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정현수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최강 몬스터즈/로스터)] ---- ||
'''{{{#fff 정현수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번}}}''' || || || {{{+1 →}}} || '''{{{#fff 정현수[br](2024~)}}}''' || {{{+1 →}}} || [[현역#s-3]]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현수송원대.jpg|width=100%]]}}} || ||<-2> '''송원대학교 야구부 No.57''' || ||<-2> '''{{{+2 정현수}}}[br] Jung Hyeonsu''' || ||<|2> '''출생''' ||[[2001년]] [[5월 10일]] ([age(2001-05-10)]세) || ||[[부산광역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대연초등학교|대연초]][* 모산초등학교에서 전학.] - [[부산중학교|부산중]]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 - [[송원대학교 야구부|송원대]] {{{-2 (스포츠지도학과 / 재학)}}}[* 20학번이다.] || || '''신체''' ||180cm, 83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오른손잡이]]인데 야구만 왼손으로 하는 [[다른손잡이]]다.[[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5297511&memberNo=1352526&vType=VERTICAL|#]] [[채태인]]의 플레이를 보고는 "왜 저 사람은 나랑 다른 손으로 잡지?"라고 생각하고 신기해서 따라 하다 [[왼손잡이]]가 되었다고 밝혔다.] || || '''프로입단'''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 #s-4.1|2024년 2라운드]] (전체 13번, 롯데) || ||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2024~)|| || '''등장곡''' ||[[Blasterjaxx]] & [[Timmy Trumpet]] - Narco[* [[에드윈 디아즈]], [[소크라테스 브리토]]의 등장곡이다. 소크라테스 브리토는 등장곡과 응원가 모두 사용중이다. 최강야구 성균관대전 직관 경기에서는 이 곡과 함께 선발등판을 위해 외야 담장에서 나오며 디아즈를 오마주한 등장을 한 바 있다.] || || '''SNS''' ||[[https://instagram.com/j._.hyeon._.su?igshid=YmMyMTA2M2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 '''MBTI''' ||[[ENFJ]]|| [목차] [clearfix] == 개요 == [[롯데 자이언츠]]에 지명된 [[송원대학교 야구부]] 소속 좌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중학교 때까지는 내야수로 활동하다가, 부산고에 진학하면서 투수로 포지션을 바꿨다.[* 내야수 포지션이 1루수가 아니었다면 이 시점에서 좌투로 바꾼 듯하다.] 다만 고교 시절에는 주로 외야수로 뛰었으며 투수로는 2⅓ 3이닝을 던진 것이 전부였다. 부산고 동기로는 한화 [[한승주(야구선수)|한승주]]와 두산 [[최종인]] 등이 있다. 본격적으로 대학교 2학년 시절부터 팀의 주전 선수가 되었다. 2021년 6승 1패 51이닝 72탈삼진을 기록[* 9이닝당 탈삼진 '''12.705''']하고, 2022년 '''10승 1패 83⅓이닝 129탈삼진'''을 기록[* 9이닝당 탈삼진이 '''13.971'''로 대학리그 수준을 감안하더라도 2022 시즌 K/9 1위인 [[안우진]]의 10.29를 넘기며 브레이킹볼이 뛰어나다는 걸 입증한 셈.]하면서 대회 감투상을 수상하였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혹사의 피해자라는 의견이 제기되었는데, 2022년 7월 당시 팀이 치른 이닝 중 절반인 32⅓이닝을 책임지면서, 7월 7일부터 19일까지 총 13일동안[* 8경기 중 7경기 출장(5선발, 2계투) 5승, 32⅓이닝 11실점. ERA 2.81] '''567구'''를 던졌다는 것이다. 하루 간격으로 100구가 넘는 공을 던졌다는 것. 때문에 아마추어 야구에서 보다 엄격한 투구 수 제한을 적용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주장이 나오기도 하였다.[* 그러나 고교야구에서 시행 중인 투구 수 제한이 일괄적으로 적용되고 있어서 선수 층이 엷은 팀에게 불리하다는 지적이 있는 판에, 대학야구도 다를 것이 없다. 대학야구 역시 선수 층이 엷은 팀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http://www.spochoo.com/news/articleViewAmp.html?idxno=102692|혹사 논란]] 단, 2023년 초 인터뷰에서 본인이 말한 바로는, 아마추어 선수이기 때문에 기회를 많이 받아서 잘 보이기 위해 본인이 원해서 나간 경우가 많다고 한다.