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주특별자치도 급행버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je111-une.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주112.jpg|width=100%]]}}}|| || 111번 || 112번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40]] {{{#ffffff 제주특별자치도 급행버스 111번}}} || ||<-2>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이동(제주국제공항) ||<-2>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성산항) || ||<|2> 종점행 || 첫차 || 07:20 [br]06:10(제주버스터미널 출발) ||<|2> 기점행 || 첫차 || 06:00 || || 막차 || 22:00 || 막차 || 20:25 [br] 22:00(제주버스터미널 종료) || ||<-2> 배차간격 ||<-4> 70~105분 || ||<-2> 운수사명 || [[금남여객]] ||<-2> 인가대수 || 8대 || ||<-2> 노선 ||<-4> [[제주국제공항]] - [[제주버스터미널]] - 동광양 - 천수동 - 봉개동(대기고) - 남조로검문소 - 대천환승정류장 - 송당로터리 - 수산2리 비석거리 - 수산초등학교 - 고성환승정류장[* 고성리 회전교차로] - [[성산일출봉]] 입구 - 성산항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40]] {{{#ffffff 제주특별자치도 급행버스 112번}}} || ||<-2>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이동(제주국제공항) ||<-2>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성산항) || ||<|2> 종점행 || 첫차 || 06:40 ||<|2> 기점행 || 첫차 || 06:40 || || 막차 || 21:10 || 막차 || 19:45 [br] 21:05(제주버스터미널 종료) || ||<-2> 배차간격 ||<-4> 70~95분 || ||<-2> 운수사명 || [[금남여객]] ||<-2> 인가대수 || 8대 || ||<-2> 노선 ||<-4> [[제주국제공항]] - [[제주버스터미널]] - 제주시청 - 제주지방법원 - 제주중앙여고 - 제주여중고 - 제주대학교병원 - 제주대학교입구 - 제주국제대학교 - 교래입구 - 교래사거리 - 대천환승정류장 - 송당로터리 - 수산2리 비석거리 - 수산초등학교 - 고성환승정류장(고성리 회전교차로) - [[성산일출봉]] 입구 - 성산항 || ||<-2> {{{#fff '''중간 출발 정류장'''}}} || || '''성산부두''' 방향 ||제주터미널^^06:10(111)^^ || || '''제주공항''' 방향 ||없음 || ||<-2> {{{#fff '''중간 종료 정류장'''}}} || || '''성산부두''' 방향 ||없음 || || '''제주공항''' 방향 ||제주터미널^^21:10(112), 22:00(111)^^ || == 개요 == 제주특별자치도 급행버스 노선으로 금남여객에서 운행한다. 왕복 운행거리는 101.67km(111 수산초 경유), 102.77km(111 수산2리 경유), 109.53km(112 수산초 경유), 110.64km(112 수산2리 경유)다. [[http://naver.me/xxTkuloo|111번 전체 정류장 목록]], [[http://naver.me/G8Q3TVFh|112번 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17년 8월 26일부터 제주특별자치도 버스 개편에 따라 신설된 노선이다. * 2018년 2월 27일부터 노선 번호가 110-1번은 111번으로, 110-2번은 112번으로 변경되었으며, 112번 한정으로 제주시 중앙로 버스중앙차로 일부 정류장(제주지방법원, 제주중앙여고, 제주여중고)을 추가로 정차한다. [[http://bus.jeju.go.kr/notice/detail?noticeId=258|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노선 번호 변경 안내]], [[http://bus.jeju.go.kr/notice/detail?noticeId=259|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급행버스 추가 정류장 안내]] * 2019년 8월 15일에 탄력근로제 시행에 따라 운행시간표가 변경되었다. [[http://bus.jeju.go.kr/notice/detail?noticeId=310|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21년 11월 5일부터 실운행시간을 반영한 운행시간표가 변경되었다. [[http://bus.jeju.go.kr/notice/detail?noticeId=362|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특징 == * 111번과 112번은 인가대수는 8대이며 차량은 고정 운행이 아닌 정해진 배차 시간대에 맞춰 운행한다.[* 예를 들어 성산 방면으로 운행할 때 시간대가 111번이면 111번 경로로 오고, 반대로 제주시 방면으로 올 때 112번 운행 시간대면 112번으로 바꿔서 운행한다.] * 110~130, 210~230번대 공통으로, 1로 끝나는 것이 봉개동 경유, 2로 끝나는 것이 제주대학교입구 경유한다. * 개편 전 710번을 급행버스로 신설하였으며, 기존 710번과는 다르게 금백조로로 가지 않고 송당리를 경유하는데 송당리가 그렇게 수요가 있는 동네가 아니다보니 시간 단축의 효과가 반감되는 점이 아쉬운 부분. * 제주 급행버스 노선 중에서 [[제주 버스 151, 152|151번]]와 더불어 관광객 탑승 수요가 많다. * 112번은 산굼부리를 지나기는 하지만 정차를 하지 않는다. 교래사거리에서 [[제주 버스 211, 212|212번]], [[제주 버스 221, 222|222번]]으로 갈아타야한다. * 폭설로 인한 [[1131번 지방도]] 통제 시 112번의 경우 공항 방면은 봉개 방면으로 우회하며, 성산항 방면은 애조로를 경유하여 우회 운행한다. 이 때 우회 구간은 정차하지 않는다. === 시간표 === [[http://bus.jeju.go.kr/schedule/view/111#|111번, 112번 노선 시간표]] == 주요 관광지 == 삼성혈, 미니미니랜드, 셰프라인월드, [[성산일출봉]], 우도(성산항에서 하차하여 선박으로 환승), 제주 올레길 1, 2코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주국제공항 경유 버스)] [[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급행버스]][[분류:2017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