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정철연}}}[br]Jeong Chulye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스크린샷 2020-07-13 오전 1.47.10.png|width=100%]]}}} || ||<|2> '''출생''' ||[[1979년]] [[6월 26일]] ([age(1979-06-26)]세)|| ||[[서울특별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신체''' ||180cm|| ||<|2> '''가족''' ||[[부모|부모님]]|| ||배우자 김선영^^(1976년생)^^, 슬하 2남|| || '''학력''' ||[[대구가톨릭대학교]] {{{-2 (시각디자인학 / 중퇴)}}}|| || '''링크''' ||[[http://blog.naver.com/majosady|[[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2]]]] [[https://www.instagram.com/papa_maj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만화가]], [[디자이너]]. == 생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크린샷 2020-07-13 오전 1.56.53.png|width=100%]]}}} || || '''{{{#FFFFFF 아내 김선영과 장남 깨비}}}''' || 작가 겸 마조웍스 소속의 캐릭터 디자이너 겸 저작권료 받는 작사가로[* [[마조앤새디]] [[11월 23일]] 에피소드 참조. 예전에 그가 그린 마조앤새디 에피소드에 수록한 노래가 실제로 OST로 출시되었다.]로, [[마린블루스]]로 유명하며, 지금은 [[마조앤새디]]를 연재하고 있다. [[1979년]] [[6월 26일]] [[서울특별시|서울]]에서 태어났으며 10살 때 [[경상북도]] [[포항시|포항]]으로 이사하게 되었다가 당시 포항 앞바다를 통해서 [[마린블루스]]의 원천격인 [[바다]]를 만나게 되면서 이때를 계기로 [[마린블루스]]의 원안을 떠올리게 되었다는 일담이 있었다. [[1998년]]에 [[대구가톨릭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를 다니다 1년만에 중퇴한 뒤 군 생활을 거쳐 [[2001년]]에 상경하여 [[취업]]을 위한 [[포트폴리오]] 용으로 [[마린블루스]]의 연재를 시작. 이후 마블이 대박을 치게 되며 대한민국 1세대 웹툰의 본좌급으로 불리게 된다. 다들 간과하고 있는데, 그의 첫 연재 시기는 역시 1세대 웹툰 작가라 불리는 [[강풀]]보다 약 2년 가량 빠르며, 그는 한국 웹툰의 개척자, 창시자로써 또 캐릭터 산업의 디딤돌로써 알게 모르게 우리나라 문화 산업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데포르메]]된 캐릭터와 단순한 배경, 호흡이 짧은 에피소드 중심의 연재, [[패러디]]와 [[섹드립]] 등 '''흔히 '일상툰' 하면 생각나는 형식의 전형을 만들어낸 작가 중 하나'''. 사실 본인은 웹툰 작가보다 [[디자이너]]로써 일하고 싶었기에[* 그와 비슷한 경로를 탄 작가로는 [[윤서인]]이 있는데, 현역 작가 시절에는 '웹툰 작가'라는 직업적 개념이 없어서 이런 현상이 비일비재했다.][* 그래서인지 웹툰 작가들과의 인맥도 두드러지지 않는 편. 연재처 역시 [[네이버 웹툰]]이나 [[다음 웹툰]]이 아닌 홈페이지(마린블루스), [[인텔]] [[페이스북]](마조 앤 새디). 다만 마블 연재 중단의 속사정을 알려준 [[주호민]]이나, 베이비페어에서 만난 [[강풀]], 직장 동료였던 [[김용키]] 등 아예 없는 건 아니다.] [[취업]]을 하며 캐릭터 [[판권]]을 킴스 라이센싱에 넘기게 된다. 