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테마]][[분류:유희왕/러시 듀얼/갤럭시족]][[분류:유희왕/러시 듀얼/사이버스족]][[분류:유희왕/러시 듀얼/필드 마법]][[분류:유희왕/러시 듀얼/함정 카드]] [include(틀:유희왕/러시 듀얼/테마)] ||<:><-3><#000000>'''{{{#!html게임별 제왕}}}''' || || [[제왕(유희왕)|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 || '''유희왕 러시 듀얼'''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to right, #F3EF83, #FFFFFF, #BD7EB3)" '''{{{#!html 제왕}}}'''}}} || ||<-6><:><#fff,#191919>{{{#!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엠페러 렐름 일러스트.png|width=100%]][br],,[[엠페러 렐름|{{{#000 엠페러 렐름}}}]],,}}}|| || '''{{{#!html한국판 명칭}}}''' ||<-5><#fff,#191919> '''제왕''' || || '''{{{#!html일본판 명칭}}}''' ||<-5><#fff,#191919> '''[ruby(帝, ruby=てい)][* 몬스터 카드의 경우.]''' / '''[ruby(帝王, ruby=ていおう)][* 함정 카드의 경우.]''' || || '''{{{#!html영어판 명칭}}}''' ||<-5><#fff,#191919> '''Monarch''' (미발매)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1><#fff,#191919> [[유희왕 러시 듀얼/속성|다양]] ||<-2><^|1><#fff,#191919> [[유희왕 러시 듀얼/종족|다양]] ||<-2><^|1><#fff,#191919> 효과[br]'''[[유희왕 러시 듀얼/룰/소환#어드밴스 소환|어드밴스 소환]]'''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희왕 러시 듀얼]]의 테마. OCG의 [[제왕(유희왕)|동명 테마]]를 모티브했지만, 원판에 없었던 사이버스족/갤럭시족 제왕이 등장한 것이 특징. OCG 출신 제왕들은 전부 레전드 카드 사양으로 등장한다. 가신 및 [[번개 제왕 자보르그(유희왕 러시 듀얼)|자보르그]]를 제외한 OCG 출신 오리지널 제왕들 이외에는 전부 파괴 효과가 있는것이 특징이며, 8레벨의 제왕들은 상급 이상의 제왕 1장만으로도 어드밴스 소환 가능하다. 에이스가 되는 8레벨의 제왕들은 노코스트 파괴라는 강력한 효과를 가지지만 선택권을 상대에게 주기 때문에 사전에 적극적으로 상대의 카드를 파괴하여 선택지를 좁히는 플레이가 요구된다. 상대에게 선택권을 주기 때문에 심리전이 중요한 것도 특징이다. OCG의 제왕들과는 다르게 상급 제왕은 공격력이 2000, 최상급 제왕은 2400인 것도 특징. 필드 마법을 사용하면 OCG의 제왕들처럼 2400, 2800이 될 수 있다. 가신들은 OCG처럼 능력치가 800/1000인 것도 재현해놓았다. [[유희왕 고 러시!!(코믹스)|유희왕 고 러시!! 코믹스]]에서는 [[더☆세츠리]]가 사이버스족 제왕 시리즈를 사용했다. == 설명 == == 효과 몬스터 == === 갤럭시족 === ==== 황성 제왕 에스트롬 ==== || [[파일:煌星帝エストローム(KP13).jpg|width=100%]] || [[파일:煌星帝エストローム.jpg|width=100%]] || || [[오버 러시 레어]] || [[울트라 레어]]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황성 제왕 에스트롬, 일어판명칭=煌星帝(こうせいてい)エストローム, 영어판명칭=Estrome the Mega Monarch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8, 공격력=2400, 수비력=1000, 종족=갤럭시족, 효과외=이 카드는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5 이상 / 수비력 1000) 1장을 릴리스하고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다., 조건=이 카드를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는 자신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른다. 자신은 그 카드 이외의 자신 또는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상대가 선택한 것 이외에는 아무거나 파괴 가능하기 때문에 파괴의 범위는 넓다. 다만 분명 상대는 제일 중요한 카드를 지킬 것이기에 파괴의 효력이 크지 않을 수 있음은 주의. 상대 필드에 카드가 1장 뿐이라면 효과를 발동해도 자기 카드만 날아가니 그때는 빌헬을 사용하자.