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초계 정씨]][[분류:북구(포항) 출신 인물]][[분류:1898년 출생]][[분류:1971년 사망]][[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운동가|{{{#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br] {{{#ffffff '''{{{+1 정재선}}}'''[br]'''鄭在先, 鄭再先'''}}}}}} || ||<-2> [[파일:정재선2.jpg|width=300]] || ||<|2> '''출생''' ||[[1898년]] [[4월 29일]] || ||[[경상북도]] 청하군 현내면 미남리[br](현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청하면]] 미남리)[* [[초계 정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정기복]]·[[정백용]]도 이 마을 출신이다.] || ||<|2> '''사망''' ||[[1971년]] [[4월 26일]] || ||[[경상북도]] [[포항시]] || || '''본관''' ||[[초계 정씨]] || || '''상훈''' ||대통령표창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2004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정재선은 1898년 4월 29일 경상북도 청하군 현내면(현 포항시 북구 청하면) 미남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18일경, 경북 영일군 송라면 대전리 교회의 윤영복(尹永福)은 신문을 통해 전국 각지에서 만세운동이 전개되는 사실을 알고 청하면 덕성리 교회의 [[오용간]]과 만나 논의한 끝에 3월 22일 덕성리 장날을 이용하여 만세운동을 벌이기로 결의하였다. 3월 22일 오후 1시경, 윤영복과 오용간 등은 장터로 나아가 시위군중을 주도하여 태극기를 흔들며 독립만세를 소리 높여 외쳤다. 이 때 정재선은 시위대에 참여하여 군중들과 함께 독립만세를 부르며 장터를 행진하다가 일경에 체포되어 1919년 4월 28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포항에서 조용히 지내다 1971년 4월 26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4년 정재선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그리고 2017년 [[국립서울현충원]]에 그를 기리는 위패를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