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육군교육사령관)] ---- ||<:>{{{#FFFFFF '''역임한 직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제2군단장)]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4f22, #2A5034 20%, #2A5034 80%, #2a4f22)" '''[[육군교육사령관|{{{#fff 제59대 육군교육사령관}}}]][br]{{{#fff {{{+1 정철재}}}[br]Jeong Cheoljae}}}'''}}}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정철재 교육사령관.jpg|width=100%]]}}} || ||<#2A5034><:> '''{{{#fff 학력}}}''' ||[[목포홍일고등학교]] {{{-2 (졸업)}}}[br][[한남대학교]] 대학원 {{{-2 ([[경영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b3f783c4c33aa72c&keyword=%EC%A0%95%EC%B2%A0%EC%9E%AC|군 조직의 리더십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2001)])}}} || ||<|2><#2A5034><:> '''{{{#fff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86년]] ~ [[2023년]] || ||<#2A5034><:> '''{{{#fff 임관}}}''' ||[[육군3사관학교]] {{{-2 (23기)}}} || ||<#2A5034><:> '''{{{#fff 최종 계급}}}''' ||[[중장]] {{{-2 (대한민국 육군)}}} || ||<#2A5034><:> '''{{{#fff 최종 보직}}}''' ||[[육군교육사령관]]|| ||<#2A5034><:> '''{{{#fff 주요 보직}}}''' ||[[제2군단]]장[br][[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민군작전부장[br][[제52보병사단]]장[br][[제3군단]] [[참모장]][br][[제1야전군사령부]] 교육훈련과장[br][[제3군단]] 작전참모[br][[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 조직진단과장[br][[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지휘통제실장[br][[제3보병사단]] [[제18보병여단|제18보병연대장]] || ||<#2A5034><:> '''{{{#fff 종교}}}''' ||[[개신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의 [[군인]]으로 최종 계급은 [[중장]]이며, 최종 보직은 [[육군교육사령부]] 사령관이다. == 생애 == [[전라남도]] [[무안군]] 출신으로 삼향북초등학교, [[목포홍일고등학교]]를 거쳐 1986년 [[육군3사관학교]](23기)를 졸업하고 [[보병]] [[소위]]로 임관하였다. [[2001년]] [[한남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를 취득하였다. == 주요 보직 == * '''위관''' * [[제21보병사단]] [[제65보병연대]] 소대장 * [[육군3사관학교]] [[훈육관]] * [[제65보병사단]] 중대장 * [[제8보병사단]] 중대장, 연대 교육장교, 연대 작전장교 * '''소령''' * [[제21보병사단]] 작전참모처 작전계획장교 * '''중령''' * [[제21보병사단]] [[제65보병연대]] 제3대대장 * [[제21보병사단]] 교육훈련참모 * [[제21보병사단]] 작전참모 * '''대령''' * [[국방대학교]] 안보과정 수료 * [[제3보병사단]] [[제18보병여단|제18보병연대장]] *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 지휘통제실장 *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 조직진단과장 * [[제3군단]] [[작전참모]] * [[제1야전군사령부]] 작전처 교육훈련과장 * '''준장''' {{{-2 2016년 10월 3차 진급}}} * [[제3군단]] [[참모장]][* 참모장 시절 [[김병주]](육사 40기), [[김승겸]](육사 42기) 장군이 군단장으로 재임했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army&no=671210|당시 일화]]] {{{-2 (2016.10 ~ 2018.06)}}} * '''소장''' {{{-2 2018년 6월 4차 진급}}} * [[제52보병사단]]장 {{{-2 (2018.06 ~ 2019.11)}}}[* 전임자 [[이상호(군인)|이상호]], 후임자 [[김규하(육사47기)|김규하]]]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군사지원본부 민군작전부장[* 작전부장과 더불어 [[김성진(군인)|김성진]], [[이창효]], [[박양동]] 장군 등 중장 진급자를 많이 배출하고 있다. 특히 비육사의 요직으로 유명하다.] {{{-2 (2019.11 ~ 2020.12)}}}[* 전임자 [[박양동]], 후임자 [[박원호]]] * '''중장''' {{{-2 2020년 12월 2차 진급}}}[* 이로써 3사 23기는 [[허강수]]와 정철재, 2명의 중장을 배출하였다. 보통 비육사는 출신별로 기수당 중장이 2명 이상 나오는 경우가 드물다. 옛날 3사 10기의 [[박성규(군인)|박성규]] 대장-[[오정석]] 중장, 14기의 [[이순진]] 대장-한동주 중장이 배출된 적이 있다. 참고로 3사 14기는 항공작전사령관을 포함 사단장을 5명 배출한 기수이기도 하다. 단 이렇게 진급할 경우 인사적체가 생겨 다음 기수가 중장 [[T/O]]를 받지 못하는데다 추후 대장 진급에 있어 임관동기들 간에 진급 경쟁이 치열해진다. 