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v0FiNjaUAIr3jA.jpg|width=100%]]}}} || || [[https://twitter.com/YuGiOh_RUSHDUEL/status/1657219110860906496|설정화]] || ||수록 시리즈 || ||<(> 2023-05-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3-JP019 | '''[[섬광의 오블리비언|閃光のオブリビオン]]'''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ORR)] || ==== 성 제왕 에스트롬 ==== [[파일:星帝エストローム.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성 제왕 에스트롬, 일어판명칭=星帝(せいてい)エストローム, 영어판명칭=Estrome the Star Monarch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5, 공격력=2000, 수비력=1000, 종족=갤럭시족, 조건=이 카드를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효과 몬스터(레벨 6 이하)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효과는 괜찮으나 레벨 7 이상은 파괴 불가능하다. 상대 몬스터의 레벨을 낮추는 카드와 같이 쓰거나, 단순히 최상급 제왕들의 포석으로서 상대의 선택지를 줄이는 용도로 쓰면 좋을 듯. ||수록 시리즈 || ||<(> 2023-05-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3-JP017 | '''[[섬광의 오블리비언|閃光のオブリビオン]]'''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성 제왕가신 헤베 ==== [[파일:星帝家臣ヘーベ.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성 제왕가신 헤베, 일어판명칭=星帝家臣(せいていかしん)へーべ, 영어판명칭=Zuse the Wisdom Vassal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4, 공격력=800, 수비력=1000, 종족=갤럭시족,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자신 묘지의 몬스터(수비력 1000) 2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는 자신 묘지의 효과 몬스터(레벨 6 이하)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은 자신 묘지의 몬스터(레벨 5 이상 / 수비력 1000)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상대와 어드벤티지를 교환하는 효과. 5 레벨의 에스트롬을 가져온다면 상대가 가져온 몬스터를 바로 파괴 가능하고, 8 레벨의 에스트롬 혹은 자보르그를 가져온다면 상대에게 적은 레벨의 몬스터를 던져주는 대신 자신은 상대의 강력한 카드를 파괴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통 계열의 카드와 같이 쓴다면 상대의 강한 몬스터를 돌파 못하는 상황에서 상대를 때릴 곳도 마련할 수 있을 듯. ||수록 시리즈 || ||<(> 2023-05-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3-JP015 | '''[[섬광의 오블리비언|閃光のオブリビオン]]'''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사이버스족 === ==== 재현 제왕 빌헬 ==== || [[파일:才賢帝ヴィルヘル(KP13).jpg|width=100%]] || [[파일:才賢帝ヴィルヘル.jpg|width=100%]] || || [[오버 러시 레어]] || [[울트라 레어]]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재현 제왕 빌헬, 일어판명칭=才賢帝(さいけんてい)ヴィルヘル, 영어판명칭=Wilhel the Mega Monarch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400, 수비력=10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이 카드는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5 이상 / 수비력 1000) 1장을 릴리스하고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다., 조건=이 카드를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는 자신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른다. 자신은 그 카드를 파괴한다.)] 상대가 지정한 카드를 파괴하므로 상대 필드에 카드가 많다면 분명 필요없는 카드를 희생할 것이다. 사전에 상대의 카드를 많이 줄인 다음에 효과를 써보자. 상대 필드에 카드가 1장 뿐이라면 사실상 확정 파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vwZndUaAAAKLcq.jpg|width=100%]]}}} || || [[https://twitter.com/YuGiOh_RUSHDUEL/status/1657324807803764736|설정화]] || [[유희왕 고 러시!!