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7년 제주특별자치도 시내버스 개편 이후 노선에 관한 정보, rd1=제주 버스 444\, 445)] [include(틀:폐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주버스17.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40]] {{{#ffffff 제주시 일반시내버스 17번}}} || ||<-2>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호일동(이호테우해수욕장) ||<-2>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제주고등학교) || ||<|2> 종점행 || 첫차 || 07:25 ||<|2> 기점행 || 첫차 || 06:15 || || 막차 || 21:50 || 막차 || 21:40 || ||<-2> 배차간격 ||<-4> 일 18.5회[* 제주고 방향 18회, 이호 방향 19회.] || ||<-2> 운수사명 || [[삼화여객]] ||<-2> 인가대수 || 3대 || ||<-2> 노선 ||<-4> 이호테우해수욕장 - 도두동 - 신사수동 - 어영마을 - 성화마을 - 용담사거리 - 서문사거리 - 제주시외버스터미널 - 신제주로터리 - 노형오거리 - 백록초등학교 - 한라대학교 - 제주고등학교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아니내17번돌려줘.png|width=100%]]}}}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40]] {{{#ffffff 제주시 일반시내버스 17번(등교 노선)}}} || ||<-2>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도평동(도평동) ||<-2>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제주고등학교) || ||<|2> 종점행 || 첫차 || 06:40 ||<|2> 시점행 || 첫차 || - || || 막차 || - || 막차 || - || ||<-2> 평일배차 ||<-4> 하루 1회 || ||<-2> 운수사명 || [[삼화여객]] ||<-2> 인가대수 || 3대 || ||<-2> 노선 ||<-4> 도평동 → 외도부영 → 이호테우해수욕장 → 신사수동 → 어영마을 →[* 17번과는 다르게 등교 노선이므로 성화마을을 미경유한다.] 용담사거리 → 관덕정 → 제주시청 → 제주여고 → 제주문학관 → 롯데마트 → 제주제일고 → 제주고등학교 || == 개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운행했던 시내버스. 삼화여객에서 운행했다. --[[http://map.daum.net/?map_type=TYPE_MAP&busnumsrch=%EC%A0%9C%EC%A3%BC+17|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12년 5월 21일에 제주버스 2차 개편으로 같은 날 폐선된 63번을 대체하기 위해 신설되었다. 또한 일 1회 등교전용 노선도 운행한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2051511108219697&outlink=1&ref=%3A%2F%2F|관련 기사]] * 2012년 10월 8일에 시간표 조정되었다. * 2017년 8월 26일에 이호테우 - 한라병원 구간은 서문사거리 정류장을 제외하고 모두 사실상 이 노선의 개편 후 노선인 [[제주 버스 444, 445|444, 445번]]이 대체했고, 제주고 - 방통대 구간은 [[제주 버스 331|331번]]이 대체하여 17번이 폐선되었다. == 특징 == * 이호테우에서 제주고등학교까지 --빠르게-- 이동하는 노선으로, [[제주 버스 447|7번]]만 운행하는 어영마을 쪽 교통을 보강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용담에서 신시가지, 7번과 함께 정체가 심한 제주공항 남쪽 구간을 대체하는 역할도 한다. * 일 1회 도평동 - 제주고등학교 구간을 운행하는 등교전용 노선이 있다. * 2017년 8월 26일 폐선 후에도 444, 445번이 이 노선의 역할을 대체 중이나, 아직까지 노형에서 어영을 이어주는 이 노선의 최대 장점을 정비하지 못했고, 현재는 중간에 한 번 갈아타야 하는 문제점이 생겼다. * 그 와중에 굴곡도가 미쳤는데, 본선부터 {{{+1 {{{#red '''4.32'''}}}}}}이고, 등교 노선은 무려 {{{+1 {{{#red '''6.68'''}}}}}}(...)이다. 뭐 이리 돌아가나 싶지만 노선도를 보면 충분히 이해가 갈 것이다. 그리고 등교 노선에다가 최단거리 경로를 합치면 제주 시내를 크게 한 바퀴 도는 순환선이 된다. 그걸 보면 얼마나 돌아가는 지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 등교 노선은 용마서길을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 시간표 === [[https://m.blog.naver.com/mape99/120213055283|2012년 10월 8일 기준]] == 주요 관광지 == 이호테우해수욕장, 도두봉, 용두암, 한라수목원[* 직접 가는 건 아닌, 좀 걸어가야 한다. 그나마 한라수목원 방향 제주고 정류장은 한라수목원과 가깝다는 것이 위안거리.] [[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시내버스]][[분류:2012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7년 폐지된 버스 노선]]