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분류:유희왕/OCG/튜너]]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제넥스)]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하급 일반 / 튜너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ジェネクス・コントローラー(TW0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일반=, 한글판 명칭=제넥스 컨트롤러, 일어판 명칭=ジェネクス・コントローラー, 영어판 명칭=Genex Controller, 레벨=3,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1400, 수비력=1200, 효과외1=친구들과 마음을 소통할 수 있는\, 흔하지 않은 제넥스 중 하나. 다양한 엘리멘트의 힘을 컨트롤할 수 있다.)] 제넥스 특화 덱을 짠다면 채용하는 싱크로 몬스터에 따라 필수 카드. 후기 시리즈인 [[A·제넥스]]까지 가도 튜너로서 "제넥스 컨트롤러"만을 요구하는 싱크로 몬스터들이 있다. 스페어 제넥스나 리사이클 제넥스, A·제넥스 리모트 등의 대용품도 있지만 이쪽은 [[일반 몬스터]]라 소생이 편하고 속성 / 종족이 좋아 각종 서포트를 받을 수 있다. 리사이클 제넥스를 대용품으로 쓸 경우 어쨌든 이 몬스터가 있어야 한다. 같은 레벨 / 속성에 이름을 베낄 수 있으며 우월한 수비력 + 공격력 500 이하라 [[기계 복제술]]로 전개 가능한 대용품 A·제넥스 리모트가 나와서 살짝 위태로워졌지만, 이쪽은 덱에서도 이름이 "제넥스 컨트롤러"라 [[제넥스 운디네]]를 통해 안전하게 패로 서치하기 쉽다. 게다가 일반 몬스터라 [[예상외]]로 덱에서 소환할 수 있다는 점은 다른 제넥스 튜너에게 없는 장점이다. 물론 그냥 [[리크루트]]가 편한 레벨 3 기계족 튜너로서 제넥스 이외의 덱에서 쓸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는 능력치가 거의 같고 효과가 있는 [[A·O·J|A·O·J 싸이크론 크리에이터]]나 [[A·제넥스 버드맨]]이 있고, 특히 버드맨은 "제넥스"란 이름까지 갖고 있으므로 일반 몬스터란 점으로 차별화해야 한다. 일반 몬스터 튜너 중에선 가장 쓸만해서 일반 몬스터에 중점을 둔 덱이라면 채용을 고려해볼 만하다. 레벨 3 이하 일반 몬스터를 주축으로 하는 [[로우 레벨]] 덱에선 이 두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카드라 [[싱크로 소환]]을 통해 타점을 높이는 데 있어 유용하다. 한동안 제넥스의 필수 카드였음에도 불구하고 [[숨겨진 세력]]에서 DT2만 빠져 있어서 한글판이 없었다. 그런 주제에 "제넥스 컨트롤러"란 이름이 이런저런 카드에서 언급돼서 실물은 없는데 한글판 명칭만 정해져 있는 상태였고, 2012년에서야 [[익스팬션 팩]] 4에서 [[시크릿 레어]]로 수록됐다. 이때만 해도 별 실속이 없었지만, 난데없이 [[해황(유희왕)|해황]][[머메일]]이란 탑 클래스 강덱이 출연하고 이 덱에 [[제넥스 운디네]]가 대량으로 투입되면서 자연 이 카드도 해황머메일 덱에 2장 정도 채용됐다. 그 결과 별 볼일 없었던 이 카드의 수요가 폭증, 끝내 '''일반 몬스터 주제에''' 제넥스 운디네와 함께 익스팬션 팩 4의 최고가 카드가 됐다. 다만 이 카드 자체는 해황머메일 덱과 속성도 종족도 시너지가 없어서 별 도움이 안 되고, 오로지 제넥스 운디네의 효과 발동용으로 덱에 있어야 해서 채용되는 미묘한 취급이다. 이 카드가 제넥스 운디네보다 빨리 패에 안 잡히게 하려고 덱 장수를 늘리는 경우까지 나왔으니… 이후 노멀로 재록되면서 가격이 안정됐다. [[링크 소환]]이 도입되고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의 링크 소환 소재로 쓸 수 있어서 입지가 좀 더 상승했다. 성능과 무관한 점으로, 일본어판 [[플레이버 텍스트]]가 독특하다. 마지막 문장을 보면 평범하게 できる(~할 수 있다)가 아니라 できる'''ぞ'''(할 수 '''있다고''')라고, 약간 더 가볍고 타인에게 말하는 듯한 어투다. 초기 일반 몬스터나 마법 카드에서나 볼 수 있던 독특한 텍스트. 처음엔 이 카드의 이름인 "제넥스 컨트롤러" 자체가 카드의 이름 카테고리로 지정되어 있었다. 초판 제넥스 가이아의 텍스트에 "제넥스 컨트롤러"라는 이름이 붙은~ 이란 부분이 있기 때문. 그러니까 만약 '네오 제넥스 컨트롤러'나 '제넥스 컨트롤러 Mk-Ⅱ' 같은 카드들이 나왔다면 저 이름 카테고리 안에 포함된다는 이야기. 그러나 실제로 "제넥스 컨트롤러"란 이름이 붙은 카드는 한동안 [[니트로 싱크론|이 카드뿐이었다]].[* 이후 2023년에 추가 지원으로 '리페어 제넥스 컨트롤러'가 추가되면서 유일한 카드는 아니게 되었다.] 이후 제넥스 가이아의 텍스트가 그냥 '''"제넥스 컨트롤러" 1장'''으로 [[에라타]]되면서 카드의 이름 카테고리로서의 "제넥스 컨트롤러"는 사라졌다. [[머신 디벨로퍼]]의 일러스트를 보면 쓰다가 망가져도 A·제넥스 리모트로 재활용할 수 있는 것 같다. 실제로 A·제넥스 리모트는 효과로 이름이 "제넥스 컨트롤러"가 될 수 있고, 이름도 비슷하다. [[최후의 동조]]의 일러스트에선 로봇인데 눈물을 흘린다. 나중엔 [[A·O·J]] 측의 기술자에 의해 스스로 사고하는 능력을 제거당한 채 [[A·O·J 디사이시브 암즈]]의 제어 중추로 쓰였다. 결국 [[벨즈|벨즈 코페리얼]]로 변해 다리를 잃은 [[레알 제넥스|레알 제넥스 크로키시언]]을 타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난데없이 슬픈 결말을 맞은 몬스터.