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장수군 출신 인물]][[분류:1891년 출생]][[분류:1940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운동가|{{{#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br] {{{#ffffff '''{{{+1 정호현}}}[br]丁豪鉉'''}}}}}} || ||<|2> '''출생''' ||[[1891년]] [[4월 11일]] || ||[[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 오성리 || ||<|2> '''사망''' ||[[1940년]] [[7월 15일]] || ||[[전라북도]] [[장수군]]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정호현은 1891년 4월 11일 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 오성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3월 19일 동화리 장날, 사전에 마련한 태극기를 긴 장대에 매달아 [[박정주(독립운동가)|박정주]]·[[정봉수(독립운동가)|정봉수]] 등에게 들도록 하고 많은 시위군중 앞에서 태극기를 휘날리며 장터를 돌면서 만세시위운동을 벌이다가 일경에 붙잡혔다. 그후 5월 2일 광주지방법원 남원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형을 언도받았고,[[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372&evntId=0034990884&evntdowngbn=Y&indpnId=0000021964&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 항소를 제기했으나 6월 13일 대구복심법원에서 기각되었으며[[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676&evntId=0034983630&evntdowngbn=Y&indpnId=0000015199&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 7월 26일 고등법원 상고심에서 최종 기각되어[[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857&evntId=0034980791&evntdowngbn=Y&indpnId=0000012533&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장수군에서 조용히 지내다 1940년 7월 15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정호현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