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정크(유희왕), top2=싱크론)] [include(틀:유희왕 5D's 시그너의 에이스 관련 OCG 오리지널 몬스터)] [목차] == 설명 == [[파일:ジャンク・スピーダ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정크 스피더, 일어판명칭=ジャンク・スピーダー, 영어판명칭=Junk Speeder, 속성=바람, 레벨=5, 공격력=18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소재="싱크론"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싱크로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싱크론" 튜너를 가능한 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같은 레벨은 1장까지\).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싱크로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턴에 싱크로 소환한 이 카드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원래 공격력의 배가 된다.)] [[싱크로 소환/튜너|튜너]]로 [[싱크론]] 몬스터를 지정하며, ①의 효과도 고려하면 싱크론 몬스터를 다수 쓰는 [[정크도플]] 덱에서의 채용이 주가 된다. [[정크 싱크론]]은 묘지에 2레벨 몬스터가 있다면 1장으로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자체 특수 소환 가능한 [[제트 싱크론]]이나 [[언논 싱크론]]도 쓰기 쉽다. ①의 효과는 싱크로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레벨이 다른 싱크론 튜너 몬스터를 리크루트하는 [[유발효과]]. 최대 5장까지 불러낼 수 있지만, 효과에 의해 싱크로 몬스터 이외의 엑스트라 덱 전개가 막힌다. 자신과 싱크론 몬스터는 대체로 능력치가 낮아, 싱크로 소환한 이 카드와 리크루트한 튜너로 싱크로 소환하는 게 기본이 된다. 레벨 1과 레벨 3의 튜너를 리크루트해 [[크리스트론|크리스트론-그리온간드]]를 싱크로 소환하면 상대의 카드 3장을 제외할 수 있다. 이 카드와 레벨 3 튜너로 레벨 8의 [[레드 데몬]]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하고, 거기에 레벨 2 튜너를 조합해 [[염마룡 레드 데몬 베리얼]]로 연계할 수 있다. 여기서 남은 튜너 1장을 릴리스하면 싱크로 소재로 쓴 레드 데몬을 다시 소생시킬 수도 있다. [[레드 데몬즈 드래곤 스카라이트]]라면 전체 제거 효과에 남은 튜너도 같이 파괴해서 번 데미지를 늘려볼 수도 있다. 합계 레벨 5가 되는 튜너 2장으로 [[레드 데몬즈 드래곤 타이란트]]를 싱크로 소환하면 높은 확률로 전체 제거+공격력 3500의 직접 공격도 먹힌다. [[로드 싱크론]]을 불러오면 사실상 레벨 2 튜너를 2장 뽑아오는 셈이다. 덕분에 다양한 싱크로 조합이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싱크로 소환한 턴에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할 때 원래 공격력의 배가 되는 [[유발효과]]. 공격력은 3600이 되니 웬만한 몬스터를 전투로 파괴할 수 있게 된다. 스피더가 통과되면 이미 최상위 싱크로 몬스터들을 풀로 전개할 수 있기 때문에 드물게 쓰이는 효과긴 하지만 3000 이상의 몬스터를 자력 돌파할 수 있는 것은 어쨌든 전개 보조 파츠에 붙은 효과 치고는 나쁘진 않은 효과다. 1턴 한정이라 메인 페이즈 2에 리크루트한 몬스터와 함께 싱크로 소재로 써버리는 게 좋다. 