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휴스턴 애스트로스/로스터)] ---- ||
'''{{{#FFFFFF 제레미 페냐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휴스턴2022우승로고.png|height=70]][br]'''MLB 월드 시리즈[br]우승반지''' || || '''[[2022년 월드 시리즈|{{{#eb6e1f 2022}}}]]'''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85, #ED174B)" [[2022년 월드 시리즈|[[파일:2022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2022년 월드 시리즈|{{{#FFFFFF 2022년 월드 시리즈}}}]] 윌리 메이스 상}}}'''}}} || || [[호르헤 솔레어]][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제레미 페냐[br]([[휴스턴 애스트로스]])''' || → || [[코리 시거]][br]([[텍사스 레인저스]])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2022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ffffff 2022년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MVP}}}''' || || [[요르단 알바레즈]][br]([[휴스턴 애스트로스]]) || → || '''제레미 페냐[br]([[휴스턴 애스트로스]])''' || → || [[아돌리스 가르시아]][br]([[텍사스 레인저스]])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유격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카를로스 코레아]][br]([[휴스턴 애스트로스]]) || → || '''제레미 페냐[br]([[휴스턴 애스트로스]])''' || → || [[앤서니 볼피]][br]([[뉴욕 양키스]]) || ---- ||<-5> '''{{{#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3번}}}''' || || [[마일스 스트로]][br](2020~2021) || {{{+1 →}}} || '''{{{#000000 제레미 페냐[br](2022~)}}}'''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eremy-pena.jpg|width=100%]]}}} || ||<-2> '''휴스턴 애스트로스 No.3''' || ||<-2> '''{{{#000000 {{{+2 제레미 페냐}}}[br]Jeremy Peña}}}''' || || '''본명''' ||제레미 조안 페냐[br]Jeremy Joan Peña || ||<|2> '''출생''' ||[[1997년]] [[9월 22일]] ([age(1997-09-22)]세) || ||[[산토도밍고]]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도미니카 공화국)] || || '''학력''' ||클래시컬 고등학교 - [[메인 대학교]] || || '''신체''' ||183cm / 91kg || || '''포지션''' ||[[유격수]][* 수비력을 생각한다면 [[2루수]]와 [[3루수]]도 무난히 소화 가능할 것으로 여겨지지만 프로에서는 아직까지는 [[유격수]]로 자리잡는 중이다.]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5 MLB 신인드래프트|2015년 드래프트]] 39라운드 (전체 1170번, [[애틀랜타 브레이브스|ATL]])--[br][[2018 MLB 신인드래프트|2018년 드래프트]] 3라운드 (전체 102번, [[휴스턴 애스트로스|HOU]]) || || '''소속팀''' ||'''[[휴스턴 애스트로스]] (2022~)''' || || '''계약''' ||1yr / $754,900 || || '''연봉''' ||2023 / $754,900 || || '''가족''' ||아버지 [[제로니모 페냐]] || || '''SNS''' ||[[https://www.instagram.com/jpena221/|[[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pena221,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휴스턴 애스트로스]] 소속 내야수. == 선수 경력 == === [[휴스턴 애스트로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eqfw0gygluyx36n4afc.jpeg.jpg|width=100%]]}}} || 만 12세에 로드아일랜드 주로 이사하였고, [[뉴욕 양키스]]의 팬으로 자랐다고 한다.[* 트라이아웃 당시 페냐의 체구가 너무 작은 것을 본 양키스 스카우터들은 페냐를 잡기를 포기했었다. 