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준혁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8번}}}''' || || [[김준태(야구선수)|김준태]][br](2012) || {{{+1 →}}} || '''{{{#fff 정준혁[br](2013~2015)}}}''' || {{{+1 →}}} || [[임지유]][br](2016) || || [[조홍석]][br](2017.7.20.~2017) || {{{+1 →}}} || '''{{{#fff 정준혁[br](2018~2019)}}}''' || {{{+1 →}}} || [[댄 스트레일리|스트레일리]][br](2020~2021)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롯데 정준혁.jpg|width=100%]]}}} || ||<-2> '''{{{+2 정준혁}}}[br]Jung Joon-Hyuk''' || ||<|2> '''출생''' ||[[1994년]] [[4월 1일]] ([age(1994-04-01)]세)|| ||[[경상남도]] [[김해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양정초등학교(부산)|양정초]][* 김해삼성초에서 전학.] - [[부산개성중학교|개성중]]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 || '''신체''' ||181cm, 93kg|| || '''포지션''' ||[[외야수]], [[1루수]]|| || '''투타''' ||[[좌투좌타]]||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3년/신인드래프트#s-3|2013년 10라운드]] (전체 88번, [[롯데 자이언츠|롯데]])|| ||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2013~2019)||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롯데 자이언츠]] 소속 [[외야수]]. == 선수 경력 == === [[롯데 자이언츠]] 시절 === ==== 2013 ~ 2018시즌 ==== [[한국프로야구/2013년/신인드래프트|2013년 신인드래프트]]에서 2차 10라운드로 [[롯데 자이언츠]]에 지명받아 입단했다. 등번호는 58번. 입단 이후 이렇다할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며 2군에서 백업 외야수로 간간이 출전[* 2013년 13경기 - 2014년 2경기 - 2015년 20경기]하였다. 2016시즌 군 입대하여 2018시즌 전역하였다. 등번호는 입대 전 사용하던 58번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었다. 2018시즌 퓨처스리그에서 주전 외야수로 출전하기 시작했고 이후 평범한 성적[* 31경기 78타석 74타수 22안타 3홈런 10타점 9득점 1도루 타출장 .297/.333/.473]로 시즌을 마무리하였다. ==== 2019시즌 ==== 2019시즌 스프링 캠프 외야수 명단에 이름을 올리자 롯데 팬들의 주목을 받고있다.[* 작년 2군에서 코너 외야수인걸 감안하면 평범한 성적을 기록하였지만 장타력에 강점이 있었고 결정적으로 팀 내에 좌타 외야수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보인다.] 대다수의 롯데 팬들은 '정준혁이 누구야?' 라는 반응[* [[한국프로야구/2013년/신인드래프트|2013년 신인드래프트]] 10라운드에 지명되었는데 7년전으로 시간이 꽤 흐른데다가 하위 라운더라 당시에도 주목받지못했고 대부분의 10라운더들이 성과를 내지 못하면 길어봐야 2년만에 팀에서 방출된다는 걸 감안하면 인지도가 낮은게 당연하다. 그렇다고 2군에서 주전 외야수로 활약했다면 모를까, 2018시즌 전에는 2군에서조차 간간이 출전한 수준이었는데 아는 팬이 있는게 더 신기하다.]을 보이며 10라운더의 기적을 기대하고있다. 스프링캠프에 외야수 명단에 이름을 올렸지만 [[https://m.youtube.com/watch?v=fh0UmymMXh4&pp=ygUR66Gv642wIOygleykgO2YgSA%3D|1루 수비를 훈련하는 모습]]이 구단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영상으로 올라왔다. 주전 1루수인 [[채태인]]의 나이가 그리 적지 않고 [[이재욱(1994)|이재욱]], [[최승훈(야구선수)|최승훈]] 등 다른 젊은 1루수 자원들의 성장세가 더디단 점에서 구단에서 차기 주전 1루수 후보로도 보고있는 듯하다. 시범경기에 꾸준히 출전하였으나 눈에 띄는 모습 없이 2군에서 시즌을 시작하게되었다. 