실전성은 낮지만 [[체인지 싱크론]]을 싱크로 소재로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하고, ①의 효과로 [[드릴 싱크론]]을 특수 소환하면 수비 표시 몬스터를 준비하면서 관통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강력한 전개 효과를 지녔지만, 엑스트라 몬스터 존을 쓰는 [[마스터 룰|신 마스터 룰]]에선 활약하기 힘들었다. 싱크론 튜너만 소환하기에 액셀 싱크로에 필요한 싱크로 튜너도 소환할 수 없는 게 단점. 때문에 초창기에는 일반적인 [[정크도플]] 덱에선 안 쓰였고, 대신 싱크로 몬스터와 다수의 튜너로 연속 싱크로하게 되므로 오히려 라이벌인 [[잭 아틀라스]]가 사용한 [[레드 데몬]] 시리즈를 소환하기 편하다.[* 모든 잭의 버닝 소울 몬스터와 염마룡들, 심지어 그리온간드도 순식간에 튀어나온다. [[레조네이터(유희왕)|레조네이터]]와 [[레드(유희왕)|레드 시리즈]]를 넣는 것보다 더 편하다.] 스팀 싱크론을 불러오면 상대 턴에 [[염마룡왕 레드 데몬 캘러미티]]를 내고 턴 스킵을 유도하거나 [[크리스트론|크리스트론-그리온간드]]로 필드 및 묘지 견제할 수 있는데, 엑스트라 몬스터 존을 두 몬스터가 먹을 수밖에 없으니 3턴에 링크 소재로 써버리거나 하지 않는 이상 킬각을 잡기 어려웠다. 2020년 4월부터 신 마스터 룰이 다시 개정되면서, 링크 몬스터 없이도 대량 전개가 가능해져 킬각 잡기가 다시 쉬워졌다. 이 시기부터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등을 소환하는 로망형 정크도플 덱의 주력 전개 요원[* 특히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축이 아닌, 극 전개형 구축.]으로 사용되었으며, 토큰을 남기는 도플 워리어를 소재로 소환하면 필드에 레벨 5 싱크로, 레벨 1 토큰 2장, 그리고 3장의 레벨이 다른 튜너 몬스터 필드를 채운다. 레벨 5 싱크로, 레벨 2 싱크로와 섞어 [[슈팅 퀘이사 드래곤]]도 쉽게 소환할 수 있다. 도플 워리어 없이 다량의 튜너를 써서 [[스카레드 슈퍼노바 드래곤]][* 튜너의 레벨 1+2+4=7에 레벨 5의 싱크로 정크 스피더.]도 바로 가능해졌다. 강력한 전개 효과를 가진 대가로, 단독으로 나온다면 온갖 패 트랩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증식의 G]]나 [[원시생명체 니비루]]는 물론이고 뵐러, 무한포영 등등 [[도플 워리어]] 토큰 소환 효과로 그나마 케어할 수 있는 하루 우라라를 빼면 아무거나 쳐도 죽는다고 할 정도로, 대표적인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카드다. 때문에 저점 없이 고점 전개만 바라보는 덱들을 '''XX도플'''이라는 멸칭이 붙게 만든 원인이자, 악성 정크도플 유저들의 비매너 플레이의 원인이 된 카드로 찍혀 인식이 매우 좋지 않았다. 이러한 리스크 문제 때문에 그나마 실적을 내던 정크도플 덱은 스피더 축이 아닌 하리파이버-아우로라돈 [[로봇 링크]] 계통이었고, 하리파이버가 금지되자 울며 겨자먹기로 결국 정크도플 덱의 대다수는 스피더를 사용하게 되었다. 코나미도 이런 문제를 모르는 것은 아니라서 [[액셀싱크로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효과 내성 부여나, [[레볼루션 싱크론]]을 통해 [[용사(유희왕)|용사]]의 일리걸 나이트와 함께 [[플뢰르 드 바로네스]]를 내고 용사 토큰으로 스피더를 낼 수 있게 간접 지원해주는 등 이전에 비하면 패 트랩 관통력이 비교적 좋아졌다. 그러나, 여전히 해당 보조 수단들과 지명자 없이 나오는 깡 스피더는 메타 게임 기준으로는 자살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패 트랩 케어 수단을 준비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소환 조건이 싱크론을 요구하는데 간편한 [[퀵 싱크론]]은 [[레벨 스틸러]]가 금지라 못 쓰니, 전용 덱을 짜려면 생각보다 조건이 많이 필요하다. [[조율(유희왕)|조율]]/[[라이딩 듀얼! 액셀러레이션!]]은 기본이고, 가장 편한 방법은 [[정크 컨버터]]로 [[정크 싱크론]]을 서치해 일반 소환하는 것이며, [[싱크론 캐리어]]로 [[정크 싱크론]] 등 레벨 3 튜너를 부르거나 [[사이버스]] 싱크론을 불러와 사이버스 싱크론의 효과로 캐리어의 레벨을 올려 뽑으면 된다. 