함께 중장에 진급한 인물들은 모두 육사 45기에서 4명([[강건작]], [[전동진(군인)|전동진]], [[안병석]], [[이정웅]])을 배출했으며 학사 11기(육사 44기와 임관동기)의 [[소영민]] 소장이 진급했다. 그리고 정 중장 본인 역시 소위 임관 후 2년간 학사학위 [[위탁교육]]으로 인해 사실상 전임 군단장인 [[박정환(군인)|박정환]] 중장(육사 44기)과 임관동기로 간주된다. 이로 인해 육사 45기와 동기급인 3사 24기의 [[방성대]] 소장과 학군 27기의 [[신희현]], [[권영현]] 소장은 진급하지 못했다. 신희현 소장은 2021년 12월 인사에서 중장 진급 및 제3군단장 임명이 발표됐다.] * [[제2군단장]] {{{-2 (2020.12 ~ 2021.12)}}}[* 취임 다음날인 12월 8일 예하 [[제7보병사단]]장의 이취임식을 주관하였는데 이임 사단장인 [[박원호]] 소장(육사 46기)이 본인의 후임 합동참모본부 민군작전부장으로 [[영전]]하게 되었다.][* 전임자 [[박정환(군인)|박정환]], 후임자 [[장광선]]] * [[육군교육사령관]] {{{-2 (2021.12 ~ 2022.12.)}}}[* 후임자 [[강건작]]] == 여담 == * 임관 동기로는 [[허강수]] 예)중장(前 [[제7기동군단]]장), 김태일 예)소장[* 김태일 소장과는 [[제3군단]] [[참모장]] 전후임 사이이기도 하다.](前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이 있다. * 스스로 이야기 할 때 늘 끝차에 진급한다고 부족한 사람이 운만 좋다고 이야기한다. 물론 겸손함에서 나온 표현으로, 기본적으로 비육사라는 디스어드밴티지 속에서 장군이 될 정도로 자력이 좋은 편에 속한다. 상술한 경력에서 보이듯 정철재 장군은 육군 야전 작전 및 교육훈련 분야의 손꼽히는 권위자이다. 준장 2차 진급에 실패하고 갖게 된 여유라는 설도 있다. 실제로 준장 진급에 대한 스트레스가 엄청났다가[* 1차 진급 대상자 시절 맡은 육본 과장, 2차 진급 대상자 시절 맡은 군단 작전참모 모두 진급 가능성이 높은 [[요직]]으로 손꼽히고 업무량도 많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보직자는 이 자리에서의 업무 수행이 진급을 좌우한다는 것 때문에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막차 진급을 앞두었던 1군 교육훈련과장 시절에는 정말 모든 것을 내려놓은 여유와 소탈함을 보여줬고 이 자리에서 준장 막차 진급에 성공했다. 힘들게 준장을 달고 나서 생긴 인품과 여유로 저런 겸손이 가능했고 지금의 덕장 이미지가 생겼다는 평가도 있다. * 소탈한 인품으로 간부, 용사할 것 없이 부하들에게 인망이 두터운 편이다. * 대령이던 2010년 12월, [[국방대학교]] 안보과정[* 44주간 국내외 안보정세와 국가 안보전략, 국방정책, 전쟁과 군사전략, 국가·국방 자원관리 등을 학습하며 국가안보전략 및 정책관리능력을 배양하는 과정으로 군인, 공무원, 일반인 대상으로 개설한다.] 에서 국방부장관상(3등)을 수상했다.[[https://www.google.com/amp/s/cm.asiae.co.kr/ampview.htm%3fno=2010120809284975961|당시 기사]] * 소초장, 대대장, 사단 작전참모, 연대장, 군단 작전참모, 군단 참모장, 군단장 등 여러 직책을 [[GOP]]라는 최전방 경계작전부대에서 주로 근무한 작전 직능의 야전형 군인이다.[[https://kookbang.dema.mil.kr/newsWeb/m/20170824/24/BBSMSTR_000000010026/view.do|준장 시절 국방일보에 기고한 글]] * 모교인 삼향북초등학교와 목포홍일고등학교에 방문하여 강연하였다.[[http://www.mua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03044|#]] * 부하사랑을 몸소 베푸는 덕장으로서 평소에는 잘 웃고 농담도 잘 할 정도로 격 없는 소통을 좋아한다. 다만 실전과 같은 전투지휘훈련 등에 돌입하면 명확한 지침하달 등 카리스마를 내뿜는다. * 여느 배 나온 장군들과는 달리 평소 운동을 좋아하여 군인다운 체력과 날렵한 몸매를 유지하고 있다. * 간혹 위병소 근무자 및 공관 주변을 정비하던 본부근무대 장병들에게 고생한다며 피자나 치킨, 손수 내려준 커피를 제공하며 서프라이즈를 보여주기도 했고 항상 부하들의 복지 및 여건보장 등에 관심이 많아 부대 내 시설 개선 사업들도 많이 추진하였다. * 2022년 12월 5일, [[국방일보]] 특별기고문 [육군과학기술연구센터를 제안하며]을 작성하였다. [[https://kookbang.dema.mil.kr/newsWeb/m/20221206/1/BBSMSTR_000000010052/view.do?nav=0&nav2=0|출처]] * 2023년 2월 28일, 37년 간의 군생활을 뒤로하고 명예롭게 전역함과 동시에 [[보국훈장]] 국선장을 수여받았다. * [[예비역]] [[중장]]이 되면서 [[육군참모총장]] 직속기관인 [[육군]] 정책연구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육군정책연구위원회는 장군 출신으로 구성된 10여명의 인원이 육군의 정책을 발전시키기 위해 구성된 일종의 태스크포스(TF)다. * [[제52보병사단]]장으로서는 [[방원팔]] 사단장(육사 35기) 이후 오래간만의 중장 진급자이다.[* 방원팔 사단장 이후의 [[이승도]](3사 17기), 이한기(육사 41기), [[이상호(군인)|이상호]] 사단장은 소장 전역하였으며, 본인 이후의 [[김규하(육사47기)|김규하]], [[김호복(군인)|김호복]] 사단장 역시 중장 진급에 성공하였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 국군/인물]] * [[육군3사관학교/출신 인물]] [[분류:한남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육군3사관학교 출신]][[분류:목포홍일고등학교 출신]][[분류:무안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