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희왕 OCG]]의 일반 함정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card7371531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정전 협정, 일어판명칭=停戰協定(ていせんきょうてい), 영어판명칭=Ceasefire, 효과1=①: 필드에 효과 몬스터 또는 뒷면 수비 표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뒷면 수비 표시 몬스터를 전부 앞면 수비 표시로 한다. 이때\, 리버스 몬스터의 효과는 발동하지 않는다. 필드의 효과 몬스터의 수 × 5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대미지도 주면서 덤으로 상대의 리버스를 무력화시켜 요즘 기준으로도 강력한 카드. 필드의 모든 효과 몬스터를 세기 때문에 최대 6000이나 되는 대미지를 줄 수 있다. 당시 강력한 효과로 2001년 1월 15일에 제한 카드가 됐다. 비슷한 카드로 [[자업자득(유희왕)|자업자득]]이 있는데 그쪽은 상대 필드의 몬스터만 카운팅하는 반면, 이쪽은 필드 전체의 몬스터를 카운팅한다. 현 환경에서 일반 몬스터를 덱에 넣는 경우가 많지 않은 데다 리버스 박살이란 추가 효과까지 있어서 사실상 정전 협정의 하위호환이다. [[소울 차지]]를 발동해 5000 LP를 상실하고 몬스터 5장을 불러와 압도적인 어드밴티지를 취하는 전략을 쓸 경우 가장 상쾌한 해법이다. 기본적으로 5장이 나오니 2500 데미지가 베이스로 들어가고, 이쪽 필드에도 몬스터가 있으면 그걸로 게임이 끝나기 때문. 소울 차지를 발동한 턴엔 배틀 페이즈를 실행할 수 없으니 상대가 정전 협정을 막을 대책을 준비하지 않았다면 다음 턴에 몬스터를 소환하고 발동해 3000 데미지를 먹여주면 된다. 점점 험악해지는 유희왕 환경에서 번 데미지 카드는 갈수록 보기 드물지만 오히려 소울 차지라는 범용성이 수준급인 카드 덕에 정말 의외의 조커가 된 셈. 카드명과는 달리 공격 제한 효과 같은 건 없다. [[강인한 파수병]]이 끼어들면 [[강인한 안전 협정]]이 된다. 듀얼 환경의 가속으로 함정 카드가 점차 도태되면서 TCG에선 2014년 10월에 준제한, 2018년 2월 5일에 무제한이 됐다. OCG에선 2019년 1월에 준제한, 2019년 7월에 무제한이 됐다. == 관련 카드 == === 생명력 흡수 마술 === [[파일:TheSpellAbsorbingLife-EE1-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생명력 흡수 마술, 일어판명칭=生命力吸収魔術(せいめいりょくきゅうしゅうまじゅつ), 영어판명칭=The Spell Absorbing Life, 효과1=필드 위의 모든 뒷면 수비 표시 몬스터를 앞면 표시로 한다. 이 때\, 리버스 효과 몬스터의 효과는 발동하지 않는다. 자신은 필드 위의 효과 몬스터 1장당 400 라이프 포인트를 회복한다.)] 한번에 많은 데미지를 줄 수 있는 정전 협정에 비해 영 구미가 안 당기는 카드. LP를 회복하는 효과가 별 대접을 못 받는 것은 그렇다 치더라도 회복량도 1장당 400으로 정전 협정에 비해 약화됐다. 또 정작 몬스터가 많은 상황에선 도움이 안 되는 것도 상당히 뼈아프다. 정전 협정은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꽉꽉 들어차 있는 상황에서 역으로 큰 데미지를 입혀 돌파구가 되어줄 역량이라도 있지만, 장당 400 LP 회복으로는 죽도 밥도 안 되니 같은 상황에서도 이렇다 할 쓰임새가 없다. === [[강인한 안전 협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