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공개, 대상=게임, 주제='소닉 더 헤지혹 신작', 회사=세가)] [include(틀: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2>
{{{#ffffff '''{{{+1 제목 미정의 소닉 시리즈 신작}}}'''[br]Untitled Sonic Series' New gam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 || '''개발''' ||[[소닉 팀]] || || '''유통''' ||[[세가 게임즈]] || || '''프로듀서''' || - || || '''디렉터''' || - || || '''플랫폼''' || - || || '''ESD''' || - || || '''장르''' ||미정 || || '''출시''' ||[[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미정 || || '''한국어 지원''' || - || || '''심의 등급''' || - || [목차] [clearfix] == 개요 == 개발 진행 중인 '''3세대'''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차기작을 다루는 문서. == 발매 전 정보 == === [[2023년]] === * [[소닉 시리즈]]의 디렉터인 [[키시모토 모리오]]는 자신의 SNS[* 팬들과의 소통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개설된 [[키시모토 모리오]]의 개인 SNS 계정으로 사적 활동을 제외한 모든 소닉 관련 정보는 [[세가]]의 검수를 거치고 있다.]를 통해 전작 프론티어에 대한 의견을 검토하고 답변을 하는 과정에서, 차기작에 대한 내용을 일부 밝혔다. [[https://twitter.com/moq_46?t=8zHQrhbKP-ppHOCNsztHlA&s=09|자료]] * [[소닉 프론티어]]의 '오픈존'은 아직 완성된 형태가 아니며, 다음 작품을 위한 실험을 통해 보다 완전한 형태로 만들 계획이라고 한다.[* 덧붙여 [[소닉 프론티어]] 이후 세대 구분을 재정립하면서 새로 마련된 '3세대'의 정의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결정적인 이유가 있으며, (결정적 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을) 때가 되면 밝힐 것이라고 하였다. [[https://twitter.com/moq_46/status/1624579964883599360|#]]] * [[소닉 프론티어/무료 대규모 업데이트#s-2.3|소닉 프론티어 대규모 무료 업데이트]]를 시작으로, 팬들이 작성한 피드백 중 가장 주목하는 의견을 섭렵하여 이를 차기작의 실험적 요소로 활용할 것임을 밝혔다. [[https://twitter.com/moq_46/status/1616627196784967680?t=5wV6xWSeEfllG8O80COQQQ&s=19|#]] * 후술할 내용으로, 차기 시리즈의 예산 증가와 [[소닉 팀]] 자체의 개발 인력 완화로 인해 300명 이상의 프로젝트 개발진 참여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으며, 따라서 다음 작은 [[AAA 게임]]에도 목표를 둘 것이라고 했다. [[https://twitter.com/moq_46/status/1661172037379846144?t=kvndWGn3CSY-16X3AQ0cRw&s=19|#]] [[https://twitter.com/moq_46/status/1626906077362290690?t=s9j4_DkWa5ngCyLD8ED_dQ&s=19|#]][* 마지막으로 고예산으로 제작된 것으로 확인되는 메인 시리즈 작품은 '''[[소닉 언리쉬드]]'''. 그간 [[세가 사미]]의 구조 조정과 [[소닉 로스트 월드]]의 흥행 부진으로 인해 인력과 기대 예산이 대폭 축소되었던 [[소닉 팀]] 내부 환경에 개선이 이루어졌음을 간접적으로 나타낸다.] * 최근 [[세가]]의 [[주주]]와의 인터뷰에서 [[소닉 프론티어]]의 실적 평가와 프로모션 전략, 향후 타이틀 계획을 밝혔다. [[https://tailschannel.com/sonic-the-hedgehog/frontiers/sega-sonic-frontiers-qa/|자료]] * 글로벌 외부 환경[* [[4월 25일]]부터 [[세가]]를 상대로 '기본 개발 환경을 개선시키자'라는 취지로 결성된 [[https://twitter.com/takesAEGIS/status/1678481056520101889?t=-P1fgsPyvhgqT9ROvbkZHw&s=19|#UnionizeSEGA 라는 노동조합 캠페인]]이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7월 11일에 공식적으로 수락되었다.]