스피더의 특성상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몬스터가 남을 수밖에 없어서 사이버스 싱크론의 내성 부여도 쏠쏠한 도움이 된다. [[스타더스트 싱크론]]에 1레벨 비튜너를 합쳐 뽑을 수도 있고, [[바렛(유희왕/카드군)|바렛]]의 퀵 리볼브는 속공으로 1레벨 싱크론 튜너인 바렛 싱크론/4레벨 비튜너 바렛을 조달할 수 있다. [[용사(유희왕)|용사]] 토큰도 1레벨 싱크론 튜너와 함께 내기 쉬우며, [[성전의 수견사]]+[[어썰트 싱크론]] 조합으로도 소환할 수 있어 23년 기준 정크도플 덱은 보통 용사와 연계하는 편이다. [[정크 워리어]]하곤 싱크론 튜너를 소재로 하는 점이나 공격력을 강화하는 점이 유사하다. 해당 카드는 튜너가 지정된 데다 공격력을 얻으려면 전용 구축이 필요하기에, 엑스트라 덱의 압박만 신경 쓴다면 싱크로 소재 제약이 느슨하고 전개 효과도 있는 이 카드가 우선된다. [[워리어(유희왕)|워리어]] 서포트 카드를 의식할 경우 해당 카드를 원하는 의의도 있으니 덱 내용에 맞춰 채용하자. TCG에선 [[싱크로 다크]] 때도 건재하던 [[PSY프레임로드 Ω]]가 이 카드 때문에 OCG처럼 제한 카드가 됐었다. PSY프레임로드 Ω로 패를 제외시키면 엑스트라 몬스터 존이 비기에 새로운 PSY프레임로드 Ω를 불러 [[핸드 데스]]를 했기 때문. 그러나 TCG 금제도 오메가가 제한이 되면서 스피더가 풀려났다. 싱크로 소재로 특정 싱크론을 요구하는 싱크로 몬스터는 많지만, 싱크론이란 카테고리 자체를 요구하는 건 이 카드가 최초다. 모티브는 이름과 모습, 효과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정크 싱크론]]을 [[스피드 워리어]]에 튜닝시킨 모습. 애니에서 최초로 등장한 싱크로 소환은 정크 싱크론과 스피드 워리어를 소재로 정크 워리어를 소환한 것이며, 그 이후로도 둘은 종종 싱크로 소재 파트너가 돼 정크 워리어의 소환에 쓰였는데, 그걸 의식해 아예 스피드 워리어를 정크 버전으로 만든 듯하다.[* 정크 워리어는 안경(?)등 정크 싱크론이 주 디자인이 되었으며 정크 스피더는 반대로 스피드 워리어가 주 디자인이 되었다.] 실제로 이 카드의 공격력인 1800은 스피드 워리어가 효과를 발동했을 때 배가 된 공격력과 같고, 소환된 턴에 공격하면 원래 공격력이 배가 되는 것도 스피드 워리어의 효과에서 따왔다. [[유희왕 SEVENS]] 공개와 함께 발표된 신규 마스터 룰이 적용되는 것에 맞춰, OCG에선 2020년 4월에 제한 카드가 됐다가 2021년 1월에 준제한, 2021년 4월에 무제한 카드가 됐다. ||수록 시리즈 || ||<(> 2019-02-1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43-KR041 | '''크로니클 바인더'''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8-12-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TH-JPB14 | '''20th ANNIVERSARY DUELIST B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8-08-3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CT15-EN002 | '''2018 Mega-Tin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0-06-1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OP13-EN007 | '''OTS Tournament Pack 1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관련 카드 == === [[스피드 워리어]] === === [[정크 싱크론]] === [[분류:유희왕/OCG/전사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