이후 여러 사정으로 회사를 그만두며 저작권 문제로 마블은 더 이상 연재하지 못하게 된다. 정철연은 이후 [[2008년]] [[9월 30일]]에 [[다음 웹툰]]...아니 PC에서 [[http://pc.daum.net/festival/catoon.jsp|P씨 이야기]] 연재를 시작했다. 덕력이 더 늘어난 느낌이다. 이것도 [[2010년]] [[1월 5일]]에 연재를 종료했고, 같은 해 [[2월 3일]]에 월페이퍼 2개를 올리고 다음 PC 연재를 마무리 한다. [[http://pc.daum.net/festival/festival_cartoon_view.jsp?id=160&mypage2=11|2009년 1월 13일에 올라온 이 편]]은 아마 정철연의 새 자화상(?)인 마조의 첫 등장이 아닐까 싶다. [[2010년]] [[3월 4일]]부터, [[http://intelpc.shopping.naver.com/|인텔 & PC]]에 [[마조앤새디]]라는 좀 위험한 제목의 만화를 연재했다. 캐릭터는 바뀌었고 별 언급은 없지만 정철연씨 부부 본인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는 듯 하다. 이것으로 볼 때 현재 새디가 집안을 먹여살리고 있다는 추측이 가능하다. 정기적으로 월급을 벌어오는 건 아내인 새디고, 남편인 마조는 살림을 하면서 [[프리랜서]] 작업으로 부수입을 벌고 있는 듯. 그러나 [[2011년]] [[11월]] 킴스라이센싱의 디자인팀이 사라지게 되면서 팀장인 새디도 자연스럽게 실직이 확정되었다. 정철연이 일하고 있던 회사인 킴스라이센싱의 결산보고서에 따르면 [[2003년]] 30억원 가량을 정점으로 하여 지속적으로 매출규모가 하락하고 있다. [[2006년]] 규모는 약 10억원.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모두 [[적자]]. 디자인팀 폐쇄도 이런 흐름과 무관하지 않을 듯. 아무튼 위의 몇 가지 정황을 봐서 정철연은 지금 인텔과 협업 중인 것으로 보인다. 이후 [[마조앤새디]]가 인기를 얻으면서 부인이 직접 '마조웍스(MAJO Works)'라는 캐릭터상품 기획사를 설립하고 직접 사장이 [[http://blog.naver.com/majosady/30140163473|되었다.]] 사장 새디양과 팀장 1명, 그리고 소속 작가 2명(남편 정철연 작가 포함)으로 구성된 회사는 벌써 [[일본]]에 마조&새디 캐릭터 진출 계약을 맺고 가을에 1000여개의 브랜드 매장에 [[콜라보레이션]] 상품을 출시 계획을 하는 등 공격적인 사업전략을 펼치고 있다. 마조웍스 역시 캐릭터 사업이 주력인 [[http://blog.naver.com/majosady/30156824512|듯하다.]] 독자들의 의견은 비교적 호의적인 편. [[2014년]]에 마조앤새디 연재를 종료하고 [[2015년]]에 마조웍스를 옐로모바일에 매각했다.[* 옐로모바일에 마조웍스를 매각하면서 마조앤새디 카페 또한 다른 주인으로 바뀌었다. 약 300억원 가량에 매각했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사실인지는 불명.] 망해서 매각한건 아니고 오히려 매각 이후 훨씬 살림살이가 더 나아진 정철연은 [[육아]]와 [[가정]]에 더 충실하기 위해 [[인천]] [[송도]]로 이사를 가고 자신의 아들 사진을 올리면서 근황을 남겼었는데 [[2017년]] [[7월 9일]] 첫째 아들의 [[자폐]] 성향이 있다는 소식과 둘째 아들이 건강하게 자라고 있다는 소식을 올리면서 활동을 잠시 중단했다. [[2020년]] [[1월 1일]], 드디어 간단한 근황과 새로 다니게 된 회사에서 부정기 연재로 '냐오&앙'으로[* 모제림이라는 모발관련 회사의 브랜드 웹툰이였다.] 돌아왔으며, 마조앤새디 이야기도 간간히 업데이트 되고 있다. 이후 회사의 인스타 계정이 삭제되면서 자연스럽게 연재가 중단되었다. 