(코믹스)|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더☆세츠리]]가 [[오도 유히]]와의 듀얼 중 사용. 현 제왕 빌헬 1장을 릴리스하고 어드밴스 소환된 직후 [[조인테크 렉스]]를 파괴시키고 직접 공격했다. 세츠리는 어드밴스 소환 위의 어드밴스를 실행하는 이 카드를 진화하는 어드밴스라 표현했지만, 이를 맞받아치는 유히의 [[조인테크 히어로]]에게 파괴당하면서 퇴장, 그리고 나머지 몬스터들의 일제 공격으로 세츠리가 패배하게 되었다. 공격명은 '메가 히트 브레이크(メガヒートブレイク)'. ||수록 시리즈 || ||<(> 2023-05-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3-JP018 | '''[[섬광의 오블리비언|閃光のオブリビオン]]'''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ORR)] || ==== 현 제왕 빌헬 ==== [[파일:賢帝ヴィルヘル.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현 제왕 빌헬, 일어판명칭=賢帝(けんてい)ヴィルヘル, 영어판명칭=Wilhel the Wisdom Monarch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5, 공격력=2000, 수비력=1000, 종족=사이버스족, 조건=이 카드를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뒷면 표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확인한다. 그 카드가 마법 카드였을 경우\, 추가로 그 카드를 파괴할 수 있다.)] 후열을 건드릴 수 있는 효과. 함정이라면 파괴 못하지만 정보를 얻었으므로 대책을 세울 수 있다. 마법을 파괴하는 경우에도 다음 턴 상대의 전략을 줄일 수 있으므로 좋다. ||수록 시리즈 || ||<(> 2023-05-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3-JP016 | '''[[섬광의 오블리비언|閃光のオブリビオン]]'''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현 제왕가신 추제 ==== [[파일:賢帝家臣ツーゼ.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현 제왕가신 추제, 일어판명칭=賢帝家臣(けんていかしん)ツーセ, 영어판명칭=Zuse the Wisdom Vassal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800, 수비력=1000, 종족=사이버스족,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자신 묘지의 몬스터(수비력 1000) 2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는 자신 묘지의 마법 카드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그 후\, 자신은 자신 묘지의 몬스터(레벨 5 이상 / 수비력 1000)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헤베와 마찬가지로 상대와 어드벤티지를 교환한다. 마법 카드는 상대의 벽이 되지 않으므로 그 턴에 끝낼 수 있다면 의미가 없다. 다만 상대에게 강한 마법 카드를 쥐어 준 채로 턴이 넘어가버리면 역공당할 수 있으니 가능하면 파괴해두자. ||수록 시리즈 || ||<(> 2023-05-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3-JP014 | '''[[섬광의 오블리비언|閃光のオブリビオン]]'''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그 외 === ==== [[번개 제왕 자보르그(유희왕 러시 듀얼)|번개 제왕 자보르그]] ==== ====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유희왕 러시 듀얼)|화염 제왕 테스탈로스]] ==== ==== [[바람 제왕 라이저(유희왕 러시 듀얼)|바람 제왕 라이저]] ==== == 함정 카드 == === 제왕의 기재 === [[파일:帝王の機才.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제왕의 기재, 일어판명칭=帝王(ていおう)機才(きさい), 영어판명칭=Machinations of the Monarchs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5 이상 / 수비력 1000)가 있을 경우\, 상대가 몬스터를 일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그 일반 소환된 몬스터를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그 후\, 자신 묘지의 몬스터(레벨 5 이상 / 수비력 1000)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05-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3-JP062 | '''[[섬광의 오블리비언|閃光のオブリビオン]]'''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제왕의 황탄 === [[파일:帝王の煌誕.