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원 LG 세이커스/선수단)] ||<-2>
{{{+1 '''창원 LG 세이커스 No.9'''}}} || ||<-2> '''CHANGWON LG SAKER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희재2023-24.png|width=80%]]}}} || ||<-2> '''{{{+2 정희재}}}[br]鄭熙在 | Jeong Hee Jae''' || ||<|2> '''출생''' ||[[1989년]] [[12월 18일]] ([age(1989-12-18)]세) || ||[[부산직할시]] [[북구(부산광역시)|북구]][br](現 [[부산광역시]] [[사상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키(신체)|키]] 195cm|[[체중]] 94kg || || '''포지션''' ||[[스몰 포워드]] / [[파워 포워드]]|| || '''학력''' ||모덕초등학교 {{{-2 (졸업)}}} [br] 대연중학교 {{{-2 (졸업)}}} [br] [[홍익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2 (졸업)}}} [br]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2 ([[체육교육과]] 09 / [[학사]])}}} || || '''프로입단''' ||[[2012-13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2012년 10월 드래프트]] {{{-2 (2라운드 4순위, [[전주 KCC 이지스|전주 KCC]])}}} || || '''병역''' ||[[상무 농구단|신협 상무]] (2016~2018) || || '''소속''' ||[[전주 KCC 이지스]] (2012~2019) [br] '''[[창원 LG 세이커스]] (2019~)''' || || '''가족관계''' ||아내 장성윤^^(1990년생, 2020년 6월 7일 결혼)[* 아시아나항공 객실승무원.]^^ [br]딸 정서안^^(2021년 1월 4일생)^^ || || '''SNS''' ||[[https://www.instagram.com/heejay__9/|[[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18]]]]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원 LG 세이커스]] 소속의 농구선수. 포지션은 [[포워드(농구)|포워드]]. == 커리어 == === 아마추어 시절 === 중학교 3학년 16살인 나이 때 188cm 큰 키로 친구들과 농구를 즐겼다고 한다. 그가 농구를 시작한 계기는 대한농구협회 홈페이지 게시판에 자신의 나이, 키, 몸무게 등을 소개하며 농구를 배우고 싶다고 문의했으며 [[추승균]],[[박훈근]]을 배출한 부산 대연중학교에서 테스트 제의를 받으며 정식으로 농구를 시작하였다. 농구의 시작이 늦었던 관계로 학업을 1년 쉬기로 결정하고 대연중학교 강용길감독의 지도 아래 1년 반동안 농구에 매진했다. 중학교 졸업 후 부산의 가족들과 떨어져 단대부고에 입학, 한 학기가 끝날 무렵 자신을 이끌어 주던 성우경코치가 코치직에서 물러나게 되면서 잠시 방황을 하는 와중에 [[홍익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홍대부고]] 이무진 감독의 권유로 1학년 2학기에 홍대부고로 전학을 하게 되었다. 홍대부고에서 센터가 아닌 포워드로서의 플레이를 익히고 3학년 때에는 종별 선수권 결승전에서 30득점을 올리는등 고등학교 시절 큰 활약을 했고 고등학교 3학년때 촉망받는 유망주로 고교 시즌을 마감하며 고려대학교(체교09)에 입학했다. 