현재 루이와 루비의 사망 소식 이후 근황을 알 수 없는 상태이다. == 특징 == * 만화 스타일은 여러 의인화나 본인의 생각을 덧붙여 투덜거리듯 일상 생활을 풀어 놓는 것이 특징. 본인은 정치와 풍자에도 관심이 있는 듯 하며, 여러가지 드립에 능하다. 특히 그의 [[섹드립]]은 최정상급. 너무 과하지 않을 정도로 살짝 녹아들어 있다. 만화를 보다보면 작가의 노련함이 잘 드러난다. * SD 캐릭터 중심이기에 티가 잘 나지는 않지만, 그림 실력 역시 매우 뛰어나다. 웹툰의 태동 이후 전통적인 의미의 작화 실력(인체비례나 데셍 등)이 덜 중요해진 데 비해, [[생활툰]]의 창시자답게, 그리고 캐릭터 디자이너 답게 캐릭터가 어떤 각도로 몸을 틀어도 작붕이 일어나지 않는 깔끔한 펜터치와 데셍력이 특징. 그리고 특유의 그림체로 하나하나 공들여서 그린 배경 역시 특징이다. == 연재 작품 == ||
[[파일:새삼이오일.jpg|width=100%]] || [[파일:ㅍㅣ씨이야기.jpg|width=100%]] || [[마조앤새디|[[파일:attachment/majonsady.jpg|width=100%]]]] || || '''마린블루스''' || '''P씨 이야기''' || '''마조&새디''' || || [[파일:파파독.jpg|width=80%]] || [[파일:냐오앤앙ㅇ.jpg|width=100%]] || || || '''파파독''' || '''냐오&앙''' || || ||
'''연재 기간''' || '''연재처''' || '''제목''' || '''비고''' || || 2001~2007년 || 킴스라이센싱 || [[마린블루스]] || || || 2009년 || [[다음 웹툰]] || P씨 이야기 || || || 2010~2014년 || [[인텔]] || [[마조&새디]] || || || 2016년 || [[KBS 2TV]] || [[파파독]] || 캐릭터 디자인 || || 2020년~2021년 || 모제림닥터 || [[https://www.instagram.com/mojelimdr_official/|냐오&앙]] || 광고 인스타툰[* 현재 해당 계정이 사라져서 볼 수 없다.] || == 여담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lonso_%28Renault%29_qualifying_at_USGP_2005.jpg|width=450]] [[2005년]], [[F1]] 드라이버인 [[페르난도 알론소]]와 [[지안카를로 피지켈라]]가 소속된 [[르노 F1 팀]]을 위한 레이스 카의 리버리(livery)를 디자인 하였다. 리버리란 그 회사의 차량・항공기 등에 특정 회사를 나타내기 위해 칠하는 상징 색 또는 무늬를 말한다. 즉 레이싱카에 주렁주렁 달려 있는 스폰서 로고와 팀 고유의 컬러라고 생각하면 쉽다. [[2005년]] 당시 F1에서는, 전면적인 [[담배]][[광고]] 금지를 앞두고 있었는데, 당시 [[르노 F1 팀]]은 메인 스폰서로 담배 브랜드인 '[[마일드 세븐]]'의 리버리를 붙이고 있었다. 벨기에 그랑프리 또한 담배광고가 금지된 서킷들 중 하나였기 때문에 이로 인한 스페셜 이벤트로 마일드세븐의 로고 리버리를 떼고, 정철연의 '도깨비불'을 모티브로 디자인한 리버리를 붙이고 달리게 된다. 많이들 F1 차체 외관을 디자인 한 것으로 착각하는데, F1 차체에 페인팅 되는 디자인을 제작한 것이지, 차체는 전문가들이 제작한다. [[파일:gpkorea_249547_1[362086].jpg|width=450]] (알론소와 정철연, 그리고 피지켈라) * 정철연 본인이 직접 운영하는 블로그의 인기가 높다. 대부분의 댓글에 전부 리리플을 달아주는 것도 이유의 하나지만 그야말로 마조&새디가 전부 실화라고 느껴지게 만드는 일상 포스팅의 강렬함이 큰 듯.