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제왕의 황탄, 일어판명칭=帝王(ていおう)煌誕(こうたん), 영어판명칭=Nativity of the Monarchs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가 몬스터(레벨 8 이하)를 앞면 표시로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때\,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패의 몬스터(레벨 5 이상 / 수비력 1000) 1장을 자신 필드에 앞면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상대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한 그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05-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3-JP063 | '''[[섬광의 오블리비언|閃光のオブリビオン]]'''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관련 카드 == === 엠페러 렐름 === [[파일:エンペラー・レルム.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엠페러 렐름, 일어판명칭=エンペラー・レルム, 영어판명칭=Emperor Realm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이 카드는\, 덱 위에서 카드 2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이 카드가 필드 존에 앞면 표시인 한\, 서로의 필드의 원래의 수비력이 1000인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5 이상)의 공격력은 400 올린다.)] 원래 수비력이 1000인 상급 몬스터의 공격력을 올리는 필드 마법. 제왕 카드군에 해당하는 몬스터를 강화시킬 수 있다. 공격력을 400이나 올릴 수 있는데 이는 러시 듀얼에서 비레전드 제왕의 스탯을 OCG의 제왕 스탯으로 만들 수 있는 수치이다. ||수록 시리즈 || ||<(> 2023-05-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3-JP056 | '''[[섬광의 오블리비언|閃光のオブリビオン]]'''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참고 카드 == * 수비력 1000의 하급 몬스터 [[볼텍스 슈터]], [[셀레브론토사우루스]], [[물의 마도사]] 등은 이 조건에 들어맞는 하급 어태커에 속한다. [[수검 타이거사벨]]과 상성이 좋은 본 덱에서는 공격력 1500 이상보다도 1400 쪽이 우선도가 높다. * [[풍사 토르네]], [[그라비티 프레스 드래곤]] 레벨 5 이상에 수비력 1000이라는 능력치를 공유하며, 제왕들의 전투에도 도움을 준다. * [[관측귀 스파이터틀]], [[연소귀 분젤]] 상대의 레벨 7, 8의 효과 몬스터를 레벨 5, 6으로 바꿔서 성 제왕 에스트롬의 제거 범위를 넓혀준다. * [[새털라이트솔저]] 제왕가신을 비롯한 하급 몬스터를 레벨 5, 6으로 바꿔서 최상급 제왕의 어드밴스 소환을 서포트해준다. * [[스타 리플레이서]] 다른 몬스터가 없는 상태에서 사실상 노 코스트로 하급 몬스터를 되살릴 수 있어 제왕을 꺼내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조건과 발동 후 제약으로 인해 특수 소환이 거의 막히지만, 어드밴스 소환 주축인 본 덱은 큰 영향이 없다는 것이 장점. * [[스피디 퍼포머]] 다른 몬스터에게 400 강화를 부여하고, 조건을 통해 1장 덤핑이 이뤄지니 제왕가신의 효과 서포트가 되어준다. * [[어메이징 딜러]] 조건상 듀얼 극초반에 한정되기는 하지만. 패를 3장 교환해서 덱 회전과 패말림 방지에 도움을 준다. 제왕가신 등으로 묘지 자원을 소모했다면 듀얼 중반 이후라도 효과를 써먹을 기회가 생길 것이다. * [[을부 고블린]] 레벨 6 이하 몬스터의 타점을 올려주는 덕분에 능력치가 아쉬운 제왕들의 전투에 도움을 준다. * [[업화의 결계상]] 특수 소환 봉인은 어드밴스 소환 주축인 본 덱에서는 사실상 무시해도 좋은 리스크다 보니 상대 특수 소환 견제 노릇을 해준다. * [[어드밴스 임팩트]] 상대 몬스터를 릴리스해서 자신의 제왕을 어드밴스 소환하는 것으로 어드밴티지를 연계해준다. 최상급 이상을 치워준다면 그만한 이득도 없겠지만, 레벨을 맞춰줘야 하니 못 쓰이고 패에 남아돌 수 있다는 리스크가 존재한다. * [[수검 타이거사벨]] 하급 몬스터 강화 및 더블 코스트 준비용으로 기능한다. * [[아룡지옥]] 레벨 5 이상의 몬스터를 요구하지만, 상대가 최상급 몬스터를 전개한 직후 타이밍에 제거할 수 있으니 범용성은 높다. 제왕은 어드밴스 소환이 끝나면 사실상 바닐라 신세인 만큼 코스트로 써버려도 아깝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