의 영향으로 개발 인건비가 상승하는 추세에 잇달아 신작의 개발비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 주주는 [[소닉 프론티어]]에 대해 본래 목표를 아쉽게 달성하지 못했으나[* [[메타 크리틱]], [[오픈크리틱]]을 포함한 다양한 전문 평론가에게 높은 점수를 따내는 것.] 높은 판매량 달성 및 최고점을 기록한 유저 평가 등 긍정적인 성과를 보인 것에 호평을 내렸다. 그 외에도 [[세가]]의 주요 IP인 [[소닉 시리즈]]의 차기 타이틀의 '도전적인 실험'의 필요성와 훌륭한 퀄리티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초 연구 단계에서 더 많은 예산을 들여 제작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 소닉 시리즈 총괄 프로듀서였던 [[이이즈카 타카시(게임 개발자)|이이즈카 타카시]]가 소닉 크리에이티브 책임자, 즉 '''소닉 시리즈의 CCO'''라는 새로운 직함을 받고 세가 내 임원으로 승진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https://board.sonicstadium.org/news/sega/takashi-iizuka-promoted-with-new-title-in-sega-sammy-executive-shake-up-r274/|#]] [[소닉 컬러즈 얼티밋]], [[소닉 오리진스]], [[소닉 프론티어]] 등 최근 출시한 게임들이 세가 윗선에 휘둘려 제대로 된 개발환경을 보장받기 어려웠던 점을 생각해볼 때 소닉 팀의 수장인 이이즈카가 임원으로 승진하고 소닉 담당 직책이 개설된 점은 신작 개발에 있어서도 상당히 고무적이라 볼 수 있다.[* 과거 라이벌이었던 슈퍼 마리오의 아버지 [[미야모토 시게루]]가 닌텐도 사의 임원으로서 파워가 상당했고, 그의 보호 하에 개발팀이 휘둘리지 않고 지금의 위상을 얻는 원동력이 되었기에 이이즈카가 소닉 담당자로서 세가 내 임원으로 승진한 건 팬들 뿐만 아니라 개발팀에게도 희소식이다.] * [[9월 29일]] 공개된 소닉 프론티어의 마지막 업데이트인 [[소닉 프론티어/무료 대규모 업데이트#s-2.3.|대규모 무료 업데이트 제3탄 '최후의 결전']]에서 차기작 개발을 위한 실험적 요소로 추정되는 요소가 다수 추가되었다. 추가 업데이트를 빌미 삼아 작게는 사소한 단점을 개선하였고, 크게는 꽤 참신하고 도전적인 아이디어를 과감히 시도하여 대부분의 시스템을 정립하였다는 점에서 차기작의 실험작으로서 더할 나위 없이 충분하다는 평을 받았다. * 360도 루프 등 대개 자동 연출로 사용된 일부 구간들을 부분적으로 직접 조작할 수 있게 되었다. * 스테이지 레벨 디자인은 [[클래식 소닉]]와 [[소닉 어드벤처]] 시리즈처럼 복잡하고 다양한 루트를 제시하였으며, [[스핀 대시]] 등 모멘텀을 본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간을 대폭 늘려 다음 작품의 스테이지 디자인을 정립하였다. * 추가 [[전뇌 공간#s-3.1]]의 경우, 최고 속도를 유지함으로써 업그레이드된 부스트를 보상하는 4-G의 '스피드 미터' 시스템, 일시적으로 [[소닉 언리쉬드]] ~ [[소닉 제너레이션즈]]에서 정립한 정석적인 '부스트'를 활성화할 수 있는 '로켓 부스트' 기믹 등 [[소닉 프론티어]] 본편에서는 등장한 적 없는 일신된 기믹을 추가하였다. == 기타 == * [[소닉 프론티어]] 이후로 여러 문제점들이 해소되고 시리즈도 회복세에 들어서게 되면서, 진정으로 '''전성기를 맞이할 만한 작품'''을 만들어낼 지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5>
'''{{{#white 소닉 메인 시리즈}}}''' || || [[소닉 프론티어]] || → || [[소닉 슈퍼스타즈]]|| → || '''미정'''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전뇌 공간, version=232)] [[분류: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분류:공개 전 정보(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