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주특별자치도 급행버스)] [[파일:제주금남101.jp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40]] {{{#ffffff 제주특별자치도 급행버스 10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제주 101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이동(제주국제공항) ||<-2>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법환동(서귀포버스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06:35 [br]06:10(제주버스터미널 출발) [br] 06:22(고성환승정류장 출발) ||<|2> 기점행 || 첫차 || 06:20 [br] 06:20(고성환승정류장 출발) || || 막차 || 20:20 [br] 21:50(고성환승정류장 종료) || 막차 || 19:40 [br] 20:42(제주버스터미널 종료) [br] 21:50(고성환승정류장 종료) || ||<-2> 배차간격 ||<-4> 33분 || ||<-2> 운수사명 || [[금남여객]] ||<-2> 인가대수 || 14대 || ||<-2> 노선 ||<-4> [[제주국제공항]] - [[제주버스터미널]] - 동광양 - 천수동 - 오현중·고등학교 - 화북남문 - 삼양초등학교(삼양동주민센터) - 신촌초등학교 - 조천환승정류장[* 조천리사무소, 조천우체국] - 함덕고(신흥리마을입구) - 함덕환승정류장[* 함덕해수욕장] - 김녕환승정류장[* 김녕초등학교] - 월정리 - 용암해수단지 - 세화환승정류장[* 세화리] - 성산고입구삼거리 - 고성환승정류장[* 고성리 한국물류, 회전교차로 ] - 신산환승정류장[* 성산농협신산지점] - 표선환승정류장[* 제주은행, 표선리사무소] - 남원환승정류장[* 남원읍사무소] - 위미2리교차로[*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 - 비석거리 - 서귀포환승정류장[* 서귀포등기소, 중앙로터리(동)] - [[서귀포버스터미널]] || ||<-2> {{{#fff '''중간 출발 정류장'''}}} || || '''서귀포버스터미널''' 방향 || 제주버스터미널 ^^06:10^^, 고성환승정류장 ^^06:22, 06:55^^ || || '''제주국제공항''' 방향 || 고성환승정류장 ^^06:20, 07:07^^ || ||<-2> {{{#fff '''중간 종료 정류장'''}}} || || '''서귀포버스터미널''' 방향 ||고성환승정류장 ^^21:00, 21:50^^ || || '''제주국제공항''' 방향 || 제주버스터미널 ^^20:10, 20:42^^, 고성환승정류장 ^^21:10, 21:50^^ || == 개요 == 제주특별자치도 급행버스 노선으로 금남여객에서 운행한다. 왕복 운행거리는 '''199.8km'''이다. [[http://map.naver.com/?busId=2170650|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17년 8월 26일부터 제주특별자치도 버스 개편에 따라 신설된 노선이다. 노선 자체는 신설이지만 완전히 새로 만드는 것은 아니고 '''1984년 3월 17일''' 개설, 2003년에 폐지된 직행 버스와 비슷한 노선이다. 그러나 직행버스와 달리 만장굴에 정차하지 않으며, 직행버스는 세화에서 성산으로 갈때 세화고, 성산고, 성산일출봉[* 201번에 세화고, 성산고 노선이 있는 것도 당시 직행 노선을 폐지하면서 완행을 이쪽으로 지나가게 하면서 생긴 것이다.]을 지나간 것과 달리 바로 고성까지 간다. * 2018년 2월 27일 천수동, 오현중․고등학교, 화북남문, 삼양초/삼양동주민센터, 월정리 정류소가 추가되었다. 월정리를 제외하면 예전 직행 버스가 서던 정류소다. [[http://bus.jeju.go.kr/notice/detail?noticeId=259|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18년 4월 25일에는 함덕고 정류소도 추가됐다. [[http://bus.jeju.go.kr/notice/detail?noticeId=266|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19년 3월 27일 신촌초등학교 정류장을 추가했다. [[http://bus.jeju.go.kr/notice/detail?noticeId=300|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19년 12월 26일 용암해수단지 정류장을 추가했다. [[http://bus.jeju.go.kr/notice/detail?noticeId=315|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21년 6월 1일 성산고입구삼거리 정류장을 추가했다. [[http://bus.jeju.go.kr/notice/detail?noticeId=353|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21년 11월 5일부터 실운행시간을 반영하여 운행시간표가 변경되었다. [[http://bus.jeju.go.kr/notice/detail?noticeId=362|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특징 == * [[제주 버스 201|201번]]의 급행형 노선으로, '''전국에서 운행거리가 __두 번째로 긴 시내버스 노선__이다.''' 참고로 이 노선의 개통 이전에는 [[양주 버스 8906|경기도 양주시의 8906번]]이 전국에서 가장 긴 시내버스 노선이었다. * 동일주도로를 이용해 남원, 신산, 고성, 세화, 함덕 등 제주 동부의 읍면 중심지와 시내를 빠르게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동쪽으로 크게 우회하기 때문에 소요시간 또한 다른 서귀포터미널~공항 간 직통 노선보다 2배 정도 길며, 서귀포터미널과 공항을 오갈 때는 [[제주 버스 181, 182|181, 182번]]이나 [[제주 버스 800|800번]]을 이용하는 것이 빠르다. * 제주국제공항에서는 1층 2번 게이트 앞 2번 승차장에서 탑승하면 되며, 서귀포버스터미널에서 이용할 경우에는 2번 승차장에서 탑승하면 된다. * 제주대 교육대학 앞에는 정차하지 않으므로 오현중고등학교에서 내려서 걸어가야 한다. * 서귀포 방향 한정 101번과 [[제주 버스 201|201번]] 전용 화북남문(남) 정류장을 따로 설치했다. 사유는 기존 화북남문(남) 정류장과 횡단보도 간의 거리가 매우 짧고 정차하는 노선이 많아서라고 한다. === 시간표 === [[http://bus.jeju.go.kr/schedule/view/101#|101번 노선 시간표]] == 주요 관광지 == 삼성혈, 조천만세동산, 제주항일기념관, 함덕서우봉해변, 서우봉, 함덕민속오일시장, 김녕성세기해변, 세화해변, 세화오일장, 세화벨롱장, 제주해녀박물관, 표선해비치해변, 위미항, 서귀포매일올레시장, 제주월드컵경기장, 닥종이인형박물관, 세리월드, 워터월드, 세계성문화박물관 == 둘러보기 == [include(틀:제주국제공항 경유 버스)] [[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급행버스]][[분류:2017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