[[https://post-phinf.pstatic.net/MjAyMzAxMzBfMjcz/MDAxNjc1MDU0MjUzNTAw.nncp30JldlAHvcvDfszdwh_wH-HdWYwad1WQ9NDmq_sg.xWCjctLTh6i1zDuLQOn3tHkmLydWB41adLIa-8wFps0g.JPEG/mug_obj_16750542536532222.jpg?type=w1080|인터뷰]] 항저우 아시안게임 예비 명단 198인에 들었으나 최종 엔트리 승선에는 실패하였다. 드래프트를 며칠 앞둔 시점에서는, 특정 구단이 1라운드 지명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하면서, '1라운드에 대학교 선수가 지명받는다면 정현수 한 명 외에는 전혀 고려할 사람이 없다'라는 관계자 발언도 나오고 있다.[* 팬들 사이에서는 키움 히어로즈가 지명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돌고 있는데 좌완을 많이 수집할 뿐더러 1라운드 지명권이 2개나 있는 점을 생각하면 신빙성이 높다.] 9월 13일 파이낸셜뉴스 전상일 기자는 [[SSG 랜더스]]가 신인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으로 [[박지환(2005)|박지환]]과 정현수를 고려 중이며 그중 정현수를 지명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전했다. 반면에 베이스볼코리아는 [[롯데 자이언츠]]가 2라운드로 지명할 가능성이 높고 롯데가 아니어도 삼성이 지명할 것이라고 컨펌했다. 심지어 롯데가 지명을 안 한다면 [[최동원]] 동상에 절하러 가겠다는 공약을 거는 건 덤. 전상일, 베이스볼코리아 모두 상위 지명을 예상한 걸로 보아 현장의 평이 매우 좋은 듯하다. === [[롯데 자이언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현수 롯데 드래프트.png|width=100%]]}}} || 그리고 위의 예상대로, SSG 랜더스는 1라운드로 박지환을 뽑아갔고 결국 고향팀 롯데 자이언츠의 '''2라운드 전체 13위로 지명을 받았다.''' 대학 선수로 한정하면 1순위로, 최강 몬스터즈 아마추어 선수들 중 최상위 순번 기록이다.[* 최강 몬스터즈의 이전 지명 선수들 중 [[윤준호(야구선수)|윤준호]]는 5라운드, [[류현인]]은 7라운드, [[황영묵]]과 [[고영우]]는 4라운드에서 지명을 받았다. [[원성준]]은 지명을 받지 못했다.] 롯데 팬들의 반응은 매우 갈리고 있다. 불호하는 측은 대졸 미필인 데다 2라운드에 유망한 고졸 투수를 지명할 기회를 버리고 뽑은 과한 얼리픽이라는 평가이고, 상술한 최강야구 악성 팬덤들의 패악질이 이젠 롯데에도 뻗칠까 봐 매우 크게 우려하고 있다.[* 게다가 롯데 팬들이 가장 질색하는, 이전까지 롯데를 응원하다 [[NC 다이노스]]의 창단 후 응원 팀을 바꾼, 다른 경남 지역도 아닌 '''부산 출신''' 팬이라는 점까지 겹쳐 벌써부터 미움을 크게 사버렸다. 다만 본인은 NC랑 롯데가 붙으면 롯데를 응원한다고.] 반면에 긍정적으로 보는 측은 [[김진욱(2002)|김진욱]] 등 좌완 유망주 육성에 실패하면서 트레이드로 [[심재민]]을 데려오는 등 좌완 기근에 시달리고 있는 팀 사정 상 즉전감 좌완은 그 자체로 충분한 가치가 있고[* 이번 1라운드 지명만 봐도 좌완 투수는 [[황준서]] 1명 뿐이었다. 그만큼 뛰어난 좌완투수가 많지 않기도 했다. 뒤이어 키움에 지명된 [[손현기]] 같은 경우엔 전형적인 와일드씽 유형이고 스타일이 비슷한 [[홍민기(야구선수)|홍민기]]가 있기에 고려하지 않은 듯.] 최강야구에서의 인지도와는 별개로 대학야구에서 이미 최대어로 꼽힐 정도로 현장 평가가 좋았다 보니[* 같이 최강야구에 출연한 [[원성준]]은 인지도를 올리기는 했지만, 대학리그에서의 성적이 월등하진 못해 1년 졸업유예에도 불구하고 끝내 지명을 받지 못했다.] 그만큼의 가치가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그 와중에 최강야구 팬덤들의 패악질도 온라인 화력으로는 KBO 최고 수준인 [[꼴리건]]들의 화력이라면 진압할 수 있다고 자신하는 건 덤.(...) 9월 27일 롯데 자이언츠와 계약금 1억 5000만원에 계약 완료하였다.[[https://naver.me/5c2KPbsC|#]] == 피칭 스타일 == 140 초중반에 형성되는 패스트볼과, 슬라이더, 체인지업, 스트라이크존에서 급격하게 떨어지는 커브를 주 구종으로 사용하는 파워피처 스타일. 특히 커브가 각이 크면서 빠르게 떨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최강야구에서 보이는 모습을 보면 좌타자 상대 승부구는 슬라이더, 우타자 상대 승부구로는 체인지업이나 커브를 던지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커브는 치명타를 위한 독침 비슷한 느낌으로 많이 던지지는 않는다.] 마운드에 섰을 때 본인이 던지고 싶은 공을 던져야 잘 먹힌다는 느낌을 받아 포수가 요구하는 사인이 다를 경우 사인을 바꾼다고 한다.