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사회주의 독립운동가]][[분류:장흥군 출신 인물]][[분류:1909년 출생]][[분류:1945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운동가|{{{#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br] {{{#ffffff '''{{{+1 정진수}}}'''[br]丁瑨壽'''}}}}}} || ||<|2> '''출생''' ||[[1909년]] [[12월 2일]] || ||[[전라남도]] [[장흥군]] 남면 인암리 || ||<|2> '''사망''' ||[[1945년]] [[5월 24일]] || ||[[전라남도]] [[장흥군]]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정진수는 1909년 12월 2일 전라남도 장흥군 남면 인암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33년 전남운동협의회全南運動協議會)에 가입하여 항일독립운동을 폈다. 전남운동협의회는 해남의 김홍배(金洪培)·[[오문현(독립운동가)|오문현]]과 완도의 황동윤(黃同允)이 중심이 되어 1933년 5월 14일 해남군 북평면 성도암(成道庵)에서 조직된 사회주의 비밀결사였다. 동회는 전남지역의 농민·어민·인텔리·노동자를 포함한 사회주의 운동의 통일적 지도기관을 목적으로 사무부(事務部)·조직부(組織部)·조사부(調査部)·구원부(救援部)의 조직을 갖추고 기관지로서 ≪농민투쟁(農民鬪爭)≫을 발간하였다. 그는 유재성(劉載星)·[[위종관]] 등 10여명의 동지와 함께 장흥지방의 조직확대와 동지규합에 힘써 1934년 1월 유재덕(劉載德)·이영대(李永大)등을 규합하여 청년반을 조직하고 활동하던 중 동년 2월 중순 일경에 붙잡혔다. 이일로 인하여 1937년 7월 19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2년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장흥군에서 조용히 지내다 1945년 5월 24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3년 정진수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