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3458> '''{{{#white {{{+1 제임스 윌리엄 블랜처드}}}[br]James William Blanchard}}}'''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000129895.jpg|width=100%]]}}} || ||<#003458><|2> {{{#white '''출생'''}}} ||<(> [[1903년]] [[12월 25일]] ||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패이슨 || ||<#003458><|2> {{{#white '''사망'''}}} ||<(> [[1987년]] [[3월 5일]] (향년 83세) || ||<(> [[미국]] [[메릴랜드주]] 아나폴리스 || ||<#003458> {{{#white '''복무'''}}} ||<(> [[미합중국 해군]] || ||<#003458> {{{#white '''최종 계급'''}}} ||<(> 미국 해군 소장 || ||<#003458> {{{#white '''복무 기간'''}}} ||<(> 1927~1956 || ||<#003458> {{{#white '''학력'''}}} ||<(> [[미국해군사관학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군인. == 생애 == 1927년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했다. 임관하자마자 코네티컷주 뉴런던에 있는 잠수함학교에서 잠수함과정을 밟고 1943년 소령으로 진급한 후 [[가토급 잠수함]] USS 알바코어의 함장으로 임명되었다. 첫 번째 항해는 비스마르크 해협에서 진행되었고 일본 잠수함의 추격을 받았으나 따돌리는데 성공했고 구축함의 공격을 받고도 무사히 미드웨이 제도로 귀환하는데 성공했다. 이후 [[필리핀 해 해전]]에서 [[오자와 지사부로]]항모 전단의 [[타이호급 항공모함]]을 공격했다. 사격통제장치가 망가졌음에도 육안으로 조준해 6발 중 1발을 적중시켜[* 1발은 일본 함재기 조종사 고마츠 상등비행병조가 이함후 자폭으로 막아냈다.] 항공유 저장고를 박살냈다. 피격당시엔 별 이상없었으나 이후 항공유가 유출되고 수증기까지 발생해 유증기로 승무원들이 혼란에 빠졌다. 수습했으나 함재기의 착함이후 유증기가 폭발해 화염에 휩슬리며 승조원과 항공기가 공중으로 튀어나갔다. 화재가 진화되지 않자 퇴함을 명령하고 함장을 포함한 1,650명이 전사했다. 이 공으로 해군십자장을 수여받았고 이후로도 [[쇼카쿠급 항공모함]]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전후에도 잠수함대대장으로 복무하며 잠수함 쪽에 근무했다. 6.25 전쟁때도 잠수함작전을 전개했으며 1956년 소장으로 퇴역했다. 1987년 사망했다. [[분류:태평양 전쟁/군인]][[분류:6.25 전쟁/군인]][[분류:미국의 군인]][[분류:1903년 출생]][[분류:1987년 사망]][[분류:두플린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미국해군사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