이후는 잘 알다시피 페냐는 메인 대학교를 거쳐 벌크업에 성공하며 휴스턴에 지명되었고, 양키스와 맞붙은 [[2022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MVP에 뽑히며 완벽한 복수에 성공했다.] [[로드아일랜드]] 주의 클래시컬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메인 대학교]]에 진학한 페냐는 [[2018 MLB 신인드래프트|2018년 드래프트]]에서 3라운드 지명을 받고 휴스턴에 입단했다. ==== 2022 시즌 ==== [[카를로스 코레아]]가 떠난 유격수 자리에 주전으로 낙점되어 메이저 리그에 입성했고 2경기 만에 데뷔 첫 안타와 홈런을 때려냈다. 팀이 23경기를 치른 시점에 코레아에 버금가는 수비범위와 .212/ .292/ .468 wRC+ 127의 준수한 공격력으로 코레아의 공백을 메우면서 팀에 승리를 기여해주고 있다. 시즌 최종 성적은 136경기 .253/.289/.426 132안타 22홈런 72득점 63타점 11도루 wRC+ 102 fWAR 3.4 bWAR 4.8. 시즌 초반 엄청난 홈런 페이스로 신인왕을 노려볼 정도였지만[* 물론 최종 성적 자체도 신인왕급이지만, 이 해에 하필 [[애들리 러치맨]]과 [[훌리오 로드리게스]]가 데뷔하는 바람에 신인왕 수상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점차 자연스럽게 성적이 떨어지며 22홈런으로 마무리했다.[* 22홈런을 때린 것 치고는 OPS와 wRC+가 생각보다 낮은데, 이는 스탯에서 알 수 있듯이 순출루율이 극악이기 때문이다.] 20-21년 마이너에서 고작 37경기에 출장했기에 후반기 체력 저하는 어찌보면 당연한 수순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래도 마지막 7경기에서 .357/.357/.750 3홈런으로 살아나는 모습을 보여줬기에 다가오는 포스트시즌에서의 기대를 높였으며 코레아의 빈자리를 잘 채워주었다. [[2022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 3차전 연장 18회 초에 0:0 균형을 무너뜨리는 솔로홈런을 때려내며 팀이 시리즈를 승리하는데 일등공신이 되었다. [[2022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는 무려 '''시리즈 MVP'''에 선정되는 기염을 토했다. 또한 [[2022년 월드 시리즈]] 3차전을 앞두고 AL 유격수 골드 글러브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신인 선수로는 최초 선정되었다.] 월드 시리즈 5차전에서 1회 선제 적시타, 4회 결승 솔로홈런 등 3안타 맹활약을 하면서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이 날 홈런은 월드 시리즈에서 홈런을 기록한 최초의 신인 유격수가 되었다. 월드 시리즈 6차전에서도 안타를 기록하며 신인 유격수 최초 월드 시리즈에서 6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한 선수가 되었다. 이 안타를 기점으로 [[잭 휠러]]가 강판되면서 뒤이어 나온 [[요르단 알바레즈]]의 역전 쓰리런의 발판이 되었고, 팀은 우승을 차지했다. 페냐는 25타수 10안타 타/출/장 0.400/0.600/1.023 의 엄청난 활약으로 2022년 윌리 메이스 상[* 월드 시리즈 MVP.]을 타냈다. 1997년 투수 [[리반 에르난데스]] 이후 25년 만에 신인 선수로 동일 시즌 챔피언십 시리즈와 월드 시리즈 MVP를 석권한 선수가 됐다. ==== 2023 시즌 ==== 스프링캠프에서 벌크업한 모습을 보였는데 팬들은 약빤게 아니냐 할 정도로 엄청나게 벌크업했다.[[https://m.dcinside.com/board/majorleague/591046|#]][[https://m.dcinside.com/board/majorleague/591079|#]] [[링웜]] 드립도 나오는 중이다. ALCS MVP와 [[2022년 월드 시리즈]]에서 윌리 메이스 상까지 획득한 활약에 힘입어, 3월에 열리는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도미니카 공화국 야구 국가대표팀]] 주전 유격수로 출전했으나 팀은 1라운드에서 광탈하였다. 이후 시즌 초에는 작년과 같은 모습을 보이지는 못하고 있다. 서번트에서 주력을 제외하면 다 좋지 않은데, 수비마저도 작년에 비해 한참 떨어지는 모습이다. 영 부진하다 보니 위의 약물 의혹도 거의 사라진 상황이다. 그러나 가을이 되니 본능이 깨어난 건지 귀신같이 몰아치며 스탯을 부리나케 회복하는 중이다. 하지만 막상 포스트시즌에서는 또 신통치 않은 모습으로 주로 8번 타자로 나오는 중. 그리고 팀은 [[2023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탈락하며 페냐도 2023 시즌을 살짝은 아쉽게 끝마쳤다. == 플레이 스타일 == [[하비에르 바에즈]]와 비슷한 유형의 5툴 플레이어로, 타격에서는 선구안이 나쁘지만[* 특히 바깥쪽으로 빠지는 브레이킹볼에 약점을 보인다. 