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크리스트론]] 덱에서 제넥스 운디네의 덤핑 능력을 활용하기 위해 쓰였다. 크리스트론 덱이 1년 정도나 티어권을 유지하자 [[스크랩 리사이클러]], [[크리스트론|크리스트론-시트리]]와 함께 2020년 12월 15일에 제한 2가 되면서 '''최초로 듀얼링크스 금제 리스트에 오른 일반 몬스터'''[* 엑조디아 파츠는, 덱 매수가 최소 20장인 듀링 환경 밸런스 문제로 카드 자체가 실장되지 않았고, 따라서 금제 역시 받지 못했다. 현재는 특정 스킬로만 덱에 1장씩 자동으로 추가되는 게 전부다.]가 됐다. 이 카드 자체는 크리스트론 덱을 보면 알겠지만 거의 안 쓰이기에, 사실상 제넥스 운디네의 채용률을 낮추기 위해 적용된 금제다. 제넥스 운디네는 듀얼링크스 상점에서 보석으로 구매하는 박스의 UR 카드인데, 이런 UR 카드를 3제가 아니면 절대로 안 올리는 코나미 특성과 3제를 먹이면 아무 의미 없는 금제가 될 제넥스 운디네라 애꿎은 이 카드가 제재를 받은 듯하다. 덕분에 엑조디아 4개의 파츠와 더불어서 금제 리스트에 있는 일반 몬스터가 되었다. 이후 전체적으로 인플레가 풀리자 금제에서 다시 풀려났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8-06-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T02-JP009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ワームの侵攻!!」]]'''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2-06-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TC1-JP027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クロニクルⅠ 「覚醒の章」]]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8-01-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18TP-JP102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18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11-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40-JP018 | [[동옥의 빙결계|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凍獄の氷結界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11-2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TW01-JP054 | [[터미널 월드(부스터 팩)|TERMINAL WORL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0-01-2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T01-EN059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0-05-1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TSHD-EN090 | [[빛나는 어둠|THE SHINING DARKNES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1-02-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FC-EN019 | [[동옥의 빙결계|STRUCTURE DECK: FREEZING CHAIN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04-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SP4-KR053 | '''[[익스팬션 팩|익스팬션 팩 Vol.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8-05-0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AE12-KR016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8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1-03-0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40-KR018 | [[동옥의 빙결계|스트럭처 덱 동옥의 빙결계]]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관련 카드 == === 싱크로 몬스터 === 제넥스 컨트롤러를 싱크로 소재로 지정하는 싱크로 몬스터 일람. * [[제넥스#A·제넥스 트라이암|A·제넥스 트라이암]] * [[제넥스#서멀 제넥스|서멀 제넥스]] * [[제넥스#윈드 팜 제넥스|윈드 팜 제넥스]] * [[제넥스#지오 제넥스|지오 제넥스]] * [[제넥스#하이드로 제넥스|하이드로 제넥스]] === 기타 관련 카드 === * [[제넥스#A·제넥스 리모트|A·제넥스 리모트]] * [[제넥스#리페어 제넥스 컨트롤러|리페어 제넥스 컨트롤러]] * [[벨즈#벨즈 코페리얼|벨즈 코페리얼]] * [[제넥스#스페어 제넥스|스페어 제넥스]] * [[제넥스#제넥스 가이아|제넥스 가이아]] * [[제넥스#제넥스 닥터|제넥스 닥터]] * [[제넥스 운디네]] * [[제넥스#제넥스 히트|제넥스 히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