고교시절 진학이 예상되었던 [[경희대학교]]를 뿌리치고 [[고려대학교]]에 입학하게 된 계기는 이무진 감독의 권유와 가장 존경하는 선수인 [[현주엽]](경영94), [[이규섭]](신문방송96)의 유니폼에 새겨져 있던 고려대학교라는 이름에 대한 믿음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대학 1학년때인 2009년엔 고려대 농구부 내부문제로 인해 1년간 농구를 할 수 없었으며, 2학년 때에는 오른쪽 발목 부상으로 경기에 나가지 못하는 상황이 되어 버린 관계로 2011년 3학년때부터 고려대에서의 농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던 셈이다. 대학 시절엔 레이업슛과 정확한 미들슛이 장점이었다. '''2010년 MBC대학농구대회 우수상 수상'''. === 프로 시절 === 정희재가 입단하던 2012-13시즌 KCC의 상황은 그다지 좋지 않았는데, [[추승균]]이 은퇴한 공백을 [[김태홍(농구)|김태홍]]과 [[이한권]]으로 메꿨지만 신통치 않아, 정희재가 [[스몰 포워드]]로 출장했다. 당시 KCC는 시즌 10위로 마감했다. ==== 2017 - 18 시즌 ==== 2015-16시즌이 끝나고 상무에 입대하여 군 복무를 마치고 2017-18시즌 전주 KCC로 돌아왔다. 정희재는 상무 소속으로 출전한 D리그 1차대회에서 [[MVP]]가 됐을 정도로 기동력과 수비력이 출중한 포워드다. 그 실력을 앞세워 지난 6강 플레이오프에서는 팀의 4강 진출에 큰 힘이 되기도 했다. 추승균 감독도 그를 두고 ''''팀의 활력소\''''라고 칭찬했을 정도. 특히 상무를 전후로 슛이 좋아졌다는 평가가 많다. ==== 2018 - 19 시즌 ==== 2018-19시즌 들어서 역대 가장 좋은 폼을 보여주고 있다. 적극적인 리바운드 참여, 끈질기고 터프한 수비, 그리고 장신 외국선수 수비까지 도맡으며 알토란같은 활약을 펼치고 있다. [[스테이시 오그먼]] 감독은 "정희재가 있기에 우리 플레이를 100% 펼칠 수 있다"며 극찬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적극적인 속공 참여와 과감한 3점슛 시도로 KCC의 공격에 힘을 보태고 있다. 12월 20일 3라운드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모비스]]전에서 '''총 29분 46초를 뛰며 18득점(2p 2/2 + 3p 4/7) 8리바운드 1어시스트'''라는 대활약으로 팀을 승리로 견인했다. 12월 말부터 굉장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3점과 수비에서 빛을 발하면서 '''3&D형''' 선수로 나날히 발전하고 있다. 최근 경기에서도 득점에 가세하며 1월에는 '식스맨상 후보'에 오르는 기염을 토해냈다. 이윽고 1월 6일 4라운드 [[원주 DB 프로미|DB]]전에서 '''총 22분 29초를 뛰며 19득점(2p 3/3 + 3p 3/4 + Ft 4/6) 2리바운드 2어시스트 2스틸'''이라는 대활약을 펼치며 개인 프로 통산 최다득점을 갱신했다.[* 개인 최다 득점은 아닌 것이, 상무 시절에 20점 넘게 득점한 경기가 여러번 있었다.] 시즌 종료 후, FA 자격조건을 얻었다. 소속 구단인 KCC와 협의를 하였으나 연봉과 인센티브를 포함해 첫 해 1억 7천만원의 보수와 계약기간 5년을 제안받았고, 최종적으로 협상이 결렬되어 FA로 나왔다. 이제 전성기 구간으로 들어가는 나이와 빅맨까지 수비할 수 있는 수비력과 성실함, 그리고 이번 시즌에 보여준 3점 슛 능력, 보상선수 없이 계약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이번 FA시장의 준척급 선수 중에서는 가장 큰 가치를 지닌 선수로 평가되고 있다. [[전주 KCC 이지스|KCC]] 구단이 [[이정현(1987)|이정현]], [[송교창]], [[하승진]]과 용병 선수로 운영되는 팀이었고, 주전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출전시간을 많이 받지 못해서 그렇지 출전 시간만 보장되면 충분히 많은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선수임은 확실하다. 이렇듯 FA시장에 나온 이후 준척급 FA로 많은 관심을 받았고 [[5월 20일]] [[김종규(농구)|김종규]]의 이적으로 포워드 라인 강화를 노린 [[창원 LG 세이커스]]로 2억 4천 5백만원에 이적이 확정되었다. ==== 2019 - 20 시즌 ==== FA자격을 얻으면서 [[창원 LG 세이커스]]로 이적하였다. 