나쁜 선구안 때문에 볼넷이 많이 없는지라 순출루율이 매우 끔찍하게 낮다.] 컨택과 파워[* 마이너 시절 20-80 스케일에서 40을 받을 만큼 나빴지만 빅리그 와서 웨이트를 하며 덩치가 불었고 파워가 강해졌기에 현재는 최소 55 정도로 봐야 한다. 마치 [[랜디 아로자레나]]와 비슷한 사례인 듯 하다.]에서 만회하는 유형의 배드 볼 히터이다. 수비 역시 뛰어난 운동 능력을 바탕으로 호수비를 자주 만들어 내며, 2022 아메리칸 리그 골드 글러브에 선정될 정도로 수비 능력이 좋다. 수비력은 [[20-80 스케일]] 기준 60[* 플러스 등급, 메이저리그 상위권.]을 받았었을 만큼 애초에 유망주 시절부터 수비형 유격수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었던 타입이다. == 수상 내역 == || '''수상''' || ||[[파일:MLB 로고.svg|width=20]] '''[[월드 시리즈]] 우승 ([[2022년 월드 시리즈|2022]])''' [br] [[파일:MLB 로고.svg|width=20]] '''윌리 메이스 상 ([[2022년 월드 시리즈|2022]])''' [br]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챔피언십 시리즈]] MVP ([[2022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2022]])''' [br]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아메리칸 리그]] 유격수 [[골드 글러브]] (2022)''' || == 연도별 기록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제레미 페냐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2 ||<|2> [[휴스턴 애스트로스|HOU]] || 136 || 558 || 132 || 20 || 2 || 22 || 72 || 63 || 11 || 22 || 135 || .253 || .289 || .426 || .715 || 3.4 || 4.9 || || 2023 || 150 || 634 || 152 || 32 || 3 || 10 || 81 || 52 || 13 || 43 || 129 || .263 || .324 || .381 || .705 || 2.8 || 3.8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2시즌)''' || 286 || 1192 || 284 || 52 || 5 || 32 || 153 || 115 || 24 || 65 || 264 || .259 || .307 || .403 || .710 || 6.2 || 8.7 || == 여담 == * 아버지는 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2루수]]였던 [[제로니모 페냐]][* 1967년생.]로, 1990년부터 1996년까지 메이저리그에서 뛰었던 바 있다. [[커트 실링]]에 의하면 포텐셜만큼은 40-40을 찍을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받던 선수였으나, 불의의 쇄골 부상으로 인해 커리어를 일찍 접어야 했다고. 이러한 점은 [[페르난도 타티스 시니어]]와 비슷한 부분이기도 하다. * 공교롭게도 팀 선배였던 [[카를로스 코레아]]랑 생일이 같다. 다만 데뷔는 코레아보다 훨씬 더 늦은 나이에 했다.[* 이는 코레아가 오랫동안 휴스턴의 유격수 자리에 알박기를 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다른 내야 포지션으로 가려고 해도 일찌감치 노예계약으로 묶인 [[알렉스 브레그먼]], [[호세 알투베]]라는 거물급 선수들이 있었기에 이들을 내칠 수도 없는 상황이라 페냐는 [[짐 토미]]에 의해 마이너리그에 강제로 눌러앉은 [[라이언 하워드]]처럼 마이너리그에 머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 [[가레스 베일]]마냥 손 하트 세레모니를 한다. * 상당한 미남이다. 또한 어그로로 인해 이미지가 나락을 간 전임 코레아와는 다르게 대외적 이미지도 훌륭한 편이고 가을야구에서도 엄청난 활약으로 본인의 이름을 아로새겼다. *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이지만 청소년기에 미국으로 이민와서 드래프트로 입단했다. [각주] [[분류: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분류:야구 선수 자녀]][[분류:1997년 출생]][[분류:2022년 데뷔]][[분류:산토도밍고 출신 인물]][[분류:메인 대학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휴스턴 애스트로스/현역]][[분류:도미니카 공화국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월드 시리즈 MVP]][[분류:챔피언십 시리즈 MV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