6월 15일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7회말 [[배성근]]의 타석에 대타로 출전하여 데뷔 첫 타석을 가졌고 곧바로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551629&redirect=true|'''적시타를 때려 데뷔 첫 안타와 동시에 데뷔 첫 타점을 기록하였다.''']] 경기가 끝난 후 진행된 [[https://youtu.be/OhCYQzbtctI|숨은 거인 인터뷰]]에선 긴장되는 마음으로 타석에 들어섰지만 초구를 본 후에는 한결 가벼워진 마음으로 타석에 임했는데 안타가 되어 기분이 좋았으며 자신을 뒷바라지 해준 부모님이 먼저 생각났다고 한다. 9월 29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5번 타자 좌익수로 선발 출전하여 3타수 1안타 1득점을 기록했다. 10윌 31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경기[* 정규시즌 마지막 경기이자 홈경기이다.]에서 8회말 대타로 나와 안타를 기록했다. 그러나 후속타의 불발로 득점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2군에서 주전 외야수로 출전하며 작년보다 더 많은 기회를 받았지만 컨택과 선구안에서 약점을 노출하였고[* 76겅기 264타석 242타수 57안타 9홈런 38타점 26득점 2도루 18볼넷 '''80삼진''' 타출장 .236/.288/.397로 2할 초반대의 저조한 타율을 기록하였고 무엇보다 볼넷 18개를 얻어내는 동안 삼진 80개를 당하며 극악의 선구안을 보여주었다.] 결국 시즌 종료 후 방출되었다.[* 다만 2할 초반대의 타율을 기록한 것과 달리 홈런 9개(남부리그 홈런 2위)를 치며 장타력에 강점이 있다는 걸 보여주었기에 외야 자원이 부족한 팀에서 영입할 가능성도 있었으나 결국 새 팀을 구하지 못하고 은퇴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8> {{{#fff 역대 기록}}} || || 연도 || 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 2013 ||<|5> [[롯데 자이언츠|롯데]] ||<|3><-16> 1군 기록 없음 || || 2014 |||| || 2015 |||| || 2016 ||<|2><-16> 군 복무 || || 2017 |||| || 연도 || 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 2018 ||<|2> [[롯데 자이언츠|롯데]] ||<-16> 1군 기록 없음 || || 2019 || 6 || 11 || .273 || 3 || 0 || 0 || 0 || 1 || 1 || 0 || 0 || 6 || .273 || .273 || ||<-2> '''[[KBO 리그|KBO]] 통산'''[br](1시즌) || 6 || 11 || .273 || 3 || 0 || 0 || 0 || 1 || 1 || 0 || 0 || 6 || .273 || .273 || == 방출 이후 ==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giants_new2&no=3097694|지금은 김해 유소년 야구단인 Dr.K 베이스볼에서 지도자로 일하고 있다고 한다.]] [[https://record.yaguin.com/lesson_detail_youth.php?lf_sq=254|#]] == 여담 == * 선수 생활 동안 등번호를 58번만 달았다.[* 이후 [[댄 스트레일리]]가 [[롯데 자이언츠|롯데]]에서 뛰는 동안 등번호 58번을 달았다.] * 선수 본인의 SNS에 올라온 사진들을 보면 [[반려견]]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거의 최하위인 10라운드에 지명받았음에도 7년이나 선수 생활을 하였다. 선술했듯 2019시즌 스프링캠프 명단에 오르기 전까지는 거의 무명이었고 2군에서조차 이렇다할 성적을 못낸 선수인데다 대부분의 하위라운더 선수들이 길어봐야 2년만에 방출된다는걸 생각하면 선수 생활을 꽤 오래 한 셈이다. 현장과 프런트가 파위 포텐을 높게 평가했거나 워크에씩이 뛰어났던 걸로 보인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4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2019년 은퇴]][[분류:김해시 출신 인물]][[분류:부산고등학교 출신]][[분류:외야수]][[분류:좌투좌타]][[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