팀에 포워드 자원인 이건희, [[정준원]], [[김준형(농구선수)|김준형]]과 본인밖에 없는데, 이 중 그나마 주전으로 나설수 있는 선수는 정희재 밖에 없다. 아마도 [[전주 KCC 이지스]] 시절보다는 많이 출장할 것으로 보인다.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에서 이적생들 중 가장 많이 언급되는데, 허리가 좋지 않은 탓에 훈련 중에서도 자주 뒤쳐지는 모습이 보인다.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정희재 본인의 몸 관리 및 의지 문제 vs 현주엽의 잘못된 훈련방식으로 의견이 갈렸으나, 대부분 현주엽을 비판하는 쪽이 우세했다.[* 허리 디스크가 있는 사람은 일반인들도 조심하는데 몸을 쓰는 직업인 운동선수는 계속 관리 해줘야 한다. 더군다나 몸을 자주 부딪히는 운동 중 코트가 가장 좁고 거친 종목이 농구다. 효율성을 위해서라도 1개월 정도 고강도의 재활을 시킨 후, 차차 훈련을 하는 게 나았을 것이다.] 하지만 당시 정희재는 허리 디스크가 아니라 허리쪽 근육뭉침이라고 한다.[* 현주엽은 이때 정희재를 열외시켜 베이스 라인-자유투 라인-베이스 라인-하프 라인-베이스 라인-반대편 자유투 라인-베이스 라인-반대편 베이스 라인-베이스 라인의 패턴으로 달리게하는 사계절을 왕복 200회 시켰는데 디스크라면 이것을 버틸수 없다며 뛰게했다.] [[KCC]]에서 4번(파워포워드)를 맡아서 [[하승진]]의 백업으로 나서던 정희재는 [[창원 LG 세이커스]]에서 3번([[스몰포워드]]) 포지션으로 바뀌게 된다. LG세이커스는 3번 포지션에 주전급의 선수가 없었던 관계로 슈팅가드인 [[강병현(1985)|강병현]]과 가드진이 3번을 담당하고 있었고 공수에서 LG의 최대 약점이었다. 19-20 시즌 초중반까지 정희재는 팀의 필요에 따라서 3번 4번 포지션을 오가며 경기를 치뤘고 4라운드에 들어서면서 보상선수로 군 복무 중이던 [[서민수(농구선수)|서민수]](3번 4번)의 제대 합류로 강병현은 2번 정희재는 3번 포지션으로 나서고 있다. '''2019-2020 시즌''' [[KBL 올스타전]] 8위를 기록하고 데뷔이후 처음으로 올스타전에 출전했다. '''10/05 LGvs삼성 32'22" 득점 13, 리바운드 11 더블더블''' '''02/02 LGvs전자랜드 24'9" 개인 최다 3P/득점 15(3P 5/6)''' '''02/28 LGvs원주DB 32'02" 한쿼터 개인 최다득점 12, 최다 3P(4/4)''' 3점슛 공동 17위 / 3점슛 성공률(%) 10위 ==== 2020 - 21 시즌 ==== 4번(파워포워드)이 약한 팀 사정상 3번과 4번을 모두 소화한다. 2020년 10월 28일 창원 홈에서 열린 원주 DB 프로미와 경기에서 20분 가량만 뛰면서 20득점 3리바운드로 활약을 펼처 팀의 84:76 승리를 이끌었다. ==== 2022 - 23 시즌 ==== [[파일:정희재230201.jpg|width=500]] == 플레이 스타일 == 기본적으로 언더사이즈 빅맨이지만 센스(BQ)가 좋은 편이다. 준수한 수비력과 함께 탄탄한 체격과 힘으로 공격력을 갖춘 국내 선수 및 외국선수를 잘 막아내는 편. 오펜스에서의 모습은 고려대에서는 포워드로 골밑 플레이와 미들슛이 장점이었다. 프로 구단 [[전주 KCC 이지스|KCC]]에 입단 후에는 4번 포지션으로 주전 [[하승진]]의 백업 역할이었으며 수비 위주의 딱히 뛰어난 부분이 없는 이도저도 아닌 모습이었다. 그러나 상무 제대 후 2018~2019시즌엔 [[하승진]]의 부상으로 출전 시간이 늘어나면서 외곽슛이 많이 성장하였다. 빅맨치고는 3P 성공률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 [[창원 LG 세이커스]]로 구단을 옮긴 현재는 3번 포지션(스몰포워드)으로 LG의 내,외곽 공격에 힘을 보태고 있다. 학창시절 별명은 '코뿔소'였으며 [[전주 KCC 이지스|KCC]]에서 4번 포지션을 할 때는 힘이 좋아서 '힘재'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 였으나 [[창원 LG 세이커스]]로 이적 후에는 포지션 변화로 체중감량을 해서인지 그동안 아쉬웠던 기동력과 탄력이 좋아졌다. 다만 아직도 슛에 기복이 있다. == 역대 프로필 사진 == == 시즌별 성적 == ||<-11>
