 송:', '싸움 투', '실 사', '하/할 위(:)', '풍년 풍', '능할 능', '버금 차'자다.] [[파일:koreataiwanhanzi.png]] [[간체자]]가 표준인 [[중국]]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에서도 필요에 따라 정체자를 쓰기 때문에 번체자에 대한 표준자형을 지정해 놓았는데, 이 역시 한국이나 대만, [[홍콩]] 등에서 쓰이는 것과는 약간 다른 한자들이 몇 개 있다. 이런 자형차이를 잘 정리해 둔 사이트로 [[http://ko.glyphwiki.org/|글리프위키]]가 있다. == 여담 == [[대만]]이나 [[홍콩]], [[싱가포르]] 등 [[중국|중국 대륙]]의 공산당 독재정치체제에 대한 반감이 큰 지역에서는 정체자를 대륙의 간체자와 대비하여 자신들의 정체성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으며, 대륙보다 평균적으로 잘 사는 것이 반영돼서인지 정체자에 우월감을 느끼기도 한다. [[홍콩]]에서는 [[중국인|중국 대륙인]]을 위한 '국어' 즉 [[표준중국어]] 채널이 [[간체자]]로 변환될 때 홍콩인들이 반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표준중국어 교육을 번체자에서 간체자로 바꾸려고 들어서 반발이 크다. [[친중파(홍콩)|친중파]] 홍콩 정치인들조차 비판할 정도라 제대로 될지는 미지수. 이미 [[표준중국어]] 교육을 간체자로 하는 마카오와는 달리, 홍콩은 반발이 심해서 사실상 없던 일이 되었다.[[http://blog.naver.com/sujipsujip/220628212997|#]] [[대만]] 역시 대륙에서 온 관광객이나 체류자가 많아지면서 간체자가 퍼져 대만인들이 항의하기도 한다. 일단 [[중화민국]]이 정식 국호인데다 [[문화대혁명]]으로부터 [[중국/문화|전통 문화]]를 지켰다는 자부심이 강하기도 하고 같은 [[표준중국어]]를 쓰다보니 더 간절한 측면도 있다. 간체자를 표준으로 정한 [[싱가포르]]에서도 간체자에 대한 인식이 좋은 것만은 아닌데 일단 공식 문자라서 그대로 쓰기는 하는데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정체자를 쓰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중국|중화인민공화국]]보다 [[중화민국]]에 우호적인 성향, [[중국]]과의 [[중국-싱가포르 관계|적대 관계]]로 인해 정체자를 선호하는 것도 있다.[[https://www.facebook.com/groups/1925801321063530/|#]] 중국계 이민자가 많아서 중국어 사용인구가 많은 [[샌프란시스코]]나 [[밴쿠버]] 등의 안내판 등지에서는 정체자를 사용한다. 당장 [[중화민국]] 본적의 [[화교/대한민국|화교]]가 있는 [[대한민국|한국]] 내 [[차이나타운]]에서도 [[간체자]]를 찾는 것이 매우 힘들다. 대한민국 내 대학교의 [[중어중문학과]]는 간체자로 [[표준중국어]]를 교육한다. 그래서 자기 전공 과목에서 정체자를 배우려면, 고전문학 등 간체자가 생기기 전의 작품을 다루는 과목을 듣거나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의 작품에 대해 공부해야만 한다.[* [[HSK]] 대신 [[화어문능력시험|TOCFL]]을 응시해도 된다.] [[분류: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