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디시인사이드/문화 및 유행어)] [목차] == 개요 == [[뇌절|특정 대상이 반복적으로 보이는 경우]]를 비판하기 위해 생성된 [[밈]]. [[GOAT 드립]]과 [[뇌절]]에 가까울만큼 대상을 숭배하는 면이 비슷하다. 현재는 GOAT 드립과 사실상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아졌다. == 유래 == >[[제기랄]], 또 [[노무현]]이야. 이 게시글만 보고 자려고 했는데, 노무현을 보고 말았어. 이제 나는 웃어야만 해... 웃으면 [[잠]]이 확 깨 버릴 걸 알면서도, 나는 웃어. 그것이 노무현을 목도한 자의 [[사명]]이다. 자, 웃겠어. >---- >[[중세게임 갤러리]] 게시물에 달린 [[https://m.dcinside.com/board/aoegame/22723035|댓글]] [[2023년]] [[디시인사이드]]의 스탠스 중 하나는 반 [[루리웹]] 정서로, 루리웹 회원을 [[근첩]]으로 칭하며 이들을 소탕한다는 명분으로 [[노무현]] 사진을 게시, 무지성 개추 테러로 [[개념글]]에 올리는 일이 빈번했다. 별 이유나 사건 없이 '망갤 테스트', '[[치트키]]' 정도의 제목과 함께 [[뇌절|하루에도 몇 번씩 같은 패턴이 반복]]되자 염증을 느끼기 시작한 유저들이 이를 비꼬기 위해 이런 식의 [[드립]]을 치기 시작한 것. 그런 스탠스가 확산되기 시작하던 시기 [[중세게임 갤러리]]의 [[https://m.dcinside.com/board/aoegame/22723035|댓글]]을 [[싱글벙글 지구촌 마이너 갤러리]]에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inglebungle1472&no=696184|퍼간 게시물]]이 게시됐고 해당 게시물에 달린 [[보이스 리플]]이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까지 가는 등 인기를 끌었다. == 활용 == '[[제기랄]]'을 '[[젠장]]'으로 치환해 사용하는 경우도 많고 중간의 '목도한 자의 [[사명]]'이란 어구만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 [[호날두]] === >[[젠장 또 신두형이야]]. 이 게시글만 보고 자려고 했는데, [[신두형]]을 보고 말았어. 이제 나는 외쳐야만 해..외치면 [[잠]]이 확 깨 버릴 걸 알면서도, 나는 외쳐. 그것이 신두형을 목도한 자의 [[사명]]이다. 자, 외치겠어! [[Siuuuu|SIUUUUUUUU!]] [[리오넬 메시/2022 FIFA 월드컵 카타르|메시의 2022 월드컵 우승]]과 대조적인 [[크리스티아누 호날두/2022-23 시즌|호날두의 부진]]으로 [[GOAT 드립]]과 연계해 호날두를 억지로 숭배하는 [[드립]]이 [[해외축구 갤러리]], [[에펨코리아]]를 중심으로 [[유행어]]가 됐다. === 페이커 === >젠장, 또 대상혁이야. 이 글만 보고 자려고 했는데, 대상혁을 보고 말았어. 이제 나는 숭배해야만 해... 숭배를 시작하면 잠이 확 깨 버릴 걸 알면서도, 나는 숭배해야만 해. 그것이 대상혁을 목도한 자의 사명이다. 자, 숭배를 시작하겠어. 또한 이후 [[페이커]]가 [[2023 롤드컵|2023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LoL e스포츠계의 GOAT임을 다시금 증명하자 [[기습숭배]] 드립과 함께 이 드립이 자주 사용되었다. [[분류:디시인사이드/밈]][[분류:크리스티아누 호날두]][[분류:리그 오브 레전드/밈]][[분류:노무현/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