{{{#0f236a,#94a8f0 역대 성적}}} || || '''{{{#e1c52d 시즌}}}''' || '''{{{#e1c52d 소속팀}}}''' || '''{{{#e1c52d 경기수}}}''' || '''{{{#e1c52d 2점슛}}}''' || '''{{{#e1c52d 3점슛}}}''' || '''{{{#e1c52d 자유투}}}''' || '''{{{#e1c52d 득점}}}''' || '''{{{#e1c52d 리바운드}}}''' || '''{{{#e1c52d 어시스트}}}''' || '''{{{#e1c52d 스틸}}}''' || '''{{{#e1c52d 블록}}}''' || || 2012-13 ||<|7> [[전주 KCC 이지스|KCC]] || 33 || 31/82 [br] (37.80%) || 0/8 [br] (0.00%) || 37/44 [br] (84.09%) || 99 || 52 || 17 || 22 || 3 || || 2013-14 || 6 || 3/5 [br] (60.00%) || 0/1 [br] (0.00%) || 2/2 [br] (100.00%) || 8 || 4 || 2 || 1 || 1 || || 2014-15 || 45 || 41/103 [br] (39.81%) || 22/69 [br] (31.88%) || 22/36 [br] (61.11%) || 170 || 88 || 41 || 27 || 8 || || 2015-16 || 52 || 58/101 [br] (57.43%) || 13/37 [br] (35.14%) || 40/56 [br] (71.43%) || 195 || 118 || 24 || 24 || 8 || || 2016-17 ||<-9> 군 복무([[상무 농구단|신협 상무 농구단]]) || || 2017-18 || 12 || 6/11 [br] (54.55%) || 2/5 [br] (40.00%) || 3/4 [br] (75.00%) || 21 || 11 || 2 || 3 || 0 || || 2018-19 || 51 || 42/85 [br] (49.41%) || 35/99 [br] (35.35%) || 33/51 [br] (64.71%) || 222 || 135 || 43 || 37 || 2 || || '''{{{#ffc600 시즌}}}''' || '''{{{#ffc600 소속팀}}}''' || '''{{{#ffc600 경기수}}}''' || '''{{{#ffc600 2점슛}}}''' || '''{{{#ffc600 3점슛}}}''' || '''{{{#ffc600 자유투}}}''' || '''{{{#ffc600 득점}}}''' || '''{{{#ffc600 리바운드}}}''' || '''{{{#ffc600 어시스트}}}''' || '''{{{#ffc600 스틸}}}''' || '''{{{#ffc600 블록}}}''' || || 2019-20 ||<|2> [[창원 LG 세이커스|LG]] || 42 || 35/70 [br] (50.00%) || 52/145 [br] (35.86%) || 34/45 [br] (75.56%) || 260 || 104 || 29 || 26 || 2 || || 2020-21 || 45 || 47/108 [br] (43.52%) || 47/141 [br] (33.33%) || 44/51 [br] (86.27%) || 279 || 149 || 44 || 36 || 4 || ||<-2> '''[[한국프로농구|KBL]] 통산''' [br] (7시즌) || 286 || 263/565 [br] (46.55%) || 171/505 [br] (33.86%) || 434/1070 [br] (40.56%) || 1254 || 661 || 202 || 176 || 28 || == 여담 == * 책임감에 비해 마음이 여러도 너무 여린 남자다. 낯을 가리면서 고개를 숙이는 모습이 보인다. KCC 시절부터 선배였던 강병현은 그걸 고백했다. * 예의가 바른 사람이다. 