[* 최강야구 데뷔 전인 최강 몬스터즈와 kt wiz와의 경기에서 고개를 계속 가로저은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으로 보인다.] == 최강야구 출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강야구 정현수.jpg|width=100%]]}}} || || [[최강 몬스터즈#s-5.8|{{{#fff '''최강 몬스터즈 No.57'''}}}]] || [youtube(i1QksQg5Fow)] * 2023년 4월 17일 방송분, JTBC [[최강야구]] 2023 시즌 트라이아웃에서 [[정근우]]와의 캐치볼에서 인상적인 커브를 던져 최종라운드에 진출, 최종 합격하였다.[* 정근우의 설명에 의하면 커브의 구질이 우리나라 선수들이 흔히 던지는 스타일이 아닌 일본 선수들이 던지는 스타일이라며 커브의 낙폭과 회전수가 꽤나좋다는 평이다.][* 같은 이유로 [[김성근]] 감독이 코치 자리 하나 빼고 입단시켜 달라고 할 정도.] [youtube(m_xtWdO17EI)] * 2023년 4월 24일 방송분, kt wiz와의 경기에서 6회초 [[이대은]]과 교체되어 [[최강야구]]에 첫 데뷔하였다. 이날 볼넷 1개, 몸에 맞는 공 1개로 두 명의 주자를 내보냈으나 실점은 없었으며, 140 초반의 구속과 다양한 볼배합, 포수의 사인을 거르는 모습 등, 많은 관중 앞에서의 경기 경험이 없는 아마추어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대범한 모습으로 성공적인 데뷔전을 치렀다. * 그 이후로도 [[최강 몬스터즈]]에서 선발, 구원을 가리지 않고 투수조의 중심축이 되는 역할을 맡는 등 크게 활약하고 있다. 기존 투수들의 노쇠화로 인해 쓸 만한 투수가 이대은, [[오주원]], [[신재영]], 정현수 넷밖에 없는 점도 출장 빈도가 높아지는 원인 중 하나. * 9월 중순 2차 드래프트로 롯데 자이언츠 입단에 성공하며 프로에 진입하였으므로, 곧 하차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 여담 == * 팬서비스가 좋다. 싸인과 사진 요청도 잘 받아주고, 팬들과 이야기도 많이 해준다.[* 인스타 스토리에 함께 찍은 사진을 올리면 좋아요를 눌러준다.] * 부산 출신이라 그런지 어린 시절부터 [[롯데 자이언츠]] 팬이라고한다.[* 다만 NC 창단 후 NC로 갈아탄 적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단 NC와 롯데가 붙으면 롯데를 응원한다고 말한 적이 있긴 하지만 어쨌든 갈아탔다는 사실 때문에 정현수를 좋지 않게 보는 롯데 팬들도 있다.] 그리고 롯데에 지명받으면서 고향팀이자 응원하던 팀에 입단하게 되었다. * 2023년 5월 25일 대학야구 U리그 호원대전에 구원 등판한 정현수는 21타자를 상대로 17개의 삼진을 기록, 특히 이날 기록한 11타자 연속 탈삼진은 프로야구에서도 흔히 볼 수 없는 진기록이다. 최종 성적은 6이닝 1실점 [[https://www.fmkorea.com/5806762595|#]][[https://twitter.com/bk_jeonsueun/status/1661947423386914816?ref_src=twsrc%5Etfw%7Ctwcamp%5Etweetembed%7Ctwterm%5E1661947423386914816%7Ctwgr%5Ea2fa21e74cffd07b7211e94eb611898cb2bca090%7Ctwcon%5Es1_&ref_url=https%3A%2F%2Fwww.fmkorea.com%2F5806762595|##]] * 2023년 6월 6일 한화생명 이글스파크에서 개최된[[https://www.ilyosisa.co.kr/news/article.html?no=239647|#]] 2023년 제1회 한화이글스배 고교.대학야구올스타전에서 '''대학투수부문 MVP'''를 수상하였다.[[https://www.hanwhaeagles.co.kr/FA/CN/PCFACN02.do?&id=1222|#]] * 학년은 2년 낮지만 나이는 두 살 위인 투수 [[김성경(야구선수)|김성경]][* 1999년생 투수로, 고교 1학년이었던 2015년을 끝으로 야구를 그만 두었다가 2022년 송원대에 입학해 다시 선수로 뛰고 있다.]과 가장 먼저 친하게 지낸 선수다.[* 김성경이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와의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6106936&memberNo=1352526|인터뷰]]에서 직접 밝힌 내용이다.] * 최강야구 예능 속에서 부산고 대선배인 정근우와 부산고 18연승에 대해 스몰토크 하는 장면이 나와 모교에 대한 애교심이 주목된 바 있다.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2001년 출생]][[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부산고등학교 출신]][[분류:송원대학교 출신]][[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투수로 전향한 야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