[* 이로써 마린블루스 홈페이지 시절 초기에 운영되었다 유명무실해졌던 Photo란이 블로그를 통해 완전히 되살아났다고 볼 수 있겠다.] * [[마린블루스]] 시절과 비교했을 때 캐릭터가 모두 달라져 마조&새디 내에서는 누가 누구인지 쉽게 알 수 없지만, 블로그를 통해서 이들의 소식을 접할 수 있기도 하다. 크리스마스 때에는 지인들끼리 모여 가리비양의 집에서 파티를 했는데, 개불군을 포함한 여러 사람들의 최근 모습을 볼 수 있다. * 만화에서 [[부타나베]]를 소개한 적이 있는데, 이게 만들기도 쉽고 해서 블로그 이웃들을 통해 널리 퍼져나간 전적이 있다. * <마린블루스> 시즌 2.5에서 중학생 시절 [[서태지와 아이들]] 팬이었다고 말했으며, 관련 에피소드도 몇 편 냈다. [[http://blog.naver.com/majosady/30117255182|프로야구 롯데 자이언츠의 팬으로 추정된다.]] * [[마린블루스]] 때부터 [[http://blog.naver.com/majosady/30151335954|지금까지도]] [[G-SHOCK]]를 선호하는 듯하다. * [[2012년]] 대선 당일에는 300킬로를 차로 달려서 투표를 했다고 [[http://blog.naver.com/majosady/30154173615|한다.]] * [[마가린 비빔밥]]을 잘 만든다. 마린블루스에서 나오던 [[마가린 비빔밥]]이 [[버터 비빔밥]]으로 바뀌어 마조새디에 나오는 장면을 보면... 여담으로 마린블루스 시절 카레를 잔뜩 만들어 며칠동안 [[카레]]에 시달리다가 해방되는 만화를 기억한다면 마조&새디에선 카레만 먹는다고 툴툴거리는 새디와 까탈스럽다고 하는 마조를 보며 아이러니함도 느낄 수 있다. * 마조앤새디 연재 종료 이후, 블로그는 더 이상 업데이트 되지 않고 있으며, 비교적 최근에 시작한 인스타그램 역시 2015년 5월 이후로는 업데이트가 없다. 그리고 연재했던 웹툰 역시 인텔 페이스북에서는 볼 수 없게 되었다. 블로그 댓글에서는 만화 못 본다고 아우성이지만 작가가 안 본다. 2016년 3월부터 인스타그램이 다시 업데이트 되었다. '마조가족의 세계여행' 으로 컴백하려고 했으나 새디의 둘째 임신으로 만화로 복귀가 늦어지게 된 이상 인스타그램으로 소식을 전한다고 한다. * [[유모차]]를 실을 만 한 크기의 차가 흔치 않아 어떤 차를 살까 고민하다가 결국 [[캐딜락 에스컬레이드]]를 구입했다. 항목을 가보면 알겠지만 크기가 엄청난 차량이다. 숏바디라는 놈이 5m가 넘으니 말 다했다. 2008년식 에스컬레이드 [[중고]]인데 잔고장이 심하다고 한다. 또한 마린블루스 시즌 2에서 언급했듯 '비현실적인 드림카'에 있던 염원이기에 마블 열혈팬들의 눈시울을 붉혔다. * 웹툰 마조&새디에서 올해의 블로그에 "마른모들의 조이라이드"라는 자동차 소개 시승 블로그를 선정한 적이 있는데, 이를 [[윤서인]]의 조이라이드로 오인한 사람들이 "정철연 작가가 최악의 [[극우]] [[일뽕]] [[트롤러]] 윤서인과 친한 사이냐"라고 오해를 하기도 했다. 당연히 정철연 작가는 윤서인과는 관련이 없다. 자세한 건 [[조이라이드]] 항목에서의 3번 항목인 [[조이라이드#s-3|마른모들의 조이라이드]] 항목 참고. 이 블로그는 당연히 윤서인의 조이라이드와는 절대절대 관련 없는 곳이다. 다만 리더 칼럼니스트인 신동헌이 좀 편파적인 글을 쓴 적이 있어서 비판받은 것은 있다. * [[마린블루스]] 시절 입양한 [[샴고양이]] 루비가 [[2020년]] [[6월 19일]] 열여섯의 나이로 노령으로 인해 [[무지개 다리]]를 건넜다고 한다. 잠든 것처럼 떠났다고. 이후 그 뒤를 잇듯 일주일만인 [[6월 27일]] [[터키시 앙고라]] 루이가 열여덟의 나이로 동생 루비를 따라 무지개 다리를 건넜다. [[분류:한국의 만화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웹툰 작가]][[분류:1979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