홍대부고 재학시 담임을 비롯해 교과 교사와 교생들에게 까지 예의 바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2학년때 교생실습 온 사범대 학생들이 혼란스럽지 않도록 다른 친구들과 이야기하여 수업은 꼬박꼬박 다 들었다. * 마음이 여리고도 여린데 결국 사고(?)를 쳤다. 전 소속팀의 간판 스타였던 [[김종규(농구)|김종규]]를 막지 못하면서 일명 피카츄 사건에 휘말렸다. 이후 이 사건 덕(?)인지 식스맨 출신인데도 데뷔 이후 첫 KBL 올스타전에 출전했다. * [[서울 삼성 썬더스]] 소속의 [[김현수(농구선수)|김현수]]와 친하다고 한다. 중학교 시절부터 알고 지냈고 상무에서도 같이 뛰었다. * 열이 많은 체질이라고 한다. 그래서 가을이나 겨울에 반팔을 이따금 입은 모습이 보인다. * 작곡가 겸 프로듀서인 [[코드 쿤스트]], 야구선수 [[김선빈]]과 생년월일이 같다. * 2011년 정기 [[연고전]]에서 정희재는 팀 득점(67점)의 절반 이상인 35득점 9리바운드로 대학시절 자신의 최고 득점을 기록한다. 그리고 고려대는 3년만에 정기연고전 농구 우승을 되찾게 된다. * 동갑이자 친구인 [[차바위]]는 정희재에 대해 "리더십이 있고 의리가 좋은 친구다. 코트에서는 파이팅이 넘치고 자기가 무엇을 해야 할지 알고 있다. 키가 큰 선수인데도 BQ가 좋다. 그리고 궃은 일을 피하지 않고 언제나 팀을 위해 희생하려고 한다."고 평가했다. * [[홍익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홍대부고]] 시절 주장을 맡았고 고려대 시절에도 팀이 어수선할 때 [[이민형(농구)|이민형]] 감독이 부임하면서 고려대는 재정비에 들어가고 정희재는 주장을 맡게 된다. 대학농구리그 플레이오프 미디어데이에 고려대 대표로 참석한 [[박재현]]은 "정희재 주장을 중심으로 고려대는 강해졌습니다."라고 말했다. 상무에서도 분대장을 했었기 때문에 차기 KCC 주장에 정희재를 꼽는 팬들이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FA로 현주엽과 강병현이 있는 LG로 이적하면서 아쉬움을 금치 못했다. * [[2020년]] [[5월 17일]]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56회에서 영상통화를 통해 사임한 [[현주엽]] 감독에 대한 감사한 마음 전달과 본인이 결혼한다는 소식을 알리면서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정희재는 그해 6월 7일 아시아나항공 승무원인 장성윤 씨와 화촉을 밝혔고, 7개월 뒤인 [[2021년]] [[1월 4일]] 득녀했다. 딸의 이름은 정서안이다. == 역대 프로필 사진 == ||<-3> '''{{{#ffc600 창원 LG 세이커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희재2020-21.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희재2021-22.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희재2022-23.png|width=100%]]}}} || || '''{{{#fff 2020-21 시즌}}}''' || '''{{{#fff 2021-22 시즌}}}''' || '''{{{#fff 2022-23 시즌}}}''' ||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부산 KCC 이지스/선수단]] * [[창원 LG 세이커스/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사상구 출신 인물]][[분류:1989년 출생]][[분류:동래 정씨]][[분류:2012년 데뷔]][[분류:스몰 포워드]][[분류:파워 포워드]][[분류:전주 KCC 이지스/은퇴, 이적]][[분류:창원 LG 세이커스/현역]][[분류:홍익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